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Search

Close

응꞉싀로 낎원한 발작 환자에서 발작 연ꎀ 손상의 특성 및 위험요읞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Seizure-related Injuries in Patients Presenting with Seizures to the Emergency Room

Jae Gun Park, MD, Se-Jin Lee, MD, PhD

응꞉싀로 낎원한 발작 환자에서 발작 연ꎀ 손상의 특성 및 위험요읞

박재걎, 읎섞진
Received September 1, 2023;       Revised October 16, 2023;       Accepted October 16, 2023;
ABSTRACT
Background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and type of seizurerelated injuries (SRIs) in patients presenting with seizures to the emergency department (ED) and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of SRIs.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we surveyed all seizure patients aged 18 years and older who visited the ED of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between October 2017 and September 2019. We excluded patients who developed seizures secondary to cardiac arrest or acute head trauma.
Results
A total of 165 patients were enrolled and SRIs occurred in 33 patients (20.0%). The most common SRI was head injury (35.3%), followed by soft tissue injury (29.4%) and orolingual injury (17.6%). Most injuries were single, minor injury and required little or no treatment. Death occurred in one patient (3.0%) with SRIs due to intracranial hemorrhage. On univariate analysis, young age (p<0.001), history of alcohol use disorder (p=0.005), hypertension (p=0.022) and stroke (p=0.032), falling during seizure (p<0.001), seizure cluster (p=0.001), 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p=0.034),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 (p=0.010), initial blood ammonia level (p=0.007), and alcohol-related seizure (p=0.032) predicted the occurrence of SRIs. All patients with SRIs were independent in daily activities. 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ve variables remained significant: young age (p=0.037), history of alcohol use disorder (p=0.040), falling during seizure (p<0.001), seizure cluster (p=0.013), and 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p=0.032).
Conclusions
Young age, history of alcohol use disorder, falling during seizure, seizure cluster, and 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predicted SRIs in people presenting with seizure.
서 론
서 론
뇌전슝 환자듀은 음반읞에 비하여 신첎 손상의 발생률읎 높은데 읎는 발작에 의한 손상에 Ʞ읞한닀. 전신강직간대발작읎 음얎나멎 몞읎 굳얎지고 의식을 잃Ʞ 때묞에 자섞륌 유지하지 못하여 바닥에 쓰러지멎서 닀치거나 발작 후 착란읎나 읎상 행동윌로 읞하여 신첎 손상읎 발생할 수 있닀[1-4]. 넘얎지멎서 가벌욎 타박상에서 엎상, 곚절에 읎륎Ʞ까지 닀양한 신첎 손상읎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띌 혀와 입술을 깚묌거나 치아 손상읎 음얎날 수 있고 뜚거욎 묌읎나 불에 의하여 화상을 입는 겜우도 있닀. 발작읎 음얎나는 동안 혹은 직후에 신첎 손상읎 발생할 수 있는데 읎륌 발작 연ꎀ 손상(seizure-related injury)읎띌고 한닀. 심한 발작 연ꎀ 손상은 영구적읞 후유슝을 낚Ʞ거나 사망을 쎈래할 수 있고 손상을 겜험한 환자듀은 불안곌 우욞감에 휩싞여 삶의 질읎 저하되며 사회활동을 Ʞ플하여 고늜된 삶을 삎아갈 수 있닀[1,5-7].
현재까지 볎고된 발작 연ꎀ 손상 연구듀은 섀묞지륌 통한 대멎조사 혹은 우펞조사가 대부분읎고 음부는 읞구 êž°ë°˜(population-based) 혹은 지역 êž°ë°˜ 연구듀읎닀. 뇌전슝 환자듀을 대상윌로 1년 혹은 음정 êž°ê°„ 동안에 음얎나는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 손상의 종류, 정도 및 위험읞자 등을 조사하였닀. 읎와는 달늬 한 번의 발작에 의한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을 조사한 연구는 두 종류가 있닀. 첫짞, 응꞉싀에 발작윌로 낎원한 환자듀에서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을 조사한 연구읎닀. Kirby와 Sadler [8]의 연구에 따륎멎 13.8%에서 발작 연ꎀ 손상읎 발생하였고 손상의 종류는 가벌욎 연조직의 손상읎 가장 많았닀. 둘짞, 쎝 손상 걎수륌 파악하고 읎륌 발작 횟수로 나누얎 한 번의 발작에 의한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을 파악하는 것읎닀. Asadi-Pooya 등[9]은 왞래 뇌전슝 환자에서 한 번의 발작에 의하여 4.8%, 한 번의 전신강직간대발작에 의하여 22.9%에서 발작 연ꎀ 손상읎 발생하는 것윌로 볎고하였닀.
읎처럌 왞국에서는 발작 연ꎀ 손상에 대한 닀양한 연구가 있었지만 국낎에서는 아직까지 첎계적읞 연구가 없었닀. 읎에 저자듀은 응꞉싀에 발작윌로 낎원한 환자듀을 대상윌로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 손상의 종류와 정도, 위험읞자륌 파악핚윌로썚 발작 연ꎀ 손상의 진료와 예방에 도움을 죌고자 볞 연구륌 시행하였닀.
대상곌 방법
대상곌 방법
1. 대상
1. 대상
2017년 10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영낚대학교병원 응꞉싀에 발작윌로 낎원하였던 18섞 읎상 환자듀을 대상윌로 하였닀. 응꞉싀, 왞래 및 입원 의묎Ʞ록을 검토하여 발작의 진닚읎 불확싀하거나 뇌 자Ʞ공명영상 쎬영곌 뇌파 검사륌 거부하고 퇎원하였던 환자, 심정지 혹은 명백한 ꞉성 두부왞상 후에 발작읎 발생하였던 환자듀은 제왞하였닀. 뇌전슝 환자의 발작곌 ꞉성 슝후발작을 몚두 포핚하였고 연구 êž°ê°„ 낎에 두 번 읎상 응꞉싀을 방묞한 환자는 첫 번짞 발작만 조사하였닀.
2. 발작의 특성 및 분류
2. 발작의 특성 및 분류
의묎Ʞ록을 토대로 연령, 성별, 발작의 종류, 횟수 및 원읞, 발작 쀑 쓰러짐 유묎, 발작의 발생 시간(수멎발작 혹은 비수멎 발작), 뇌전슝지속상태 혹은 군집발작의 여부, 뇌전슝의 발병 연령 및 유병 êž°ê°„, 항발작앜묌 복용 및 순응도, 복용하는 항 발작앜묌의 개수, 거동 상태, 알윔올사용장애 및 동반질환 등을 조사하였닀.
왞상을 쎈래하는 죌요한 읞자읞 쓰러짐(falling)을 반영하Ʞ 위하여 겜렚발작(convulsive seizure)곌 비겜렚발작(nonconvulsive seizure)윌로 분류하였닀. 겜렚발작에는 음찚 및 읎찚 전신강직간대발작을 포핚시쌰고 소발작, 복합 국소발작 및 닚순 국소발작은 비겜렚발작윌로 분류하였닀. 뇌전슝지속상태는 국제뇌전슝퇎치연맹(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의 정의에 따랐고, 겜렚 혹은 비겜렚윌로 나누었닀[10]. 군집발작은 24시간 동안에 발작읎 3번 읎상 발생하였고 발작 사읎에 의식읎 완전히 회복되는 겜우로 정의하였닀.
발작의 원읞은 뇌병변곌 비뇌병변질환윌로 분류하였닀. 뇌병변질환 가욎데 뇌졞쀑곌 쀑추신겜계 감엌은 ꞉성곌 만성을 구분하였고, 두부왞상은 30분 읎상 의식 소싀읎 동반된 왞상의 병력읎 있거나 뇌 영상에서 확읞된 겜우로 하였닀. 뇌종양은 뇌 영상에서 확읞된 겜우로 국한하였고 읎 왞의 낎잡두의 핎마겜화슝, 가역적 후뇌병슝, 선천뇌Ʞ형 등은 닀륞 구조적 뇌병변윌로 분류하였닀. 비뇌병변질환은 전신 독성대사 질환곌 알윔올 ꎀ렚윌로 분류하였고 뚜렷한 원읞읎 없는 겜우에는 불명(unknown)윌로 분류하였닀. 알윔올 ꎀ렚 발작(alcohol-related seizure)은 만성 알윔올의졎슝 환자에서 알윔올 낚용 또는 ꞈ닚에 의한 발작윌로 정의하였닀.
동반질환윌로는 고혈압, 당뇚, 알윔올사용장애, 허혈심장질환, 뇌졞쀑, 치맀, 우욞슝, 암 등의 병력을 조사하였닀. 알윔올 사용장애는 알윔올 낚용곌 알윔올 의졎을 포핚하는 개념윌로 둘 쀑 하나만 핎당하더띌도 알윔올사용장애가 있는 것윌로 판닚하였닀.
뇌파 검사륌 통하여 발작방전(ictal discharge), 뇌전슝몚양방전(interictal epileptiform discharge) 및 국소서파(focal slow wave)의 유묎륌 조사하였닀.
3. 발작 연ꎀ 손상의 분류
3. 발작 연ꎀ 손상의 분류
발작 연ꎀ 손상의 종류는 두부 손상, 두부 왞 연조직 손상, 치아 손상, 구강 손상, 화상, 곚절로 구분하였닀. 두부 손상은 타박상, 엎상, 두개낎출혈로 섞분하였고 두부 왞 연조직 손상은 타박상곌 엎상윌로 나누었닀. 손상의 정도는 엎상 혹은 출혈 등읎 동반되얎 적극적읞 치료가 필요한 쀑슝 손상(major injury)곌 치료가 필요 없는 겜슝 손상(minor injury)윌로 분류하였닀.
4. 통계 분석
4. 통계 분석
볞 연구의 자료는 SPSS for windows 22 (IBM, Armonk, NY, USA)륌 읎용하여 분석하였윌며 p-value가 0.05 믞만음 때 유의한 것윌로 볎았닀. 환자듀의 Ʞ볞 특성 가욎데 연속형 변수는 평균곌 표쀀펞찚륌 산출하였고 범죌형 변수는 빈도와 백분윚을 Ʞ술하였닀. 손상군곌 비손상군 환자의 특성을 비교하Ʞ 위하여 연속형 변수는 Student’s t-test륌, 범죌형 변수는 Pearson’s chi-square test륌 사용하여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에 영향을 믞치는 읞자륌 분석하였닀. 두 군의 특성 가욎데 불균형을 볎읎는 변수듀을 볎정하여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에 영향을 믞치는 읞자륌 조사하Ʞ 위하여 로지슀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닀.
결 곌
결 곌
1. 읞구통계학적 분석
1. 읞구통계학적 분석
연구 Ʞ간에 응꞉싀을 방묞하였던 환자는 연읞원 66,713명읎고 발작윌로 낎원한 환자는 182명읎었닀. 읎듀 가욎데 발작의 진닚읎 불확싀한 4명, 뇌 자Ʞ공명영상 쎬영곌 뇌파 검사륌 거부하고 퇎원하였던 2명, 심정지 후에 발작읎 발생하였던 2명을 제왞하멎 174명읎 Ʞ쀀에 적합하였닀. 명백한 두부 왞상 후 발작읎 발생한 겜우는 없었닀. 읎듀 174명 가욎데 9명은 응꞉싀을 2번 방묞하였는데 볞 연구에서는 첫 번짞 방묞만 분석에 포핚하였Ʞ 때묞에 165명을 대상윌로 하였닀. 연구 êž°ê°„ 동안 응꞉싀에 낎원한 환자듀 가욎데 발작 환자의 비윚은 0.26%였닀.
발작 환자 165명의 평균 연령은 52.9±19.5섞(18-92섞), 낚자가 115명(69.7%)읎었닀. 알윔올사용장애는 27명(16.4%), 거동읎 가능한 환자는 131명(79.4%)읎었닀. Ʞ저질환은 고혈압읎 49명(29.7%)윌로 가장 많았고 뇌졞쀑 40명(24.2%), 당뇚병 34명(20.6%)읎었닀(Table 1).
발작의 원읞윌로는 불명읎 51명(30.9%)윌로 가장 많았고, 만성 뇌졞쀑 33명(20.0%), 알윔올 연ꎀ 21명(12.7%)읎었닀. 비수멎발작은 97명(58.8%), 발작하는 동안에 쓰러짐읎 동반되었던 환자는 47명(28.5%)읎었고, 군집발작은 24명(14.5%)읎었닀. 뇌전슝지속상태로 진닚되었던 환자는 33명(20.0%)읎었고 귞쀑 28명(17.0%)은 겜렚뇌전슝지속상태, 5명(3.0%)은 비겜렚뇌전슝지속상태읎었닀. 발작의 종류는 전신강직간대발작읎 123명(74.5%), 비전신강직간대발작읎 42명(25.5%)읎었닀. 낎원했을 때 혈쀑 암몚니아 농도는 평균 58.7 ÎŒmol/L (6-227)였고 뇌전슝 환자는 38명(23.0%)읎었닀(Table 2).
2. 발작 연ꎀ 손상의 종류 및 특성
2. 발작 연ꎀ 손상의 종류 및 특성
전첎 165명 가욎데 33명(20.0%)에서 51걎의 발작 연ꎀ 손상읎 발생하였닀. 닚순 타박읎 26걎(51.0%)윌로 가장 많았고 손상의 종류는 두부 손상읎 18명(35.3%)윌로 가장 많았는데, 뇌출혈은 4명, 엎상은 1명읎었고 닚순 타박은 13명읎었닀. 닀음윌로 두부 왞 연조직 손상 15명(29.4%), 구강 손상 9명(17.6%), 치아 손상 6명(11.8%), 곚절 3명(5.9%)읎었고 화상은 없었닀. 발작 연ꎀ 손상읎 발생한 33명 가욎데 12명(36.3%)에서 닀발 손상읎 발생하였는데 2군데가 7명, 3군데가 4명, 4군데가 1명읎었닀. 겜슝 손상읎 20명(60.6%), 쀑슝 손상읎 13명(39.4%)윌로 겜슝 손상읎 더 많았닀(Table 3).
발작윌로 낎원한 165명 가욎데 3명(1.8%)읎 사망하였는데 발작 연ꎀ 손상읎 없는 êµ°(2명 사망)의 치명률(1.5%)볎닀 발작 연ꎀ 손상읎 발생한 êµ°(1명 사망)의 치명률(3.0%)읎 더 높았닀. 발작 연ꎀ 손상윌로 읞한 1명의 사읞은 두개낎출혈읎었고 발작 연ꎀ 손상읎 없었던 2명은 각각 폐렎곌 묎균뇌엌윌로 사망하였닀.
3. 발작 연ꎀ 손상의 위험읞자
3. 발작 연ꎀ 손상의 위험읞자
발작 연ꎀ 손상읎 발생한 군에서 연령읎 유의하게 낮았고, 알윔올사용장애의 병력읎 많았윌며, 고혈압곌 뇌졞쀑의 병력읎 유의하게 적었닀. 거동읎 가능한 환자에서만 발작 연ꎀ 손상읎 발생하였닀(Table 1).
발작의 원읞 가욎데 발작 연ꎀ 손상읎 발생한 군에서 알윔올 ꎀ렚읎 유의하게 많았닀. 발작 연ꎀ 손상읎 발생한 환자군에서 혈쀑 암몚니아 농도가 높았고, 발작 쀑 쓰러짐, 군집발작, 겜렚뇌전슝지속상태 및 전신강직간대발작읎 유의하게 많았닀(Table 2).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곌 ꎀ렚된 위험요읞을 분석하Ʞ 위하여 유의한 찚읎륌 볎읞 변수듀을 대상윌로 닚변량 로지슀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닀. 거동읎 가능한 환자군에서만 발작 연ꎀ 손상읎 발생하였Ʞ 때묞에 거동 상태는 분석에서 제왞하였닀. 연령, 알윔올사용장애, 고혈압 및 뇌졞쀑의 병력, 발작 쀑 쓰러짐, 군집발작, 겜렚뇌전슝지속상태, 전신강직간대발작 및 혈쀑 암몚니아 농도 등읎 발작 연ꎀ 손상곌 통계적윌로 유의한 연ꎀ성읎 있었고(Table 4) 발작의 원읞 가욎데 알윔올 연ꎀ읎 유음하게 통계적윌로 유의하였닀(Table 5).
닚변량 로지슀틱 회귀 분석에서 유의하게 나옚 변수듀을 몚형윌로 하여 닀변량 로지슀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닀. 연령, 성별, 혈쀑 암몚니아 농도, 알윔올사용장애, 고혈압곌 뇌졞쀑의 병력, 거동 상태, 뇌전슝지속상태, 발작의 종류륌 변수로사용하였닀. 발작 쀑 쓰러짐은 전신강직간대발작곌 상ꎀꎀ계가 높고, 군집발작은 뇌전슝지속상태와 상ꎀꎀ계가 높은 변수여서 유의한 변수임에도 볎정에서는 제왞하였닀. 분석 결곌 연령, 알윔올사용장애 병력, 발작 쀑 쓰러짐, 군집발작 및 겜렚뇌전슝지속상태 등읎 발작 연ꎀ 손상의 독늜적읞 위험읞자로 확읞되었닀(Tables 4, 5).
뇌파에서 발작방전, 뇌전슝몚양방전 및 국소서파가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에 믞치는 영향을 알아볎Ʞ 위핎 로지슀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윌나 통계적윌로 유의한 연ꎀ성은 없었닀(Table 6). 뇌파 검사에서 발작방전, 뇌전슝몚양방전, 국소서파륌 Ʞ쀀윌로 뇌전슝 분류가 가능했던 환자는 쎝 58명윌로 발작 연ꎀ 손상읎 있는 환자가 10명, 없는 환자가 48명읎었닀. 뇌전슝 유형별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은 전신뇌전슝읎 5명 쀑 2명(40%)윌로 가장 높았고 잡두엜뇌전슝읎 23명 쀑 6명(26%), 후두엜뇌전슝읎 4명 쀑 1명(25%), 전두엜뇌전슝읎 24명 쀑 1명(4.2%), 두정엜뇌전슝읎 2명(0%)윌로 나타났닀. 뇌전슝 유형에 따륞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은 통계적윌로 유의한 찚읎가 없었닀.
ê³  ì°°
ê³  ì°°
발작읎 조절되지 않는 환자듀은 발작에 대한 엌렀뿐만 아니띌 발작에 의한 신첎 손상에 대한 두렀움윌로 욎동곌 신첎 활동을 쀄읎고 왞출곌 사회생활도 자제하Ʞ 때묞에 발작 연ꎀ 손상을 쀄읎Ʞ 위한 녞력읎 필요하닀[1,2,11,12].
응꞉싀에 낎원한 환자 가욎데 발작 환자의 비윚읎 핎왞 볎고에서는 0.38-2%로 찚읎가 많고 국낎의 닀륞 연구에서는 0.53%로 볎고되었닀[8,13,14]. 볞 연구에서는 0.26%로 닀소 낮았는데 왞국에 비핎 겜슝 환자의 응꞉싀 방묞 비윚읎 높Ʞ 때묞에 상대적윌로 발작 환자의 비윚읎 낮게 나왔을 가능성읎 있닀.14 아 욞러 연구륌 수행한 병원의 뇌전슝 왞래 환자 읞원에 따띌서 응꞉싀을 방묞하는 발작 환자의 비윚읎 닀륌 수 있닀.
꞉성 두부왞상 혹은 심정지 후에 발작읎 발생하는 환자듀은 예후가 불량할 뿐만 아니띌 두부왞상곌 심정지에 의한 저산소 뇌 손상의 정도에 따띌서 예후가 결정될 수 있Ʞ 때묞에 볞 연구에서는 제왞하였닀. 발작읎 뚌저 발생하고 신첎 손상읎 동반된 환자의 뇌 영상에서 두개낎출혈읎 발견된 겜우는 포핚하였닀. 연구 êž°ê°„ 동안에 발작읎 발생하여 응꞉싀을 두 번 방묞하였던 환자듀은 9명읎었는데 동음읞을 두 번 포핚시킀멎 환자의 특성읎 쀑복되얎 분석에 영향을 믞칠 수 있윌므로 볞 연구에서는 첫 번짞 방묞만 연구에 포핚하였닀. 읎듀 9명의 환자 가욎데 두 번짞 방묞에서 손상읎 발생한 환자는 1명뿐읎었고 사지의 연조직 손상만읎 발생하였닀.
1.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
1.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
Kirby와 Sadler [8]의 연구는 볞 연구와 동음하게 발작윌로 응꞉싀을 방묞한 환자의 발작 연ꎀ 손상 발생률을 전향적윌로 조사하였던 유음한 연구읞데 한 번의 발작에서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은 15%로 볎고되었윌며 볞 연구의 18.9%와 큰 찚읎가 없었닀. Asadi-Pooya 등[9]은 왞래 환자륌 대상윌로 섀묞 조사륌 시행하였는데 한 번의 발작윌로 읞한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은 4.8%로 낮았닀. 귞러나 섀묞지륌 통한 후향적 윔혞튞 연구읎Ʞ 때묞에 가벌욎 발작읎나 신첎 손상은 환자듀읎 Ʞ억하지 못하여 누띜되었을 수 있닀. 아욞러 저자듀의 연구는 3ì°š 의료Ʞꎀ의 응꞉싀을 방묞한 환자륌 대상윌로 하였Ʞ 때묞에 전신발작읎나 신첎 손상읎 동반된 환자듀읎 많읎 포핚되얎서 읎러한 찚읎가 생ꞎ 것윌로 추정된닀[8].
읞구 êž°ë°˜ 혹은 지역 êž°ë°˜ 연구는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데 1년에 5.4-14.9%로 나타났닀[15-18]. 캐나닀의 읞구 êž°ë°˜ 연구에서 방묞을 통한 걎강 조사륌 수행하였는데 입원을 요하는 쀑슝 손상읎 뇌전슝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많았지만 발작 연ꎀ 손상읎 아닌 전첎 신첎 손상의 발생률은 음반읞곌 유의한 찚읎가 없는 것윌로 나타났닀. 읎는 닀륞 연구 결곌듀곌 찚읎가 있었닀[16].
나뚞지 연구듀은 병원 혹은 시섀(institution)의 환자듀을 대상윌로 닚멎 연구(cross-sectional study) 혹은 대조군곌 비교한 윔혞튞 연구듀읎닀. 각 연구자듀마닀 대상 환자군의 연령, 발작의 종류 및 빈도, 연구 수행 의료Ʞꎀ의 규몚, 왞래 혹은 응꞉싀 환자, 손상의 정의, ꎀ찰 êž°ê°„ 등읎 닀륎Ʞ 때묞에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을 직접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발생률도 13-47%로 닀양하게 볎고되었닀[3-6,12,16,19-24]. 난치 뇌전슝 환자륌 위한 시섀 혹은 3ì°š 의료Ʞꎀ의 연구에는 쀑슝 뇌전슝 환자듀읎 많읎 포핚되Ʞ 때묞에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읎 높고, ꎀ찰 Ʞ간읎 Ꞟ수록 발생률읎 높닀.
2. 발작 연ꎀ 손상의 부위, 종류 및 정도
2. 발작 연ꎀ 손상의 부위, 종류 및 정도
볞 연구에서 손상 부위는 두부(35.3%)가 가장 많았고 닀음윌로 두부 왞 연조직(29.4%), 구강 손상(17.6%), 치아 손상(11.8%), 곚절(5.9%) 순읎었윌며 화상은 한 명도 없었닀. 왞국의 연구에서도 두부 혹은 팔닀늬의 연조직 손상읎 가장 많았고 곚절곌 화상은 적은 것윌로 나타났는데 볞 연구에서도 연조직 손상읎 가장 많았닀[5,6,8,9,12,15,19-24]. 볞 연구와 동음하게 응꞉싀 환자륌 대상윌로 하였던 Kirby와 Sadler [8]의 연구에서는 곚절 9.0%, 화상 1.1%로 볎고되었는데 볞 연구에서는 곚절 5.9%, 화상은 한 명도 없었닀. 화상은 죌로 요늬 또는 샀워 도쀑에 뜚거욎 불읎나 묌 혹은 슝Ʞ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볞 연구에서는 낚성(69.7%)에 비핎 여성(30.3%)의 비윚읎 상대적윌로 적었닀. 읎는 우늬나띌에서는 낚성읎 요늬륌 잘 하지 않는 묞화적 찚읎에 Ʞ읞한 것윌로 추정된닀. 아욞러 심한 화상을 입윌멎 화상 전묞 의료Ʞꎀ을 방묞할 수 있는데 읎로 읞하여 볞 연구 대상에서 누띜되었을 가능성읎 있닀. 화상은 여성에서 2ë°° 많닀는 볎고가 있었고, 여성을 대상윌로 조사한 연구에서는 화상의 발생률(13.6%)읎 높았닀[6,19]. 의료Ʞꎀ에서 치료받은 걎강볎험 자료륌 분석한 연구에서는 곚절읎 가장 빈번한 손상의 종류로 나타났는데 읎는 겜믞한 손상은 의료Ʞꎀ을 방묞하지 않Ʞ 때묞에 상대적윌로 곚절의 빈도가 높았을 것윌로 추정된닀[18].
볞 연구에서는 닚음 손상읎 63.6%, 겜슝 손상읎 60.6%로 나타났는데 왞국의 볎고에서도 닚음 손상읎 많고 치료가 필요없는 겜슝 손상읎 대부분을 찚지하였닀[2,8,9,11,12,15,20]. 대조군곌 비교한 연구에서는 치료륌 요하거나 입원 치료가 필요한 쀑슝 손상의 발생률은 음반읞볎닀 뇌전슝 환자에서 높은 것윌로 나타났닀[16,18,25]. 성읞곌 달늬 소아에서는 닀발 손상읎 50% 읎상을 찚지하였닀는 볎고가 있었닀[22].
볞 연구에서 165명 가욎데 3명(1.8%)읎 사망하였는데 발작 연ꎀ 손상군에서 두개낎출혈로 1명(3.0%)읎 사망하였고 발작 연ꎀ 손상읎 없는 환자군에서는 2명(1.5%)읎 사망하였는데 발작 연ꎀ 손상군에서 치명률읎 높았닀. Kirby와 Sadler [8]의 연구에서는 전첎 560명 쀑에서 7명(1.3%)읎 사망하였는데 사읞은 뇌전슝 돌연사 3명, 앜묌 낚용 3명, 1명은 난치 뇌전슝 환자로 혌자 낚시하닀가 익사하였윌므로 발작에 의한 직접 사망은 전첎 560명 가욎데 1명(0.2%)윌로 볎는 것읎 합당하닀. 집닚 êž°ë°˜ 연구에서 신첎 손상에 의한 뇌전슝 환자의 사망률은 음반읞의 2-4배로 볎고되었닀[11,18,26,27].
3. 발작 연ꎀ 손상의 위험요읞
3. 발작 연ꎀ 손상의 위험요읞
발작 연ꎀ 손상에 대한 첎계적읞 연구 결곌에 따륎멎 전신강직간대발작, 난치 뇌전슝, 발작의 발생 빈도, 겜렚뇌전슝지속 상태, 군집발작, 발작할 때 쓰러지거나 발작 후 읎상 행동읎 동반되는 겜우 등읎 위험읞자로 나타났닀[2,4-6,9,12,17,19-24,28]. 연구자마닀 찚읎는 있지만 Ʞ저질환(뇌졞쀑, 뇌성마비, 신첎장애)의 병력, 알윔올사용장애, 복수의 항발작앜묌 복용, 낚성, 묞맹, 비수멎발작 등도 위험읞자로 작용하였닀.
볞 연구에서 발작 연ꎀ 손상의 유의한 위험요읞윌로는 젊은 나읎(p=0.037), 알윔올사용장애 병력(p=0.040), 발작 쀑 쓰러짐(p<0.001), 군집발작(p=0.013), 겜렚뇌전슝지속상태(p=0.032) 등윌로 나타났닀. 발작 연ꎀ 손상읎 거동읎 가능한 환자군에서만 발생하였Ʞ 때묞에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할 수 없었지만 거동읎 가능핚 역시 위험요읞윌로 작용하는 것윌로 판닚된닀.
볞 연구에서 한 번의 전신강직간대발작에서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은 26.0%로 나타났고 전신강직간대발작읎 아닌 겜우에는 2.3%로 맀우 큰 찚읎륌 볎였닀. 왞국의 왞래 êž°ë°˜ 섀묞조사에서도 전신강직간대발작의 발작 연ꎀ 손상 발생률은 22.9%, 전신강직간대발작읎 아닌 겜우에는 1.0%로 역시 큰 찚읎륌 볎였닀[9]. 최귌에 진행된 닀륞 연구에서는 전신강직간대발작 환자에서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읎 맀우 높았닀[24,29]. 전신강직간대발작(p=0.095)은 발작 쀑 쓰러짐곌 쀑복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볞 연구에서 통계적읞 유의성은 없었지만 발작 연ꎀ 손상의 위험요읞윌로 추정된닀.
왞국의 대조군 연구에서는 뇌졞쀑의 병력곌 신첎장애는 발작 연ꎀ 손상의 위험읞자로 작용한닀는 볎고가 있었닀[15,18]. 귞러나 볞 연구에서는 뇌졞쀑(odds ratio, 0.26; 95% confidence interval, 0.07-0.89)의 병력은 위험읞자가 아니었고 였히렀 발작 연ꎀ 손상의 발생률읎 낮았윌며 신첎장애로 독늜 거동읎 불가능한 환자군에서는 발작 연ꎀ 손상읎 발생하지 않았닀. 읎러한 찚읎는 연구 대상 및 방법의 찚읎에 Ʞ읞한 것윌로 판당되는데 볞 연구는 응꞉싀을 방묞한 환자륌 대상윌로 횡닚 연구륌 하였고 대조군 연구에서는 1년 혹은 2년 동안 발작 연ꎀ 손상을 조사하였Ʞ 때묞읞 것윌로 추정된닀.
혈쀑 암몚니아 농도는 전신강직간대발작 후에 슝가한닀는 볎고가 있얎서 조사하였는데 닀변량 회귀 분석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닀. 묞맹률의 겜우 현재 국낎에는 묞맹자가 거의 없Ʞ 때묞에 조사하지 않았닀[30]. 뇌파 분석에서는 발작방전, 뇌전슝몚양방전 및 국소서파의 유묎는 발작 연ꎀ 손상곌 연ꎀ성읎 없었고 뇌전슝의 유형에 따륞 유의한 찚읎도 없었닀.
4. 제한점
4. 제한점
첫짞, 볞 연구는 닚음 의료Ʞꎀ에서 연구륌 진행하였Ʞ 때묞에 선택 펞향을 배제할 수 없고 대상자 수가 적닀. 둘짞, 후향적윌로 의묎Ʞ록을 조사한 연구읎므로 응꞉싀 진료 Ʞ록지에 손상에 대한 Ʞ술읎 누띜되멎 결곌에 였찚가 발생할 수 있닀. 특히 발작 연ꎀ 손상곌 ꎀ렚된 Ʞ저질환 쀑 곚닀공슝곌 귌곚격질환에 대한 자료가 없고 발작 후 읎상 행동에 대한 Ʞ록읎 누띜된 환자가 많아서 분석에서 제왞하였닀. 발작 연ꎀ 손상의 종류 가욎데 출혈, 엎상, 곚절에 대핎서는 비교적 정확하게 Ʞ록되얎 있지만 플하혈종에 대한 조사는 불가능하였닀. ì…‹ì§ž, 후향적 연구는 추적 조사가 불가능하므로 삶의 질곌 우욞슝에 대한 조사는 할 수 없었닀. 향후 닀Ʞꎀ 전향 연구륌 시행핚윌로썚 볎닀 정확한 결곌륌 도출할 수 있을 것윌로 예상된닀.
5. ê²°ë¡ 
5. ê²°ë¡ 
발작 연ꎀ 손상은 환자의 육첎적 걎강을 위협할 뿐만 아니띌 정신사회적 잡멎에 영향을 믞쳐서 욎동, 사회 및 여가 활동을 Ʞ플하게 한닀[4]. 따띌서 발작 연ꎀ 손상의 위험요읞을 파악하여 읎륌 예방하는 것읎 쀑요하닀. 젊은 나읎, 알윔올사용장애 병력, 발작 쀑 쓰러짐, 군집발작, 뇌전슝지속상태, 전신강직간대발작 등곌 같은 위험요읞읎 동반된 환자듀에게는 규칙적윌로 앜묌을 복용하고 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요읞을 플하도록 교육핎알 하겠닀. 아욞러 낙상 방지 및 신첎 손상에 대한 대처법을 알렀쀌윌로썚 손상을 믞연에 방지하는 것읎 쀑요하닀. 뇌전슝 환자에서 알윔올사용장애의 병력읎 있윌멎 ꞈ죌의 쀑요성에 대하여 섀명하고 치료륌 받도록 핎알 하겠닀. 응꞉싀에서 발작 연ꎀ 손상의 위험읞자가 있는 발작 환자륌 진료할 때 신첎 손상의 여부륌 멎밀하게 확읞하고 손상을 조Ʞ에 치료하여알 한닀.
마지막윌로 발작 연ꎀ 손상의 여러 위험읞자가 밝혀젞 있지만 가장 쀑요한 것은 발작을 완전히 조절하는 것읎닀. 난치 뇌전슝 환자듀 가욎데 위험읞자가 있는 환자듀곌 전신강직간대 발작 혹은 묎ꞎ장발작곌 같읎 발작에 의핎 쓰러지는 환자듀은 발작의 조절읎 필요하닀.

Table 1.
Demographic detail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tients
Variable No injury group (n=132) Injury group (n=33) Total p-value
Age (years) 55.6±19.5 41.8±14.8 52.9±19.5 0.016
Gender
 Male 91 (68.9) 24 (72.7) 115 (69.7) 0.672
 Female 41 (31.1) 9 (27.3) 50 (30.3)
Alcohol use disorder
 Yes 16 (12.1) 11 (33.3) 27 (16.4) 0.003
 No 116 (87.9) 22 (66.7) 138 (83.6)
Smoking status
 Current smoker 23 (17.4) 7 (21.2) 30 (18.2) 0.614
 None smoker 109 (82.6) 26 (78.8) 135 (81.8)
Living situation
 Independent 98 (74.2) 33 (100.0) 131 (79.4) 0.003
 Supervised care 19 (14.4) 0 (0.0) 19 (11.5)
 Bedridden 15 (11.4) 0 (0.0) 15 (9.1)
Comorbidities
 HTN 45 (34.1) 4 (12.1) 49 (29.7) 0.013
 DM 31 (23.5) 3 (9.1) 34 (20.6) 0.067
 Ischemic heart disease 4 (3.0) 1 (3.0) 5 (3.0) 0.739
 Stroke 37 (28.0) 3 (9.1) 40 (24.2) 0.023
 Dementia 13 (9.8) 0 (0.0) 13 (7.9) 0.073
 Depression 5 (3.8) 3 (9.1) 8 (4.8) 0.205
 Cancer 14 (10.6) 2 (6.1) 16 (9.7) 0.430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number (%). Analyses were performed by using Student’s t-test for continuous variables and Pearson's chi-square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HTN; hypertension, DM; diabetes mellitus.

Table 2.
Seizure-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tients
Variable No injury group (n=132) Injury group (n=33) Total p-value
Seizure etiology
 Brain lesion
  Stroke, acute 4 (3.0) 2 (6.1) 6 (3.6) 0.406
  Stroke, chronic 29 (22.0) 4 (12.1) 33 (20.0) 0.206
  Acute CNS infection 8 (6.1) 0 (0.0) 8 (4.8) 0.147
  Previous CNS infection 0 (0.0) 0 (0.0) 0 (0.0)
  Trauma 5 (3.8) 1 (3.0) 6 (3.6) 0.835
  Tumor 5 (3.8) 3 (9.1) 8 (4.8) 0.205
  Other structural lesion 11 (8.3) 5 (15.2) 16 (9.7) 0.236
 Toxic-metabolic 14 (10.6) 2 (6.1) 16 (9.7) 0.430
 Alcohol-reated 13 (9.8) 8 (24.2) 21 (12.7) 0.026
 Unknown 43 (32.6) 8 (24.2) 51 (30.9) 0.354
Time of seizure
 Day/awake 74 (56.1) 23 (69.7) 97 (58.8) 0.155
 Nocturnal/sleep 58 (43.9) 10 (30.3) 68 (41.2)
Falling during seizure
 Yes 19 (14.4) 28 (84.8) 47 (28.5) <0.001
 No 113 (85.6) 5 (15.2) 118 (71.5)
Seizure cluster
 Yes 13 (9.8) 11 (33.3) 24 (14.5) 0.001
 No 119 (90.2) 22 (66.7) 141 (85.5)
Status epilepticus
 CSE 17 (12.9) 11 (33.3) 28 (17.0) 0.013
 NCSE 5 (3.8) 0 (0.0) 5 (3.0)
 No 110 (83.3) 22 (66.7) 132 (80.0)
Type of seizure
 GTCS 91 (68.9) 32 (97.0) 123 (74.5) 0.001
 Non-GTCS 41 (31.1) 1 (3.0) 42 (25.5)
Blood ammonia level (ÎŒmol/L) 54.8 (30.9) 74.3 (46.5) 58.7 (35.3) 0.003
History of epilepsy
 Yes 28 (21.2) 10 (30.3) 38 (23.0) 0.267
 No 104 (78.8) 23 (69.7) 127 (77.0)
Duration of epilepsy (years)a 9.1 (10.0) 10.0 (6.2) 9.4 (9.1) 0.271
Treatment compliancea
 Poor 8 (28.6) 6 (60.0) 14 (36.8) 0.077
 Good 20 (71.4) 4 (40.0) 24 (53.2)
Number of ASMsa
 0 1 (3.6) 0 (0.0) 1 (2.6) 0.650
 1 21 (75.0) 9 (90.0) 30 (78.9)
 2 3 (10.7) 0 (0.0) 3 (7.9)
 3 or more 3 (10.7) 1 (10.0) 4 (10.5)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Analyses were performed by using Student’s t-test for continuous variables and Pearson's chi-square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CNS; central nervous system, CSE; 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NCSE; 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GTCS;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 ASMs; anti-seizure medications.

a n=38.

Table 3.
Type and severity of seizure-related injuries
Variable Injury group
Type of injury
 Head injury 18 (35.3)
  Contusion 13
  Laceration 1
  Hemorrhage 4
 Soft tissue injury 15 (29.4)
  Contusion 13
  Laceration 2
 Dental 6 (11.8)
 Orolingual 9 (17.6)
 Fracture 3 (5.9)
 Burn 0 (0.0)
Number of injuries
 Multiple injuries 12 (36.3)
  2 7
  3 4
  4 1
 Single injury 21 (63.6)
Severity of injury
 Major injury 13 (39.3)a
 Minor injury 20 (60.6)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or number (%).

a One patient died because of the injury.

Table 4.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the risk factors of seizure-related injuries
Variable Univariate
Multivariatea
Unadjusted OR 95% CI p-value Adjusted OR 95% CI p-value
Age (years) 0.96 0.94-0.98 <0.001 0.97 0.94-1.00 0.037
Female sex 0.83 0.36-1.95 0.672 1.38 0.47-4.00 0.559
Alcohol use disorder 3.63 1.49-8.85 0.005 3.10 1.06-9.10 0.040
HTN 0.28 0.09-0.83 0.022 1.22 0.28-5.39 0.791
Stroke 0.26 0.07-0.89 0.032 0.91 0.21-3.97 0.903
Falling during seizure 33.31 11.44-96.95 <0.001 17.19 5.38-54.92 <0.001
Seizure cluster 4.58 1.82-11.52 0.001 4.92 1.39-17.33 0.013
CSE 3.24 1.33-7.85 0.034 3.53 1.12-11.17 0.032
NCSE NA NA
GTCS 14.42 1.91-109.14 0.010 6.26 0.73-53.81 0.095
Blood ammonia level (ÎŒmol/L) 1.01 1.00-1.02 0.007 1.01 1.00-1.02 0.105

OR; odds ratio, CI; confidence interval, HTN; hypertension, CSE; 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NCSE; 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NA; not available, GTCS;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

a Adjusted for age, gender, blood ammonia level, alcohol use disorder, living situation, history of hypertension and stroke, status epilepticus, and type of seizure.

Table 5.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the etiologies of seizures
Variable Univariate
Multivariatea
Unadjusted OR 95% CI p-value Adjusted OR 95% CI p-value
Brain lesion
 Stroke, acute 2.07 0.36-11.79 0.415 12.92 0.45-370.88 0.135
 Stroke, chronic 0.49 0.16-1.51 0.213 2.99 0.43-20.76 0.269
 Acute CNS infection NA NA
Previous CNS infection NA NA
 Trauma 0.84 0.09-7.03 0.836 0.29 0.16-5.38 0.408
 Tumor 2.54 0.58-11.22 0.219 6.97 0.84-58.00 0.072
 Other structural lesion 1.96 0.63-6.11 0.243 2.02 0.47-8.72 0.347
Toxic-metabolic 0.54 0.12-2.52 0.436 1.65 0.27-10.13 0.591
Alcohol-related 2.93 1.10-7.81 0.032 0.10 0.01-1.65 0.106
Unknown 0.66 0.28-1.59 0.356 0.48 0.15-1.59 0.231

OR; odds ratio, CI; confidence interval, CNS; central nervous system, NA; not available.

a Adjusted for age, gender, blood ammonia level, alcohol use disorder, living situation, history of hypertension and stroke, status epilepticus, and type of seizure.

Table 6.
Logistic regression models for EEG results of seizure among study population
Variable No injury (n=133) Injury (n=32) Univariate
Crude OR 95% CI p-value
Epileptiform discharge
 Nil 1
 Ictal discharge 10 2 0.88 0.18-4.29 0.876
Interictal epileptiform discharge 32 10 1.42 0.61-3.30 0.419
 Focal slow wave 83 23 1.70 0.75-3.84 0.207

OR; odds ratio, CI; confidence Interval.

REFERENCES
REFERENCES

1. Beghi E. Injuries in patients with epilepsy. Lancet Neurol 2005;4:71-72.
[Article] [PubMed]
2. Wirrell EC. Epilepsy-related injuries. Epilepsia 2006;47 Suppl 1:79-86.
[Article] [PubMed]
3. Tan M, D’Souza W. Seizure‐related injuries, drowning and vehicular crashes--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Curr Neurol Neurosci Rep 2013;13:361.
[Article] [PubMed]
4. Asadi-Pooya AA, Tomson T. A reappraisal of injuries and accidents in people with epilepsy. Curr Opin Neurol 2021;34:182-187.
[Article] [PubMed]
5. Willems LM, Watermann N, Richter S, Kay L, Hermsen AM, Knake S, et al. Incidence, risk factors and consequences of epilepsy-related injuries and accidents: a retrospective, single center study. Front Neurol 2018;9:414.
[Article] [PubMed] [PMC]
6. Verboket RD, Söhling N, Marzi I, Paule E, Knake S, Rosenow F, et al. Prevalence, risk factors and therapeutic aspects of injuries and accidents in women with epilepsy. Eur J Trauma Emerg Surg 2019;45:375-381.
[Article] [PubMed]
7. Cengiz O, Atalar AC, Tekin B, Bebek N, Baykan B, GÃŒrses C, et al. Impact of seizure-related injuries on quality of life. Neurol Sci 2019;40:577-583.
[Article] [PubMed]
8. Kirby S, Sadler RM. Injury and death as a result of seizures. Epilepsia 1995;36:25-28.
[Article] [PubMed]
9. Asadi-Pooya AA, Nikseresht A, Yaghoubi E, Nei M. Physical injuries in patients with epilepsy and their associated risk factors. Seizure 2012;21:165-168.
[Article] [PubMed]
10. Trinka E, Cock H, Hesdorffer D, Rossetti AO, Scheffer IE, Shinnar S, et al. A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status epilepticus--report of the ILAE task force on classification of status epilepticus. Epilepsia 2015;56:1515-1523.
[Article] [PubMed]
11. Tomson T, Beghi E, Sundqvist A, Johannessen SI. Medical risks in epilepsy: a review with focus on physical injuries, mortality, traffic accidents and their prevention. Epilepsy Res 2004;60:1-16.
[Article] [PubMed]
12. Asiri S, Al-Otaibi A, Al-Hameed M, Hamhom A, Alenizi A, Eskandrani A. Seizure-related injuries in people with epilepsy: a cohort study from Saudi Arabia. Epilepsia open 2022;7:422-430.
[Article] [PubMed] [PMC]
13. Martindale JL, Goldstein JN, Pallin DJ. Emergency department seizure epidemiology. Emerg Med Clin North Am 2011;29:15-27.
[Article] [PubMed]
14. Jeon JC, Bae H, Cho YW, Kim KT. The etiology and outcome of seizur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pilia: Epilepsy Commu 2019;1:18-22.
[Article]
15. Lawn ND, Bamlet WR, Radhakrishnan K, O’Brien PC, So EL. Injuries due to seizures in persons with epilepsy: a population-based study. Neurology 2004;63:1565-1570.
[Article] [PubMed]
16. Téllez-Zenteno JF, Hunter G, Wiebe S. Injuries in people with self-reported epilepsy: a population-based study. Epilepsia 2008;49:954-961.
[Article] [PubMed]
17. Tan M, Boston R, Cook MJ, D’Souza WJ. Risk factors for injury in a community-treated cohort of patients with epilepsy in Australia. Epilepsia 2019;60:518-526.
[Article] [PubMed]
18. Mahler B, Carlsson S, Andersson T, Tomson T. Risk for injuries and accidents in epilepsy: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Neurology 2018;90:e779-e789.
[PubMed]
19. Buck D, Baker GA, Jacoby A, Smith DF, Chadwick DW. Patients’ experiences of injury as a result of epilepsy. Epilepsia 1997;38:439-444.
[Article] [PubMed]
20. Beghi E, Cornaggia CM. Morbidity and accidents in patients with epilepsy: results of a European cohort study. Epilepsia 2002;43:1076-1083.
[Article] [PubMed]
21. Tiamkao S, Sawanyawisuth K, Asawavichienjinda T, Yaudnopakao P, Arunpongpaisal S, Phuttharak W, et al. Predictive risk factors of seizure-related injury in persons with epilepsy. J Neurol Sci 2009;285:59-61.
[Article] [PubMed]
22. Lagunju IA, Oyinlade AO, Babatunde OD. Seizure-related injur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pilepsy. Epilepsy Behav 2016;54:131-134.
[Article] [PubMed]
23. Dabla S, Puri I, Dash D, Vasantha PM, Tripathi M. Predictors of seizure-related injuries in an epilepsy cohort from North India. J Epilepsy Res 2018;8:27-32.
[Article] [PubMed] [PMC]
24. Salas-Puig X, Iniesta M, Abraira L, Puig J; QUIN-GTC study group. Accidental injuries in patients with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s. A multicenter, observational, cross-sectional study (QUIN-GTC study). Epilepsy Behav 2019;92:135-139.
[Article] [PubMed]
25. Kwon CS, Liu M, Quan H, Wiebe S, McChesney J, Wirrell E, et al. The incidence of injuries in persons with and without epilepsy--a population-based study. Epilepsia 2010;51:2247-2253.
[Article] [PubMed]
26. Aagaard SK, Dreier JW, Sun Y, Laursen TM, Christensen J. Accidental deaths in young people with epilepsy and psychiatric comorbidity-a Danish nationwide cohort study. Epilepsia 2020;61:479-488.
[Article] [PubMed]
27. Thurman DJ, Logroscino G, Beghi E, Hauser WA, Hesdorffer DC, Newton CR, et al. The burden of premature mortality of epilepsy in high-income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from the Mortality Task Force of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Epilepsia 2017;58:17-26.
[Article] [PubMed] [PMC]
28. Rao S, Stino A, Seraji-Bozorgzad N, Shah AK, Basha MM. Seizurerelated injury, and postictal aggression in refractory epilepsy patients. Epilepsy Res 2020;160:106281.
[Article] [PubMed]
29. Asadi-Pooya AA, Homayoun M. Tonic-clonic seizures in idiopathic generalized epilepsies: prevalence, risk factors, and outcome. Acta Neurol Scand 2020;141:445-449.
[Article] [PubMed]
30. Albadareen R, Gronseth G, Landazuri P, He J, Hammond N, Uysal U. Postictal ammonia as a biomarker for electrographic convulsive seizures: a prospective study. Epilepsia 2016;57:1221-1227.
[Article] [PubMed] [PMC]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