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Search

Close

C7 근육분절을 기억하는 법

C7 Myotome: Muscles and Their Actions

Jee Eun Kim, MD, Jong Seok Bae, MDa

C7 근육분절을 기억하는 법

김지은, 배종석a
Received July 7, 2024;       Revised September 25, 2024;       Accepted September 30, 2024;
경추추간판탈출증 중에서는 C6 추간판의 탈출에 의한 C7 신경뿌리병증이 가장 흔하다[1]. 따라서 C7 근육분절에 해당하는 근육들에서 침근전도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근육들과 운동기능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Figs. 1, 2). 각 근육분절은 개인차가 있어 사람마다 다를 수 있는데 C6보다는 C7이나 C5가 일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신경계진찰에서 위팔세갈래근 깊은힘줄반사는 C7-C8 신경뿌리의 기능을 반영하며 특히 C7이 주로 관여한다[2]. 이 반사기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 C7 근육분절의 이상을 의심할 수 있다. 또한 위팔세갈래근은 C7 근육분절 근육 중 유일하게 위팔에 위치한 근육이므로 아래팔에 위치한 C7 근육분절 근육과 함께 검사하면 C7 신경뿌리병의 진단에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신경전도 검사를 할 때 정중신경, 자신경의 운동신경 검사를 포함하는데 이는 C8과 T1의 근육분절을 반영한다. 따라서 침근전도 검사로 C7 근육분절의 이상을 추가로 확인하는 것은 진단에 부가적인 도움이 된다.
C7 근육분절 근육을 기억하면 이를 통해 그 위나 아래 수준의 C5, C6와 C8 근육분절을 쉽게 추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몸쪽 근육이 먼쪽 근육보다, 폄근-뒤침근(extensor-supinator)이 굽힘근-업침근(flexor-pronator)보다 윗 수준의 근육분절 근육이다.

Figure 1.
C7 myotome: muscles and their actions.
jkna-43-1-69f1.tif
Figure 2.
Cartoon to help memorize C7 myotome.
jkna-43-1-69f2.tif
REFERENCES
REFERENCES

1. Hong CG, Nam WD. Reliability and diagnostic accuracy of standard dermatomes and myotomes for determining the pathologic level in surgically verified patients with cervical radiculopathy. Neurospine 2022;19:1006-1012.
[Article] [PubMed] [PMC]
2. Park JW. Easy memorizing tip for deep tendon reflex corresponding nerve roots. J Korean Neurol Assoc 2023;41:359-360.
[Article]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