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Search

Close

신경과 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제언: 도전과 대응 전략

Establishing Neurology as an Essential Medical Discipline in South Korea: Challenges and Strategic Responses

Chan-Nyoung Lee, MD, PhD, Chi Kyung Kim, MD, PhDa, Kun-Woo Park, MD, PhD

신경과 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제언: 도전과 대응 전략

이찬녕, 김치경a, 박건우
Received February 24, 2025;       Revised March 20, 2025;       Accepted March 21, 2025;
정부는 필수의료를 긴급하게 제공하지 못하면 국민 생명에 심각한 위협을 주는 의료로서 의료 수요 감소 등으로 제대로 제공되기 어려운 의료 서비스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런 정의에 해당하는 정확한 의료 분야가 무엇인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아직 부족한 점이 있다. 그러나 2023년 1월 31일, 보건복지부는 필수의료의 필요성을 강조한 예로서 신경과의 뇌혈관 질환 응급 대응 필요성을 강조하였고[1] 2024년 2월,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내용 중에는 국립대에서 우선 채용을 해야 하는 8개 과(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 신경외과, 신경과, 응급의학과)에 신경과를 포함시켰다[2]. 이러한 정부의 지정은 신경과 진료의 중요성과 시급성을 인정한 결과로 신경과가 국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신경과는 뇌졸중, 치매, 파킨슨병 등 고령화 사회에서 증가하는 주요 질환을 다루며 이들 질환의 적시 진단과 치료는 환자의 생명과 삶의 질에 직결된다[1].
필수의료 지정은 신경과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부의 지원을 의미한다. 그러나 동시에 필수의료로 지목되었던 진료과의 문제점인 인력 부족, 수가 체계의 불균형, 지역 간 의료 격차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2024년 8월 30일 의료개혁 1차 실행 방안을 발표하면서 지역 근무 수당 대상 및 필수의료 전공의 지원 대상에 신경과를 포함시켰다[3]. 2024년 11월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사업의 하나로 전공의 수련에 대한 지원을 언급하면서 수련 수당 지원 진료과를 기존의 소아청소년과에서 산부인과, 내과, 응급의학과, 흉부외과, 신경과 및 신경외과 등 8개 과로 확대한다고 발표하였다[4]. 또한 수련 수당뿐만 아니라 수련에 참가하는 지도 교수에게도 수당을 지원하는 등 국가 주도의 필수의료 전공의 수련 계획, 소위 전공의 수련 국가 책임제를 제시하였다[5]. 이 정책에 대하여 2024년 국회에서도 약간의 감액 이후 약 3,000억에 가까운 예산이 통과되었다. 의과대학 정원 대란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진료 환경은 정부의 주도로 급격히 바뀌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신경과의 필수의료과 지정에 따른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경과가 필수의료로서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고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정책의 변화가 시시각각으로 변하기 때문에 학술 논문보다 정부 발표와 언론 발표를 참고하였음을 밝힌다.
1. 필수의료 지정에 따른 과제
1. 필수의료 지정에 따른 과제

1) 인력 확보 및 유지 방안

1) 인력 확보 및 유지 방안

신경과 분야의 필수의료 지정에 따라 인력 확보와 유지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2018년에 발표된 신경과 인력 추계 논문에서도 현행대로의 전공의 숫자를 유지할 경우 신경과 의사의 부족이 예상된다고 하였다[6]. 그러나 필수의료의 지원이 미미하였던 현 시점에서 전공의 충원 및 향후 전공의 충원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전공의 연속 근무 제도 개선과 의사의 근무 시간 관련 규정을 재정비하여 의료 인력의 근무 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지방 병원과 필수의료과에 전공의를 확대 배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지역 간 인력 격차를 해소하고 필수의료 분야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겠다고 하지만 현실은 넘어야 할 과제가 많다. 따라서 실질적 유인책을 대한신경과학회에서 다양하게 논의하고 개발하여야 한다.

2) 수가 개선 및 재정 지원 필요성

2) 수가 개선 및 재정 지원 필요성

필수의료 분야의 수가 개선은 의료 인력 유입을 촉진하고 안정적인 진료 환경을 조성하는 데 필수적이다. 정부는 병원급 의료기관의 필수의료, 중증 분야에 대한 수가 대폭 인상과 입원 진료에 대한 보상 강화를 약속하였고 이는 신속한 처치가 필요한 진료과의 대기 자원 운영비 지원으로 이어질 전망이다[7]. 이에 더해 필수의료 지원 기금과 같은 별도의 예산 마련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재정 확보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신경과 또한 필수의료 전환을 통해 이 흐름에 동참해야 한다.

3) 지역 간 의료 격차 해소 전략

3) 지역 간 의료 격차 해소 전략

지역 간 의료 격차 해소를 위한 전략으로는 맞춤형 지역 수가 도입이 제안되고 있다. 이는 지역별 의료 수요와 자원 배분을 분석하여 각 지역에 적합한 수가를 책정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17개 권역으로 나누어 지역 우수 병원과 책임의료기관을 지정하고 지원을 강화하며 이를 통해 지역 내 필수의료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 의료기관 간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중증 및 응급 진료 공백을 해소하고 지역 주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 또한 지역 신경과 인력 발굴과 양성에 도움이 되는 제도라 생각되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다.

4) 전공의 수련 국가 책임제

4) 전공의 수련 국가 책임제

정부는 전공의 교육 수련 강화와 함께 전공의 수련 국가 책임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인건비 등 병원의 수련 비용을 정부가 책임지는 제도로 미국, 영국, 일본, 호주, 캐나다 등에서 이미 시행 중이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련 비용 지원 대상 과를 확대한다. 현재 소아청소년과 전공의에 대한 월 100만 원의 수련 비용 지원을 시작으로 타필수의료과 전공의들에 대한 지원도 확대할 예정이며 신경과는 2024년부터 지원 대상이 되었다. 둘째, 근무 환경 개선으로 전공의 연속 근무 시간을 36시간에서 큰 폭으로 감축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시작하였으며 주 80시간의 근무 시간도 단축을 논의 중이다. 셋째, 3년 주기로 전공의 수련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전공의 보호신고센터를 운영하여 수련 환경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한다. 넷째, 지역 거점 국립대학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과 투자를 통해 전공의 쏠림 현상을 완화한다. 더욱이 필수 의료 관련 법안을 추진하여 법안을 통해 필수의료과, 특히 수련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과에 대한 우선 지원을 명시하고 있다[3,5,8].
이러한 전공의 수련 국가 책임제 도입은 전공의들의 처우 개선과 함께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시행 방안과 재원 마련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필수의료과의 정의와 범위, 지원 대상 선정 기준 등에 대한 명확한 합의가 필요하며 타 진료과와의 형평성 문제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2. 신경과 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제안
2. 신경과 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제안

1)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 프로그램 개선

1)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 프로그램 개선

신경과 필수의료 강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 현재 신경과 전공의 정원은 수요에 비해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공의 정원을 확대하고 지역별 균형 있는 배치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여야 한다. 또한 신경과 전문의의 지속적인 역량 강화를 위하여 필수의료 분야에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기적인 보수 교육을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급성기 뇌졸중 치료, 신경계 중환자 관리 등 필수의료 영역에서의 실무 중심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2) 신경과 특화 공공 정책 수가 도입

2) 신경과 특화 공공 정책 수가 도입

신경과 필수의료의 안정적인 제공을 위해서는 신경과 특화 공공 정책 수가의 도입이 필요하다. 현재의 행위별 수가제는 신경과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뇌졸중 초급성기 치료, 신경계 중환자 관리, 희귀 신경질환 진료 등 신경과 특유의 의료 서비스에 대한 별도의 수가 체계를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별 의료 환경의 차이를 고려한 차등 수가제를 도입하여 의료 취약 지역에서의 신경과 진료를 장려해야 한다.

3) 전공의 교육 수련 강화 방안

3) 전공의 교육 수련 강화 방안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지원 사업의 주요 내용 중 하나로 전공의 교육 수련 강화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전공의의 수련 환경을 개선하고 더 나은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총 수련 시간은 감소하되 유의미한 수련 시간은 확대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이는 전공의 연속 근무 단축 시범사업 참여부터 시작된다. 둘째, 밀도 있는 수련, 즉 지도 전문의 확충 등 전문의의 전공의 수련 기능을 강화하고 신경과 수련에 e-포트폴리오를 적극 활용하여 수련 데이터와 교육 내용의 개정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여야 한다. 셋째, 대한의학회의 수련 프로그램과 잘 협조하여 신경과 수련 프로그램이 모든 전문의 교육 과정의 표준이 되어야 한다.
3. 정책적 제언
3. 정책적 제언

1) 신경과 중심의 필수의료 지원 법안 마련

1) 신경과 중심의 필수의료 지원 법안 마련

신경과 필수의료의 안정적인 제공과 발전을 위해서는 법적 기반이 필요하다. 필수의료 지원에 관한 법률(가칭)을 타 전문과들과 함께 추진하고 제정하여 필수의료 안에서 신경과의 역할 정의, 범위, 지원 체계 등을 명확히 규정하여야 한다. 이 법안에는 신경과 의료 인력 확보, 지역별 균형 있는 의료 서비스 제공, 재정 지원 방안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급성기 뇌졸중 치료 네트워크 구축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신경과 특화 공공 정책 수가의 도입을 위한 법적 기반을 조성하여야 한다.

2) 신경과 지속 가능 교육 인증제 및 전공의 수련 강화

2) 신경과 지속 가능 교육 인증제 및 전공의 수련 강화

신경과 필수의료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다소의 구속력을 동반한 신경과 지속 가능 교육 인증제의 도입이 필요하다[9]. 이미 여러 인증의 제도로 피로도가 가중되고는 있지만 국민 생명을 지키기 위한 필수의료과로서 자체 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신경과의 신뢰도 확보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교육 점수 취득을 위해서는 온라인 및 학회의 다양한 프로그램 교육과 임상 경험을 나누는 집담회 등에 교육위원회에서 인증 점수를 주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10]. 이 제도를 통해 신경과 의료의 전문성을 높이고 환자들에게 보다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신경과 자체의 노력과 학회 모임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겠다.
더불어 전공의 교육 수련 강화 방안은 신경과 필수의료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투자이다. 신경과의 경우 필수의료과로 지정된 만큼 이러한 국가 책임제의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 기회를 통해 신경과 전공의들의 교육 환경 개선과 함께 장기적으로 신경과에 지원하는 인력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질 대책을 준비하여야 한다.

3) 다학제적 협력 체계 구축

3) 다학제적 협력 체계 구축

신경과 질환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다학제적 협력 체계의 구축은 필수적이다. 특히 뇌졸중, 치매, 파킨슨병 등의 질환에서는 신경과를 중심으로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영상의학과, 응급의학과 등과의 긴밀한 협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서로 협력하여 의료기관 내 다학제 진료 시스템을 개발하고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필수 의료뿐 아니라 미래 의료의 중심에 서는 자세를 견지하여야 한다.

4) 신경과정책개발원(가칭) 설립

4) 신경과정책개발원(가칭) 설립

신경과의 필수의료 지정은 새로운 도전이자 기회이다.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발전의 기회로 삼기 위해서는 대한신경과학회의 주도적인 역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대한신경과학회 내에 신경과정책개발원이라는 새로운 조직의 설립을 제안한다. 본 조직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경과 필수의료 관련 정책 연구 및 개발뿐만 아니라 인력 수급 현황 모니터링 및 대책, 신경과 특화 공공 정책 수가 개발 및 제안을 중심 역할로 추진하며 대한신경과학회 위원회와 협력하여 권역별 뇌졸중 치료 네트워크 구축 지원, 신경과 인증의 제도 개발 및 운영 및 다학제적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을 수행한다.
신경과정책개발원의 설립은 신경과 발전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정책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정부, 타 의료기관, 관련 진료과 및 학회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신경과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결 론
결 론
신경과의 필수의료 지정과 함께 이루어지는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전공의 교육 수련 강화는 우리나라 의료 체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경과 의료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의료 서비스의 개선과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신경과정책개발원을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연구와 정책 개발, 그리고 지속 가능 교육 프로그램의 혁신을 통해 신경과 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REFERENCES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기반을 강화하겠습니다. [online] [cited 2025 Feb 24]. Available from: https://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0087.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벼랑 끝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로 살린다. [online] [cited 2025 Feb 24]. Available from: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13587&pWise=sub&pWiseSub=C2.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생명과 지역을 살리는 의료개혁 1차 실행 방안 발표. [online] [cited 2025 Feb 24]. Available from: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10100&bid=0027&act=view&list_no=1482955&tag=&nPage=1.

4. Ahn CY. 상종구조전환 벌써 65%.. 전공의 수련수당 신경과등도 지원. [online] [cited 2025 Feb 24]. Available from: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050406639083424.

5. Heo SM. 전공의 수련비 3300만원 전액 지원. [online] [cited 2025 Feb 24]. Available from: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8278422i.

6. Jeong SW, Kim KJ, Jeong HS, Kim SK, Kim JT, Kim JS, et al. Present and future of neurologist: do we have enough neurologists? - in the aspect of stroke care. J Korean Neurol Assoc 2018;36:159-164.
[Article]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 지침. [online] [cited 2025 Feb 24]. Available from: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409020000&bid=0026&list_no=1483581&act=view&.

8. Kwak SS. 내년 보건의료분야 예산 ‘18조4123억원’… 수련비용 3천억 책정. [online] [cited 2025 Feb 24]. Available from: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0413.

9. Kim SH. 의사 전문직업성 평생 지키려면 ‘정답은 하나! 변해야’… 미국 CME, CPD가 지향점. [online] [cited 2025 Feb 24]. Available from: https://www.medifonews.com/news/article.html?no=148989.

10. Stavros KA, Miller AM, Moeller JJ, Wiseman K, Gibbs SE, Sun X, et al. Education research: use by neurologists of microteaching and microassessment programs for teaching, learning, and patient care needs. Neurol Educa 2024;3:e200164.
[Article] [PubMed] [PMC]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