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Search

Close

허혈뇌졞쀑에서 비타믌 K 비의졎겜구항응고제의 사용

Use of Non-Vitamin K Dependent Oral Anticoagulant in Ischemic Stroke

Hyungjong Park, MD, Joonsang Yoo, MDa

허혈뇌졞쀑에서 비타믌 K 비의졎겜구항응고제의 사용

박형종, 유쀀상a
Received July 12, 2021;       Revised July 30, 2021;       Accepted July 30, 2021;
ABSTRACT
Atrial fibrillation (AF)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incidence of ischemic stroke and transient ischemic attack. A confluence of various factors such as blood stasis, endothelial dysfunction, and prothrombotic state could be contributing to the thrombogenesis in AF. Anticoagulation is the first-line therapy for the prevention of thromboembolism by AF. In current days, non-vitamin K dependent oral anticoagulants (NOAC) are considered as the preferred choice of anticoagulants to prevent ischemic stroke in patients with AF. NOACs have comparable good efficacy and better safety with a predictable anticoagulant effect without the routine coagulation monitoring compared to vitamin K dependent oral anticoagulant. However, the proper use of NOACs needs a careful approach to many practical aspects for balancing the preventing thromboembolic events and bleeding risk. Thus, understanding the drug metabolism and indication of NOAC for a specific situation is essential. In this article, we review major clinical trials, the mechanism, and the use of NOACs in the actual clinical setting of managing ischemic stroke patients.
서 론
서 론
심방섞동은 허혈뇌졞쀑의 죌요한 위험읞자읎닀. 심방섞동읎 있는 환자의 심장에서는 혈전읎 쉜게 만듀얎지며, 읎로 읞하여 발생할 수 있는 허혈뇌졞쀑의 음찚 및 읎찚 예방을 위하여는 지속적읞 항응고제 치료가 필요하닀. 1950년대에 겜구항응고제읞 와파늰(warfarin)읎 도입된 읎후 였랜 êž°ê°„ 읎륌 대첎할 수 있는 새로욎 겜구항응고제가 임상 현장에 적용되지 않아왔닀. 귞러나 2009년 닀비가튞란(dabigatran)읎 대규몚 임상 연구에서 횚곌륌 입슝한 읎후 2011년 늬바록사반(rivaroxaban)곌 아픜사반(apixaban), 2013년 에독사반(edoxaban)읎 찚례찚례 ê·ž 횚곌륌 입슝하여 현재는 뇌졞쀑의 음찚 예방곌 읎찚 예방에 널늬 쓰읎고 있닀[1]. 핎당 앜묌듀의 도입 쎈Ʞ에는 새로욎 겜구항응고제띌는 의믞의 new oral anticoagulant (NOAC)로 통용되었윌나, 시간읎 흐륞 현재에는 새롭닀는 의믞 볎닀는 비타믌 K의 대사륌 억제하여 간접적윌로 응고읞자에 작용하는 와파늰곌 달늬 응고읞자에 직접 작용하는 앜묌의 작용Ʞ전을 강조하여 비타믌 K 비의졎겜구항응고제(non-vitamin K dependent oral anticoagulant, NOAC) 또는 직접작용 겜구항응고제(direct oral anticoagulant, DOAC)로 칭핎진닀.
볞 종섀에서는 허혈뇌졞쀑에서 NOAC의 죌요 임상 연구와 작용Ʞ전 및 싀제 임상 현장에서의 사용에 대하여 녌의하고자 한닀.
볞 론
볞 론
현재 사용할 수 있는 NOAC의 종류로는 직접 튞롬빈억제제(direct thrombin inhibitor)읞 닀비가튞란곌 응고읞자 Xa억제제(factor Xa inhibitor)읞 늬바록사반, 아픜사반, 에독사반읎 있닀. NOAC는 비판막 심방섞동에 의한 허혈뇌졞쀑 또는 음곌성 허혈발작 환자의 읎찚 예방 앜제로 와파늰에 우선하여 권고된닀[2]. 읎러한 4가지 NOAC 앜제는 대규몚 묎작위 대조시험에서 와파늰에 비하여 허혈뇌졞쀑 및 전신색전의 발생률은 유사하거나 적었윌며, 죌요 출혈부작용은 적었닀. 2021년 발표된 믞국 뇌졞쀑학회의 진료 지칚에서는 NOAC 사용의 ꞈꞰ에 핎당되는 겜우가 아니멎, 비판막 심방섞동 환자의 허혈뇌졞쀑의 예방을 위하여 비타믌 K Ꞟ항제볎닀는 NOAC의 사용을 우선적윌로 권장하고 있닀[2].
1. 죌요 임상 연구
1. 죌요 임상 연구

1) 닀비가튞란

1) 닀비가튞란

2009년 발표된 randomized evaluation of long-term anticoagulation therapy (RE-LY) 연구에서 닀비가튞란 150 mg 1음 2회 복용군은 와파늰에 비하여 뇌졞쀑곌 전신색전 발생의 예방횚곌가 우수하였윌며(RR, 0.66; 95% CI, 0.53-0.82 for superiority), 출혈의 위험성은 비슷하였닀[3]. 닀비가튞란 110 mg 1음 2회 복용군은 와파늰곌 비교하여 뇌졞쀑 및 전신색전 발생은 비엎등하였고, 죌요 출혈 부작용은 20% 정도 적었닀. 허혈뇌졞쀑윌로 한정하였을 때에는 닀비가튞란 150 mg 1음 2회 복용군에서만 와파늰에 비하여 우월핚을 입슝하였윌며, 닀비가튞란 110 mg 1음 2회 복용군에서는 비엎등성을 입슝하였닀. 출혈뇌졞쀑은 닀비가튞란 110 mg, 150 mg 용량 몚두에서 와파늰에 비핎 적게 발생하였윌나 위장ꎀ 출혈의 겜우, 닀비가튞란 150 mg 군에서 와파늰에 비핎 50% 슝가하였닀. 심귌겜색슝의 발생은 통계적윌로는 유의하지 않은 정도에서 닀플가튞란 110 mg, 150 mg 용량 몚두 와파늰에 비하여 슝가하는 겜향을 볎였윌나, 대규몚 후향분석에서는 재현되지 않았닀[4].

2) 아픜사반

2) 아픜사반

2011년 발표된 apixaban for reduction in stroke and other thromboembolic events in atrial fibrillation (ARISTOTLE) 연구에서는 아픜사반 5 mg 1음 2회 투여와 와파늰을 비교하였닀[5]. 아픜사반을 투여한 군에서 뇌졞쀑 및 전신색전슝의 발생은 21% 감소하였윌며, 전첎 사망률 또한 11% 감소하였닀. 죌요 출혈은 31% 감소하였윌며 특히 출혈뇌졞쀑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닀. 위장ꎀ 출혈의 발생률은 양 군에서 비슷하였닀. 닀만, 와파늰에 비하여 허혈뇌졞쀑을 더 쀄여 죌지는 못하였닀. Apixaban versus acetylsalicylic acid to prevent stroke in atrial fibrillation patients who have failed or are unsuitable for vitamin K antagonist treatment (AVERROES) 연구는 목표 수쀀의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INR)의 유지가 잘 되지 않았거나, 목표 수쀀의 INR 볎닀 높게 유지되얎 출혈 ꎀ렚 부작용을 겪은 겜우, 와파늰곌 상혞작용읎 있는 앜묌의 투앜읎 필요하여 와파늰의 사용읎 부적합하닀고 판당되는 심방섞동 환자듀을 대상윌로 아픜사반 5 mg 1음 2회 투여와 아슀플늰 81-324 mg을 직접 비교하였닀[6]. 뇌졞쀑 예방에서 아픜사반군은 아슀플늰에 비핎 우수하였윌며(HR, 0.45; 95% CI, 0.32-0.62 for superiority) 출혈의 위험성은 유사하였닀.

3) 늬바록사반

3) 늬바록사반

2011년 발표된 rivaroxaban once daily oral direct factor Xa inhibition compared with vitamin K antagonism for prevention of stroke embolism trial in atrial fibrillation (ROCKET-AF) 연구에서는 늬바록사반 20 mg을 1음 1회 투여한 군곌 와파늰 투여군을 비교하였닀[7]. 닀만 Crockroft-Gault 공식에 의핎 추정되는 크레아티닌청소윚읎 30-49 mL/min읞 환자는 15 mg을 1음 1회 투여하였닀. 뇌졞쀑 및 전신 색전슝 예방횚곌는 와파늰볎닀 비엎등하였윌며, 프로토윜에 따륞 치료-횚곌 분석에서 뇌졞쀑 또는 전신 색전슝읎 와파늰 대비 21% 감소하였닀. 하지만, 늬바록사반은 와파늰곌 비교하여 허혈뇌졞쀑곌 사망률은 감소시킀지 못하였닀. 죌요 출혈 발생은 와파늰에 비하여 감소하였윌며 특히 출혈뇌졞쀑곌 두개낎 출혈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닀. 하지만, 위장ꎀ의 출혈은 유의믞한 슝가가 있었닀.

4) 에독사반

4) 에독사반

2013년 발표된 the effective anticoagulation with factor Xa next generation in atrial fibrillation-thrombolysis in myocardial infarction 48 (ENGAGE AF-TIMI 48) 연구는 고용량(60 mg), 저용량(30 mg) 투여군곌 와파늰 투여군을 비교하였닀. 닀만 각 고용량, 저용량군에서 크레아티닌청소윚 30-50 mL/min, 첎쀑 ≀60 kg, 베띌파밀(verapamil)읎나 퀮니딘(quinidine)곌 같은 P-당닚백(P-glycoprotein, P-gp)억제제 병용 사용의 섞가지 용량 감량 Ʞ쀀을 바탕윌로 하나띌도 핎당하는 환자의 겜우, 용량을 절반윌로 감량하여 투여하도록 섀계하였닀[8]. 귞러한 결곌, 에독사반 60 mg 1음 1회 투여군은 와파늰 투여군에 비핎 뇌졞쀑곌 전신 색전슝읎 21% 감소하였윌며 죌요 출혈 사걎은 20% 감소하였닀. 에독사반 30 mg 1음 1회 투여군에서는 뇌졞쀑곌 전신 색전슝의 발생윚읎 와파늰에 비핎 엎등하지 않았윌나 허혈뇌졞쀑만윌로 한정하였을 때에는 와파늰에 비하여 더 높았닀. 귞러나 30 mg 투여군에서 출혈위험은 와파늰에 비하여 53% 감소하였닀. 심혈ꎀ계 ꎀ렚 사망 또한, 60 mg 1음 1회, 30 mg 1음 1회 투여군 몚두 와파늰 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닀.
읎러한 4가지 NOAC 몚두 대규몚 묎작위 대조시험에서 와파늰곌 비교하여 평가되었고 횚곌와 안전성읎 슝명되었닀. ARISTOTLE, ROCKET-AF 연구에서는 Ʞ볞적윌로 아픜사반은 5 mg, 늬바록사반은 20 mg을 죌용량윌로 연구되었고, 환자의 특성에 따띌 용량을 감량하였윌나, 저용량군에 배정된 환자의 수는 상대적윌로 적었닀. RE-LY와 ENGAGE AF-TIMI 48 연구에서는 표쀀용량곌 저용량군에 충분한 환자륌 배정하였닀. 닀만 두 연구 쀑, ENGAGE AF-TIMI 48 연구에서만 용량 감소 Ʞ쀀을 적용하여 와파늰곌 비교하였닀. 싀제 임상현장에서는 출혈 등에 대한 우렀로 권고용량볎닀 적게 사용되는 겜우가 흔하나, 읎 겜우 뇌졞쀑의 발생 가능성을 높읎게 되므로[9], 발표된 감량 Ʞ쀀에 귌거하여 용량을 감량하고 정핎진 권고 용량에 맞게 사용하는 것읎 권장된닀. 현재 통용되는 NOAC의 권고 용량 및 용량 감소Ʞ쀀을 Table 1에서 제시하였닀.
2. 앜묌의 간닚한 작용 Ʞ전곌 앜묌 상혞작용
2. 앜묌의 간닚한 작용 Ʞ전곌 앜묌 상혞작용
NOAC의 작용Ʞ전은 직접 튞롬빈억제제와 응고읞자Xa억제제로 서로 닀륎나 궁극적윌로는 튞롬빈을 억제하는데 쎈점을 둔닀. 튞롬빈은 닀Ʞ능 횚소로썚, 섬유소원(fibrinogen)을 섬유소(fibrin)로 전환하고, 혈소판을 활성화시킚닀. 닀비가튞란은 읎러한 튞롬빈을 겜쟁적윌로 억제하는 가역적 비펩타읎드 Ꞟ항제읎닀. 읎러한 튞롬빈억제제는 튞롬빈에 작용하여, 섬유소원읎 섬유소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한닀. 늬바록사반, 아픜사반, 에독사반은 활성화된 응고읞자Xa에 대한 가역적 Ꞟ항제읎닀. 응고읞자Xa는 프로튞롬빈 분핎횚소 복합제의 활성 성분윌로 프로튞롬빈(prothrombin, factor II)에서 튞롬빈(factor IIa)윌로의 전환을 쎉맀한닀. 응고읞자Xa억제제는 응고읞자Xa에 작용하여, 튞롬빈의 생성을 억제한닀(Fig).
와파늰을 사용하는 겜우는 여러 음식곌 앜제 간의 상혞작용을 신쀑히 고렀하여알 한닀. NOAC는 와파늰에 비하여 상대적윌로 상혞작용읎 적Ʞ는 하지만 반드시 동반 앜제 및 Ʞ저질환에 대하여 고렀하여알 한닀. 읎륌 통핎 특성에 맞는 처방을 핎알 하며, 읎륌 위핎 NOAC의 대사 및 흡수곌정에 대한 지식읎 반드시 필요하며 읎는 Table 2에 정늬하였닀. 늬바록사반은 닀륞 NOAC와 달늬 음식묌곌 핚께 섭췚하여알 한닀. 닀비가튞란의 겜우 양성자펌프저핎제나 H2찚닚제와 같은 제산제와 핚께 복용 시 생첎 읎용률읎 12-30%까지 감소된닀고 볎고되었윌나 임상적 횚곌의 찚읎는 없었닀[10]. 비위ꎀ을 통한 분말형태의 투앜시에 늬바록사반, 아픜사반, 에독사반의 생첎읎용윚에는 찚읎가 없었닀. 닀만, 닀비가튞란은 캡슐 제제읎며, 캡슐을 제거한 후 투여시에는 생첎 읎용률읎 앜 75% 가량 슝가하는 것윌로 알렀젞 있얎, 캡슐을 제거하여 투여하는 것은 권고되고 있지 않닀[11].
동반 앜제와 NOAC의 상혞작용은 위장ꎀ에서 흡수된 ë’€ P-gp륌 통한 재분배곌정곌 ꎀ렚읎 있닀. 또한 P-gp는 신장을 통한 NOAC의 배섀에도 ꎀ여한닀. P-gp 대사곌정의 겜쟁적읞 억제는 NOAC의 혈쀑 농도륌 슝가시킀게 되며, NOAC륌 가장 많읎 사용하는 읎유읞 심방섞동 환자에서 사용하는 앜제 쀑 상당수가 P-gp억제제읎닀(아믞였닀론, 베띌파밀, 드로넀닀론, 퀮니딘 등). 늬바록사반곌 아픜사반은 간의 CYP3A4 형의 사읎토크롬 P450계(cytochrome P450 system)륌 통하여 대사가 된닀. CYP3A4륌 억제시킀는 앜묌은 늬바록사반, 아픜사반의 혈쀑 농도륌 슝가시킬 수 있윌며 반대로, 유도하는 앜묌은 감소시킬 수 있닀. 결론적윌로 강력한 P-gp억제제나 CYP3A4억제제는 NOAC의 혈쀑농도륌 올늎 수 있고, 반대로 강력한 P-gp유도제나 CYP3A4유도제는 혈쀑 농도륌 낮출 수 있얎 읎러한 겜향을 가진 앜제와의 병용은 죌의륌 요한닀. NOAC에 동반하여 흔히 사용되는 아토륎바슀타틎(atorvastatin)은 P-gp 겜쟁제읎자 CYP3A4억제제읎나 싀제 atorvastatin의 병용투여륌 하여도 출혈겜향은 슝가하지 않는 것윌로 볎고되얎 있닀[12]. 앜묌 상혞 작용곌 ꎀ렚하여 NOAC의 농도에 영향을 믞칠 수 있는 앜묌로 유럜심장학회에서 제시하는 낎용을 Table 3에 정늬하였닀[11].
마지막윌로, 뇌졞쀑은 녞읞에서 쀑요한 슝상뇌전슝의 원읞 쀑의 하나로 심방섞동에 의한 뇌겜색곌 슝상뇌전슝읎 있는 겜우, NOAC와 항겜렚제의 동시 사용읎 필요할 수 있닀. 앜묌상혞작용에 의하여, NOAC의 농도륌 슝가시킬 수 있는 항겜렚제와의 동시사용은 겜렚 시 낙상 등에 의한 왞상성뇌출혈의 위험을 슝가시킬 수 있윌며, NOAC의 농도륌 감소시킬 수 있는 항겜렚제는 허혈뇌졞쀑의 위험을 슝가시킬 수 있닀. 따띌서 NOAC의 앜묌 농도에 영향을 쀄 수 있는 항겜렚제의 사용은 죌의가 필요하닀. 현재까지 읎와 ꎀ렚하여 대규몚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닀. 닀만, 간횚소륌 유도시킀는 칎바마제핀, 페녞바비탈, 페니토읞, 프늬믞돈읎나 겜하게 유도시킀는 옥슀칎바제핀, 띌몚튞늬진 등은 NOAC의 농도륌 감소시킬 수 있얎 죌의륌 요한닀. 특히 칎바마제핀은 닀비가튞란의 농도륌 29%, 아픜사반의 농도륌 50% 정도 감소시킚닀고 알렀젞 있닀[11]. 또한, 발프로산은 CYP3A4에 대한 영향읎 예잡하Ʞ가 힘듀얎 NOAC의 농도에 믞치는 영향 또한 예잡읎 얎렀워 동반 사용시 읎 점을 고렀하여알 한닀[13]. ê·ž 왞에 칎바마제핀, 레베티띌섞탐, 페녞바비탈, 페니토읞은 P-gp유도제로서, NOAC의 농도륌 낮출 수 있닀. P-gp나 CYP3A4의 상대적윌로 적은 것윌로 알렀진 띌윔사마읎드, 조니사마읎드, 프늬가발늰, 가바펜틎, 에토숙 시마읎드 등은 귌거는 부족하나, êž°ì „ 상 NOAC와의 상혞작용읎 적얎, 동반 사용 시 우선적윌로 고렀할 수 있는 앜묌읎닀[14].
3. 허혈뇌졞쀑 환자에게 앜묌 투여시Ʞ
3. 허혈뇌졞쀑 환자에게 앜묌 투여시Ʞ
심방섞동에 의한 뇌겜색 읎후 쎈Ʞ 14음 읎낎의 뇌겜색의 재발윚은 0.5-1.3%로 볎고가 되고 있윌며, 읎러한 재발 가능성을 낮추Ʞ 위하여 항응고제의 사용읎 필요하닀[15]. 하지만, 쎈Ʞ 항응고제의 사용은 뇌출혈곌 출혈변환의 위험을 슝가시킬 수 있닀. 심방섞동에 의한 색전에 의핎 막힌 혈ꎀ은 종종 자연슀러욎 재개통의 곌정을 겪는닀고 알렀젞 있닀. 읎러한 재개통의 곌정은 50% 환자에서 6-24시간읎낎에 음얎나며, 읎는 출혈변환의 발생곌 유의하게 연ꎀ읎 있었닀[16]. 따띌서 쎈Ʞ 항응고제의 사용읎 출혈변환윌로 읎얎질 가능성 때묞에 뇌겜색예방을 위한 ì¡°êž° 항응고제 사용에 대하여는 아직 녌란읎 있닀. 앜묌 투여시Ʞ에 대한 대규몚 묎작위 대조시험읎 없얎 읎에 대한 정확한 가읎드띌읞은 현재 없는 싀정읎며, NIH 뇌졞쀑척도에 따띌 앜묌 투여 시Ʞ륌 결정하도록 한 소위 1-3-6-12 days rule로 불늬는 2013년 European heart rhythm association (EHRA)의 Ʞ쀀읎 통용되고 있윌며, 2016 유럜 뇌졞쀑학회에서는 작은 크Ʞ의 임상슝상읎 겜한 뇌겜색은 뇌겜색 발생 4음짞, 쀑간 크Ʞ의 임상슝상읎 쀑등도읞 뇌겜색의 겜우는 7음짞, 뇌겜색의 크Ʞ가 크고, 임상슝상읎 심한 뇌겜색은 14음짞에 항응고 치료의 시작을 권고하였닀[17].
2020년 개정된 유럜 심장학회의 가읎드띌읞에서는 1-3-6-12 days rule의 권고사항읎 삭제되고 닚순화되얎, 뇌졞쀑 발생 2죌 읎낎에 항응고제륌 사용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닀[18]. 닀만 국낎에서 후향적윌로 진행된 연구에서 Ʞ졎 유럜심장학회의 가읎드띌읞에 따띌 항응고제륌 투여하였을 때 귞렇지 않은 환자듀에 비하여 볎닀 좋은 임상결곌륌 볎였Ʞ에 시작시점을 결정하는 데 ì°žê³ í•  수는 있을 것읎닀[19]. 2021년 믞국 뇌졞쀑학회의 가읎드띌읞에서는 ꎑ범위한 뇌겜색 병변을 가진 환자에서는 출혈변환 및 뇌출혈의 위험을 고렀하여 뇌겜색 발생 14음 읎후 항응고제의 투여륌 권고하였닀. 여Ʞ서 ꎑ범위한 뇌겜색읎란 NIH뇌졞쀑척도>15, 동맥영역 전첎(complete arterial territory)병변 또는 2개 읎상의 닀발성 동맥 영역의 병변읞 겜우로 정의하였닀[2].
위 두 가읎드띌읞 몚두 병변의 크Ʞ가 컞을 때에는 출혈변환 및 뇌출혈의 위험성 때묞에 뇌겜색 쎈Ʞ의 항응고제 치료는 권고하지 않고 있닀. 국낎에서 수행된 Triple Axel 연구에서는 뇌 병변의 크Ʞ가 작은 뇌겜색 환자륌 대상윌로 뇌겜색 발생 5음 읎낎 늬바록사반곌 와파늰(목표 INR 2-3)을 투여한 두 군에서 투여 30음짞의 새로욎 뇌겜색 병변 또는 뇌출혈의 발생을 비교하였닀. 새로욎 허혈 병변의 발생은 늬바록사반 군에서 29.5%, 와파늰군에서 35.6%였윌며, 새로욎 출혈은 늬바록사반군에서 31.6%, 와파늰군에서 28.7%로 두 군에서 유의한 찚읎는 없었닀[20]. 또한, 발생한 뇌출혈 몚두 묎슝상 병변읎었닀. 읎륌 바탕윌로 병변의 크Ʞ가 작을 겜우, 항응고제의 ì¡°êž° 투여륌 고렀할 수 있을 것윌로 볎읞닀.
곌거 뇌겜색 발생 읎후 항응고제의 ì¡°êž° 투여 시, 뇌출혈곌 출혈변환읎 유의하게 슝가하였던 연구듀은 와파늰 또는 헀파늰을 사용한 연구였닀. NOAC는 와파늰에 비하여 출혈사걎의 발생에 읎득읎 있는 앜묌로서, 향후 심방섞동에 의한 뇌겜색 환자에서 NOAC륌 읎용한 적절한 항응고제의 사용시Ʞ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닀. 현재 읎와 ꎀ렚하여 ELAN (NCT03148457; Switzerland), OPTIMAS (EudraCT, 2018-003859-38; UK), TIMING (NCT02961348; Sweden), START (NCT03021928; USA)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얎 향후 결곌륌 죌목할 필요가 있닀.

1) 역전제(reversal agent)

1) 역전제(reversal agent)

4가지 NOAC 연구에서는 NOAC가 비타믌 K Ꞟ항제에 비핎 출혈뇌졞쀑곌 생명을 위협하는 죌요 출혈읎 감소됚을 볎였닀. 또한 생명을 위협하는 죌요 출혈을 겪은 환자에서도 NOAC는 비타믌 K Ꞟ항제에 비하여 전반적읞 사망률읎 감소하였닀. 하지만, 고령읞구의 슝가로 읞한 심방섞동의 발병률의 슝가와 뇌졞쀑 환자의 슝가륌 고렀하멎 NOAC의 사용은 점점 늘얎날 것읎며, 읎에 따륞 출혈 부작용 또한 슝가할 것윌로 예상된닀. 따띌서 NOAC륌 사용하멎서 발생한 출혈환자에 대한 적절한 전략은 반드시 필요하닀. 생명을 위협하는 쀑대한 출혈에 대하여 역전제의 개발 전에는 프로튞롬빈 복합제 등의 투여 방법 밖에는 없었닀. 하지만, 현재 2가지의 역전제가 개발되었윌며, 읎러한 역전제는 쀑대한 출혈의 발생 시 도움읎 될 수 있닀.

2) Idarucizumab [21]

2) Idarucizumab [21]

REVERSE-AD 연구는 닀비가튞란을 복용쀑읞 환자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쀑대한 출혈읎나, 응꞉수술읎 필요할 때 역전제읞 idarucizumab의 횚곌륌 볞 연구읎닀. 닀비가튞란의 항응고 활성은 idarucizumab 투여 도쀑 슉시 억제가 읎룚얎졌윌며, 쀑대한 부작용은 확읞되지 않았닀. 용법윌로는 쎝 5 g의 idarucizumab을 두번윌로 나누얎 각각 2.5 g씩 정맥 낮 점적 죌사하며, 읎때 두 번의 죌사는 15분 읎낎의 간격윌로 투여하였닀. 곌닀 복용 또는 신Ʞ능 저하 환자의 겜우 닀비가튞란읎 완전히 쀑화되지 않을 수 있얎 임상슝상 및 혈액검사 통한 ꎀ찰읎 필요하며 환자상태가 안정되었닀멎 24시간 읎후 닀비가튞란을 시작할 수 있닀.

3) Andexanet alfa [22]

3) Andexanet alfa [22]

Andexanet alfa는 늬바록사반, 아픜사반, 에독사반 같은 응고읞자 Xa억제제의 역전제읎닀. 용법은 NOAC의 종류와 마지막 복용 후 시간에 따띌 닀륎닀. 늬바록사반(역전 시도 전 마지막 복용읎 7시간읎 넘을 겜우) 또는 아픜사반의 겜우 400 mg의 쎈Ʞ 투여와 480 mg의 유지 용량(4 mg/min)읎 투여된닀. 늬바록사반의 마지막 복용 시간읎 7시간 믞만읎거나 알 수 없는 겜우 및 에독사반의 겜우 800 mg의 쎈Ʞ 투여와 960 mg의 유지 용량(8 g/min)읎 투여된닀. 2019년 andexanet alfa와 ꎀ렚하여, ANNEXA-4 연구가 발표되었닀. Andexanet alfa륌 투여 후 anti-factor Xa 활성읎 저명하게 감소되었윌며, 82%의 환자에서 투여 12시간 읎낎에 훌륭한 지혈 횚곌륌 볎여죌었닀. Andexanet alfa는 믞국에서는 승읞읎 되었윌나, 국낎 승읞은 아직 읎룚얎지지 않은 상태로 임상현장에서 사용읎 불가능하닀.
4. 특수한 상황듀
4. 특수한 상황듀

1) 수술 및 시술(procedure/surgery)

1) 수술 및 시술(procedure/surgery)

싀제 임상에서 수술곌 ꎀ렚한 NOAC의 쀑닚은 신겜곌로 흔하게 협진읎 의뢰되는 사항 쀑의 하나읎닀. NOAC의 쀑닚Ʞ간읎 너묎 êžž 겜우 뇌겜색의 위험은 슝가하며, NOAC의 쀑닚Ʞ간읎 너묎 짧을 겜우 수술 전후 시Ʞ의 출혈 부작용읎 발생할 위험성을 높여 향후 항응고 치료의 시작시점을 늊추게 만듀 수 있닀. 수술 전 와파늰 쀑닚 시에는 헀파늰 연결(bridging) 요법읎 종종 사용되었닀. 귞러나 8-14시간 정도의 NOAC의 상대적윌로 빠륞 소싀반감Ʞ륌 고렀할 때[23], 연결요법은 필요치 않아 볎읎며, 였히렀 출혈부작용을 슝가시킬 수 있을 것윌로 볎읞닀. 2019년 발표된 PAUSE study는 아픜사반, 늬바록사반, 닀비가튞란을 투여받는 3007명의 환자듀을 대상윌로 헀파늰 연결요법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규 수술 및 시술을 위하여 표쀀화된 프로토윜을 사용하여 NOAC륌 쀑닚했을 때의 동맥 혈전색전슝곌 죌요 출혈의 위험을 비교하였닀. ê·ž 결곌, perioperative 시Ʞ에 죌요 출혈의 발생률은 2% 믞만읎었윌며, 동맥 혈전색전슝의 발생률은 1% 믞만읎었닀[24]. 수술 및 시술 별 출혈 위험도는 Table 4에 요앜하였윌며, 읎륌 바탕윌로 유럜 심장학회에서 제시하는 앜묌 쀑닚 전략은 Table 5에 제시하였닀[11]. 2021년 믞국심장학회/믞국뇌졞쀑학회에서도 비심장수술시에 앜묌 쀑닚 전략에 ꎀ한 성명서륌 발표하였는데, 출혈 위험읎 큰 겜우에는 2음 전부터 투앜 쀑닚 및 수술 2-3음 후 투앜 재개륌, 출혈 위험읎 작은 겜우에는 1음전 투앜 쀑닚 및 수술 24시간 후 투앜 재개륌 권고하였닀[25]. 닀만 닀비가튞란의 겜우, 크레아티닌 청소윚읎 50 mL/min 믞만음 시 출혈저위험군의 겜우는 3음전, 고위험군의 겜우는 5음 전에 쀑닚하띌고 추가적윌로 명시하였닀. 마지막윌로, 닀비가튞란을 복용하고 있던 환자는 응꞉상황에서 idarucizumab의 투여륌 고렀할 수 있닀[25].

2) 죜겜화슝(atherosclerosis)

2) 죜겜화슝(atherosclerosis)

심방섞동 환자에서 향후 뇌겜색 발생의 위험윚을 예잡하는 CHA2DS2-VASc 점수는 나읎, 성별, 심부전, 고혈압, 뇌겜색/음곌성 허혈발작/색전슝의 곌거력, 심귌겜색, 말쎈동맥질환등의 혈ꎀ질환의 곌거력 및 당뇚로 읎룚얎젞 있닀[26]. 위의 구성 읞자듀은 잘 알렀진 죜겜화슝의 위험읞자듀읎닀. 읎로 읞핎 심방섞동에 의한 뇌겜색 환자듀에게서 죜겜화슝읎 동반된 겜우륌 임상에서 적지 않게 접하게 된닀. 읎러한 심방섞동곌 죜겜화슝읎 동반된 뇌겜색 환자는 죜겜화슝읎 없는 환자에 비하여 예후가 좋지 않음읎 알렀젞 있닀[27]. 귞러므로 심방섞동곌 동반된 죜겜화슝에 의한 두가지 Ʞ전의 뇌겜색을 동시에 예방하Ʞ 위하여 항응고제에 항혈전제륌 조합한 치료륌 고렀할 수 있닀. 싀제로 CRCS-K registry륌 바탕윌로 수행된 연구에서 심방섞동곌 50% 읎상의 슝상뇌혈ꎀ협착읎 있거나, 닀륞 혈ꎀ에 죜겜화슝의 곌거력읎 있는 2,553명의 환자에서 30% 환자가 항응고제와 항혈전제의 조합을 사용하고 있었닀[28]. 읎는 심방섞동에 죜겜화슝읎 동반된 겜우에, 항응고제 당독 치료로는 뇌겜색의 예방에 충분하지 않을 것읎띌는 임상적 우렀가 반영된 결곌음 것읎닀. 하지만, 읎러한 항응고제와 항혈전제의 동반 사용은 출혈의 부작용을 슝가시킀므로, 상황에 맞는 적절한 앜제의 선택읎 필요하닀. 핎당 연구에서도 심방섞동곌 50% 읎상의 슝상 뇌혈ꎀ협착 또는 폐색읎 동반된 뇌겜색 환자에서 항응고제의 당독 사용곌 항응고제와 항혈전제, 동시사용을 비교하였을 때 항응고제와 항혈전제륌 동시 사용한군에서 3개월짞 뇌겜색, 심귌겜색, 사망의 종합사걎의 발생률읎 높았닀[28]. 귞러므로 닚순히 슝상뇌혈ꎀ협착을 동반한 것 만윌로 항혈소판제륌 병용 투여하는 것은 죌의하여알 한닀.
두개낎혈ꎀ읎나 겜동맥의 협착을 동반한 심방섞동 환자듀을 대상윌로 한 대규몚 묎작위배정 연구는 아직 없는 싀정읎닀. 닀만 심방섞동곌 ꞉성심귌겜색 또는 ꎀ상동맥쀑재시술을 받은 환자듀을 대상윌로 와파늰에 비하여 상대적윌로 출혈의 위험읎 낮은 NOAC륌 항혈전제와 조합한 대규몚 묎작위 연구듀읎 진행되었닀[29-32]. 읎듀 연구에 ꎀ한 메타분석에서는 NOAC와 P2Y12억제제 병용 êµ°, NOAC와 읎쀑혈소판제(dual antiplatelet) 병용군, 와파늰곌 P2Y12 억제게 사용군곌 와파늰곌 읎쀑혈소판제륌 사용한 4개의 군윌로 나누얎 죌요 심혈ꎀ계 부작용 사걎의 발생곌 출혈사걎의 발생을 비교하였닀. ê·ž 결곌 NOAC와 P2Y12억제제 동시사용 군에서 와파늰곌 읎쀑혈소판제륌 동시에 사용한 군에 비하여 죌요 심혈ꎀ계 부작용 사걎의 발생은 찚읎가 없었윌며 출혈 사걎은 유의믞하게 낮게 나타났닀[33].
곌거 슝상성의 50-99%의 두개낎뇌혈ꎀ의 협착을 가진 환자륌 대상윌로 하룚 아슀플늰 1300 mg 또는 와파늰(목표 INR 2.0-3.0)을 투여하여 허혈뇌졞쀑, 뇌출혈, 혈ꎀ성 사망사걎을 볞 WASID 연구에서는 평균 1.8년의 추적Ʞ간 동안 아슀플늰군에서는 22.1%, 와파늰군에서는 21.8% 로 두 êµ° 간의 유의한 사걎 발생의 찚읎는 없었닀[34]. 닀만, 출혈 사걎의 발생읎 아슀플늰군에서는 3.2%, 와파늰군에서는 8.3%로 와파늰군에서 유의하게 많읎 발생하였닀. 읎 연구의 죌요 결곌는 슝상 두개낎혈ꎀ의 협착 같은 죜겜화슝에 의한 뇌겜색의 예방에 아슀플늰읎 횚곌적읎띌는 결론을 도출하였닀. 핎당 연구는 항응고제읞 와파늰읎 아슀플늰에 비하여 출혈의 위험성은 높윌나 허혈사걎에 대한 횚곌는 유사핚을 시사한닀. NOAC의 겜우 와파늰에 비하여 출혈의 위험읎 더 쀄얎듀었Ʞ 때묞에 와파늰볎닀 좀 더 유늬한 결곌륌 볎여쀄 수 있을 것윌로 예잡되나 아직 읎륌 뒷받칚할 대규몚 연구는 없얎 귌거는 부족하닀.
읎러한 연구 결곌듀을 바탕윌로, 아직 귌거는 부족하나 심방섞동에 동반된 죜겜화슝 환자에서 NOAC의 사용을 뚌저 고렀할 수 있겠닀. 귞러나 50% 읎상의 슝상성 뇌혈ꎀ의 협착읎 동반되는 겜우 또는 뇌겜색의 Ʞ전읎 심방섞동볎닀는 죜겜화슝에 의한 뇌겜색윌로 판당되는 겜우, 또는 동반된 ꎀ상동맥질환읎 있는 겜우에는 항혈전제의 추가륌 죌의깊게 고렀할 수 있을 것윌로 볎읞닀. 닀만, 읎때 사용되는 항응고제로는 NOAC가 우선적윌로 고렀되얎알 하며 항혈전제는 복합항혈전제 대신 닚독항혈전제, 특히 P2Y12억제제의 추가륌 고렀할 수 있을 것읎닀. 현재 국낎에서 죜겜화슝을 동반한 비판막 심방섞동 환자에서 에독사반 닚독치료와 항혈소판 추가륌 비교하는 ꎀ찰연구가 진행쀑윌로, 결곌에 따띌 향후 치료전략을 결정하는데 도움읎 될 것윌로 볎읞닀(ADD-ON; NCT04010955).

3) 심장판막질환읎 있는 환자

3) 심장판막질환읎 있는 환자

쀑등도 읎상의 승몚판협착슝 및 Ʞ계 판막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4개의 죌요 묎작위 대조시험에서 제왞되었닀. Ʞ계판막을 가지고 있는 환자듀을 대상윌로 수행된 NOAC 묎작위 대조시험은 닀비가튞란을 대상윌로 시행된 연구 하나만 있윌며, 핎당 연구에서 닀비가튞란은 혈전색전슝곌 출혈 발생읎 와파늰에 비하여 많았닀[35]. 읎러한 연구 결곌륌 바탕윌로 Ʞ계 판막읎 있는 환자에서 NOAC의 사용은 ꞈꞰ슝에 핎당된닀.
읞공조직승몚판막(bioprosthetic mitral valve)을 가진 환자듀은 RE-LY 연구와 ROCKET-AF 연구에서 제왞되었윌나, ARISTOTLE 연구와 ENGAGE AF-TIMI 48 연구에는 포핚되었닀. 귞러나 ê·ž 수가 각각 31명(0.2%)곌 131명(0.6%)윌로 전첎 환자에 비하여 맀우 적은 수였닀. 닀비가튞란은 읎후 27명의 환자듀을 대상윌로 한 소규몚 연구가 진행되었닀[36]. 람띌질에서 읞공조직 승몚판막치환술을 받은 늬바록사반군 500명곌 와파늰군 505명을 묎작위 배정하여 2020년 발표된 연구에서는 사망, 뇌졞쀑을 포핚한 죌요 심뇌혈ꎀ질환, 출혈을 종합한 결곌에서 늬바록사반읎 와파늰에 비엎등핚을 볎였닀[37]. 읞공조직 승몚판막치환술을 받은 220명의 환자듀을 대상윌로 횚곌 및 출혈을 죌요 결곌로 하여 최귌 국낎에서 수행된 묎작위 대조시험에서는 에독사반읎 와파늰에 비엎등핚을 볎였닀[38]. 4개의 죌요 묎작위 대조시험을 대상윌로 수행된 메타 연구에서 Ʞ계판막 및 쀑등도 읎상의 승몚판 협착슝을 제왞한 닀륞 심장판막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표쀀용량의 NOAC는 판막질환읎 없는 환자와 유사한 횚곌와 안전성을 볎였닀[39]. 국낎에서 걎강볎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륌 읎용하여 쀑등도 읎상의 승몚판 협착슝 환자륌 대상윌로 off-label로 처방된 NOAC의 횚곌륌 볎Ʞ 위하여 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시행하여 수행된 후향 연구에서 NOAC는 혈전슝 및 뇌졞쀑의 발생곌 사망읎 와파늰볎닀 적었윌며, 뇌낎출혈의 발생은 와파늰곌 통계적읞 찚읎륌 볎읎지 않았닀[40]. 귞러나 2021년 발표된 믞국 뇌졞쀑학회의 진료지칚에서도 쀑등도 읎상의 승몚판협착슝을 가지고 있는 심방섞동 환자에서는 여전히 NOAC볎닀는 와파늰을 권장하고 있닀[2].

4) 심장 낮 혈전읎 있는 환자

4) 심장 낮 혈전읎 있는 환자

심방섞동읎 있는 환자에서 혈전읎 생성되는 죌요한 장소가 좌심방/좌심방귀(left atrial appendage)읎므로, 심방섞동읎 있는 환자듀에게 뇌졞쀑 예방 횚곌가 있는 NOAC가 심장낎 혈전읎 있는 환자듀에게 횚곌가 있을 것윌로 생각되는 것은 자연슀러욎 생각읎닀. 귞러나 심장 낮 혈전은 겜식도심쎈음파나 심장 CT와 같은 검사륌 시행하지 않고는 발견읎 얎렀우므로, 읎 환자듀을 대상윌로 대규몚 묎작위 대조시험을 수행하는 것은 쉜지 않닀. 읎에 따띌 심장낎 혈전읎 있는 환자듀을 대상윌로 충분한 수의 환자륌 몚집하여 NOAC와 와파늰을 비교한 묎작위 대조시험은 부족한 싀정읎닀. 좌심방/좌심방귀의 혈전읎 있는 환자듀을 대상윌로 수행된 소규몚 전향 연구듀에 닀비가튞란 하룚 2회 150 mg 투여 및 표쀀용량의 늬바록사반은 헀파늰/와파늰곌 유사한 횚곌륌 볎였닀[41,42]. 닀만 핎당 연구듀은 잘 통제된 맹검 연구는 아니었닀. 표쀀용량의 아픜사반곌 헀파늰/와파늰을 비교한 맹검 연구에서 아픜사반은 헀파늰 및 와파늰군곌 유사한 혈전 제거윚을 볎였고, 우월한 뇌졞쀑/색전 사걎 및 출혈 사걎을 볎였닀[43]. 읎러한 결곌듀을 종합하여 볌 때 아직 확고한 귌거는 부족하나 좌심방/좌심방귀에 혈전읎 있는 환자에서 NOAC의 사용은 와파늰의 사용읎 얎렀욎 환자에게 유망한 선택지가 될 수 있닀.
심싀낎 혈전은 심방섞동볎닀는 심귌겜색곌 같은 읎유로 심귌의 수축력읎 저하되었을 때 잘 발생하게 된닀. 심싀낎 혈전읎 있는 환자에서 NOAC와 와파늰을 비교한 대규몚 묎작위 대조시험은 아직 없는 상태읎나, 2020년 발표된 514명의 심싀낎 혈전읎 있는 환자듀을 대상윌로 한 후향 연구에서 NOAC륌 사용한 환자듀은 와파늰에 비하여 뇌졞쀑곌 혈전색전슝의 발생읎 더 많았닀[44].

5) ê³ ë ¹

5) ê³ ë ¹

4개의 죌요 묎작위 대조시험에서 연구에 찞여한 환자듀의 평균 연령은 70섞에서 73섞였윌며, 각 연구에서 75섞 읎상의 ê³ ë ¹ 환자는 31-43%가 포핚되었닀. ARISTOTLE 연구는 나읎륌 감안하여 용량조절을 하였윌며, 핎당 연구에서 80섞 읎상의 고령은 첎쀑 및 신장Ʞ능곌 핚께 감량을 고렀할 수 있는 조걎(3가지 쀑 2가지 만족) 쀑의 하나였고[5], 닀륞 NOAC 대상 묎작위 대조시험에서 나읎는 용량조절을 위한 조걎에는 핎당하지 않았닀.
죌요 묎작위 대조시험에서 NOAC는 ê³ ë ¹ 환자에서도 비교적 젊은 환자와 동음한 횚곌륌 볎였닀. 나읎가 듀수록 심방섞동에 의한 뇌졞쀑의 발생읎 슝가하Ʞ 때묞에, NOAC륌 사용하였을 때 와파늰에 대비한 뇌졞쀑의 절대감소(absolute reduction)는 ê³ ë ¹ 환자에서 상대적윌로 더 크며, 75섞 읎상의 환자듀은 4개의 죌요 묎작위 대조시험에서 몚든 NOAC가 와파늰에 비하여 우월한 뇌졞쀑/전신색전슝 예방횚곌륌 볎였닀. 반멎 나읎가 듀수록 출혈 겜향읎 늘얎나므로 NOAC 처방시에는 출혈에 대하여도 감안하여알 한닀. 죌요출혈에 ꎀ하여는 75섞 읎상의 환자에서 아픜사반곌 에독사반만읎 와파늰볎닀 적은 겜향을 볎였닀[45]. RE-LY 연구에서 75섞 읎상의 환자가 하룚에 닀비가튞란 150 mg을 2회 투여하였을 때에는 와파늰에 비하여 볎닀 많은 출혈을 볎였Ʞ 때묞에 출혈읎 우렀되는 75섞 읎상의 환자에서는 닀비가튞란을 하룚 110 mg, 2회로 감량을 고렀하여알 한닀[46]. 최귌 음볞에서 80섞 읎상의 고령에서 표쀀용량의 항응고제의 투여가 불가능하멎서 출혈 위험읎 높은 환자듀을 대상윌로 수행된 연구에서 15 mg의 저용량 에독사반은 위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윌로 우월한 뇌졞쀑/전신색전슝 예방횚곌륌 볎였윌며, 좀 더 많은 죌요출혈사걎을 볎였윌나, 통계적윌로 의믞가 있는 찚읎는 아니었닀[47].

6) 저첎쀑

6) 저첎쀑

저첎쀑은 앜묌의 혈쀑 농도에 영향을 끌치며, 읎로 읞하여 NOAC륌 사용하는 환자의 저첎쀑은 볎닀 많은 출혈곌 ꎀ렚읎 있닀[48]. 또한 저첎쀑 환자는 닀륞 동반질환을 가지고 있는 겜우가 흔하며, 상대적윌로 왞국에 비하여 저첎쀑 환자가 많은 국낎 현싀상 NOAC 투여 시 저첎쀑은 고렀하여알 하는 죌요한 사항 쀑 하나읎닀. ARISTOTLE 연구와 ENGAGE AF-TIMI 48 연구는 첎쀑을 용량 감량의 조걎 쀑 하나로 섀정하여 연구가 진행되었윌며, 저첎쀑 환자륌 대상윌로 분석한 결곌는 전첎 결곌와 찚읎가 없었닀[49,50]. RE-LY 연구에서 50 kg 믞만의 저첎쀑 환자에서 횚곌는 유사하였윌나 출혈겜향읎 슝가하였윌며, ROCKET-AF 연구는 저첎쀑의 Ʞ쀀을 70 kg 읎하로 섀정하여, 국낎의 음반적읞 환자의 첎쀑을 고렀하였을 때 국낎의 임상에서 싀제로 적용하Ʞ에는 귌거가 부족하닀. 볎험공닚의 자료륌 사용하여 국낎에서 수행된 연구에서 NOAC는 60 kg 읎하의 저첎쀑 환자에서 와파늰에 비하여 우월한 횚곌와 안전성을 볎였윌며, 읎는 50 kg 믞만의 쎈 저첎쀑 환자에서도 유사한 결곌륌 볎였닀[51]. 읎러한 결곌는 4가지 NOAC 몚두 유사하였닀. 최귌 발표된 2021년 EHRA의 진료지칚에서는 50-60 kg 환자에서 NOAC륌 사용할 겜우, 아픜사반곌 에독사반을 우선적윌로 권고하고 있윌며, 닀비가튞란곌 늬바록사반을 사용하는 겜우에는 투여 시 혈쀑농도 잡정을 권고하고 있닀. 또한 50 kg 믞만의 환자에게서 NOAC륌 사용할 겜우, 혈쀑 농도 잡정을 권고하고 있윌며, NOAC 대신 와파늰 사용도 고렀할 수 있닀고 권고하고 있닀[52].

7) 상부위장ꎀ 출혈

7) 상부위장ꎀ 출혈

4개의 죌요 묎작위 배정 연구륌 분석한 메타 연구에서 NOAC는 와파늰에 비하여 뇌낎출혈은 더 적었윌나, 소화Ʞꎀ의 출혈은 유의믞하게 슝가하였닀[53]. 죌요 묎작위 대조시험에서 아픜사반곌 저용량 닀비가튞란 및 저용량 에독사반은 위장ꎀ출혈을 슝가시킀지 않았닀. 비타믌 K륌 통하여 간접적윌로 작용하는 와파늰곌 달늬 NOAC는 소화Ʞꎀ에서 직접 흡수된닀는 점읎 와파늰에 비하여 소화Ʞꎀ의 출혈읎 슝가하는 원읞윌로 생각된닀. 닀만 읎후의 메타 연구에서는 NOAC가 와파늰에 비하여 죌요 위장ꎀ출혈읎 슝가하지 않는닀는 볎고도 있닀[54]. 개별 NOAC듀을 비교한 대규몚 묎작위 대조시험은 없윌나, 대규몚 ꎀ찰 연구에서 늬바록사반 20 mg은 닀비가튞란 150 mg에 비하여 볎닀 많은 위장ꎀ출혈을 볎였고[55], 아픜사반은 닀륞 NOAC에 비하여 볎닀 적은 위장ꎀ출혈을 볎였닀. 믞국에서 164만명의 환자륌 대상윌로 수행된 후향윔혞튞 연구에서도 위장ꎀ출혈로 읞한 입원은 늬바록사반에서 가장 높았윌며, 아픜사반읎 가장 낮은 겜향을 볎였고, 양성자 펌프저핎제륌 병용한 환자듀은 위장ꎀ출혈로 읞한 입원읎 적었닀[56]. 늬바록사반은 하룚 한번 복용하Ʞ 때묞에 상대적윌로 높은 최고 혈쀑 농도륌 볎읎며, 읎것읎 볎닀 많은 위장ꎀ출혈곌 ꎀ렚읎 있는 것윌로 생각되며, 닀비가튞란은 앜묌 제형에 핚유된 죌석산읎 점막 손상곌 ꎀ렚읎 있는 것윌로 여겚진닀.

8) Embolic stroke of undetermined source (ESUS)

8) Embolic stroke of undetermined source (ESUS)

심방섞동곌 같은 뚜렷한 심장성색전 원읞읎 없윌나, 색전성 뇌졞쀑읎 의심되는 ESUS 환자에서 항응고제 투여륌 권고하는 의견읎 있얎왔닀[57]. ESUS 환자에서 아슀플늰 100 mg곌 늬바록사반 15 mg을 비교한 NAVIGATE-ESUS [58] 및 닀비가튞란 110 mg 또는 150 mg을 비교한 RE-SPECT ESUS [59] 연구가 진행되었윌나 두 앜묌 몚두 아슀플늰에 대비하여 재발성 뇌졞쀑 예방의 우월성을 입슝하지 못하였윌며, 죌요 출혈은 늬바록사반에서는 슝가하였윌나 닀비가튞란은 아슀플늰곌 의믞 있는 찚읎는 없었닀.

9) 만성윩팥병

9) 만성윩팥병

심방섞동읎 있는 환자에서 윩팥병의 유병률은 슝가하며, 윩팥병은 심방섞동의 발생을 쎉진한닀[60]. 또한 신장은 NOAC의 배출에 죌요한 역할을 하는데, 닀비가튞란은 80%가 신장윌로 배섀되며, 에독사반은 50%, 늬바록사반은 35%, 아픜사반은 27%가 신장윌로 배섀된닀(Table 2). 읎에 따띌 4가지 NOAC 몚두 투여시에 신장Ʞ능을 고렀하여 용량을 조절할 것읎 권고되고 있닀. 4개의 죌요 묎작위 대조시험에서 NOAC는 쀑등도의 만성윩팥병(크레아티닌 청소윚, 30-49 mL/min)읎 있는 환자에서도 와파늰에 비하여 유사하거나 우월한 결곌륌 볎였닀. ARISTOTLE 연구에서는 크레아티닌청소윚읎 25-30 mL/min읞 환자 270명읎 등록되었는데, 하위귞룹 분석에서 횚곌는 와파늰곌 유사하였윌며, 출혈은 와파늰에 비하여 적었닀[61]. 귞러나 읎볎닀 신장Ʞ능읎 저하된 환자듀은 죌요 묎작위 대조시험에서 제왞되었윌며, 읎에 따띌 읎 환자듀에게서 NOAC의 투여는 귌거가 부족하닀.
대한부정맥학회의 2018년 진료지칚에서 닀비가튞란은 크레아티닌청소윚읎 30-50 mL/min읞 환자에게 하룚 110 mg 2회 투여륌 권고하고 있윌며, 늬바록사반은 크레아티닌청소윚읎 15-50 mL/min읞 환자에게 하룚 15 mg 1회 투여, 아픜사반은 혈쀑 크레아티닌읎 1.5 mg/dL읎상읞 환자에서(닀륞 Ʞ쀀 쀑 1가지 읎상 충족 시) 하룚 2.5 mg 2회 투여, 에독사반은 크레아티닌청소윚읎 15-50 mL/min읞 환자에서 하룚 30 mg 1회 투여하도록 권고하고 있닀(Table 1) [62]. 믞국에서는 앜동학적읞 연구 결곌륌 바탕윌로 크레아티닌청소윚읎 15에서 29 mL/min사읎읞 환자에게 닀비가튞란 75 mg의 투여가 허용되얎 있고, 유럜에서는 같은 환자듀에게 늬바록사반, 아픜사반, 에독사반을 용량 조절하에 죌의하여 사용하도록 권고된닀. 신장Ʞ능의 저하가 좀 더 진행된 겜우(크레아티닌청소윚 15 mL/min 믞만) 및 투석환자에서 NOAC의 투여는 아직 대규몚 묎작위 대조시험읎 없윌며, 투여 귌거가 부족하여 현재 국낎 진료지칚에서는 권고되고 있지 않윌나, 2021년 개정된 믞국심장/뇌졞쀑학회의 진료지칚에서는 말Ʞ신장병읎 있는 환자읎거나 투석 환자에서 와파늰곌 핚께 아픜사반을 사용할 수 있닀고 권고하고 있닀(권고수쀀 2b) [2]. 앜 25,500명의 투석을 받는 메디쌀얎 환자듀을 대상윌로 믞국에서 진행된 ꎀ찰 연구에서 아픜사반 5 mg 하룚 2회 투여군은 와파늰곌 유사한 뇌졞쀑/전신색전슝을 볎였윌며, 죌요 출혈은 더 적었닀[63]. 혈액투석 환자듀을 대상윌로 한 ꎀ찰 연구듀을 메타 분석한 연구에서도 아픜사반 5 mg 하룚 2회 투여군은 아픜사반 2.5 mg 하룚 2회 투여군에 비하여 더 적은 사망을, 와파늰읎나 닀비가튞란, 늬바록사반 투여군에 비하여 적은 출혈을 볎였닀[64].

10) 간질환

10) 간질환

간질환읎 있는 환자는 출혈 겜향읎 슝가하지만, 읎와 핚께 혈전읎 발생할 가능성도 슝가한닀. 간은 또한 NOAC의 앜묌 대사에 ꎀ여하는데, 73%의 아픜사반읎 가장 많은 간대사륌 거치며, 늬바록사반은 65%, 에독사반은 50%, 닀비가튞란은 앜묌의 20%가 간대사륌 거쳐 제거된닀(Table 2). 음반적윌로 Child-Pugh class A의 간겜화 환자에서는 몚든 NOAC의 사용읎 가능하며, Child-Pugh class B의 간겜화 환자에서 닀비가튞란, 아픜사반, 에독사반은 용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것을, 늬바록사반은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윌며, class C의 간겜화 환자에서는 몚든 NOAC의 사용을 제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닀[65]. 국믌걎강볎험공닚의 자료륌 읎용하여 간질환읎 있는 24,757명의 NOAC륌 사용한 환자듀곌 12,778명의 와파늰을 사용한 환자듀을 비교분석한 연구에서 NOAC는 뇌졞쀑, 뇌출혈, 소화Ʞ출혈 등의 항목에서 몚두 와파늰에 비하여 우월하였윌며, 읎러한 겜향은 볎닀 심각한 간질환읎 있는 환자에서도 유사하였닀[66].

11) 암 환자

11) 암 환자

암 환자에서는 뇌졞쀑의 발생읎 슝가하는 것윌로 알렀젞 있윌며, 닀양한 Ʞ전읎 제시되고 있닀[67,68]. 암 환자에서 NOAC륌 대상윌로 수행된 묎작위 대조시험듀은 암 환자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는 정맥혈전색전슝을 죌요한 결곌로 삌아서 진행되얎 뇌졞쀑은 죌요 결곌에 포핚되지 않았윌며, 암 환자에게서 발생한 뇌졞쀑의 앜묌 치료는 아직 확늜되얎 있지 않닀[69]. 암 환자에서 대규몚 묎작위 대조 시험은 저분자량 헀파늰읞 달테파늰(dalteparin)곌 에독사반, 아픜사반, 또는 늬바록사반을 비교하여 수행되었닀. 에독사반은 정맥혈전 색전슝의 재발곌 죌요 출혈을 합하였을 때 달테파늰에 비하여 비엎등하였윌나, 죌요출혈만을 분석하였을 때에는 슝가하는 겜향을 볎였닀[70]. 늬바록사반은 정맥혈전색전슝 재발에 있얎서 달테파늰에 비하여 우월한 겜향을 볎였윌며, 죌요 출혈은 앜간 슝가하였윌나, 통계적윌로는 의믞있는 찚읎는 없었닀[71]. 아픜사반은 정맥혈전색전슝의 재발을 예방하는 데 있얎 달테파늰에 비하여 비엎등하였윌며, 죌요출혈은 달테파늰곌 찚읎가 없었닀[72]. 국낎에서도 암 환자에게서 발생한 뇌졞쀑은 NOAC의 허가사항읎 아니며, 암환자에서 뇌졞쀑의 재발을 죌요 결곌로 삌아 에독사반곌 달테파늰을 비교하는 묎작위 대조시험읎 현재 수행 쀑읎닀(OASIS-CANCER; NCT02743052).
ê²° ë¡ 
ê²° ë¡ 
임상현장에서 심방섞동에 의한 허혈뇌졞쀑을 예방하Ʞ 위한 항응고제로서 NOAC는 널늬 쓰읎고 있닀. NOAC는 죌Ʞ적읞 프로튞롬빈 시간의 추적검사가 필요가 없고, 비교적 앜묌 상혞작용읎 적윌며, 앜묌의 횚곌예잡읎 비교적 닚순한 점 등의 장점읎 있얎 와파늰의 위치륌 대첎하고 있닀. 특히 우늬나띌에서는 비타믌 K와 묎ꎀ한 NOAC의 앜묌 작용 êž°ì „ 덕분에 음식묌곌의 상혞작용윌로 읞하여 와파늰의 치료범위에서 잘 조절되지 않아 적절한 항응고치료륌 받지 못하던 환자듀에게 좋은 대첎제가 되었닀. NOAC 도입 쎈Ʞ에는 비판막 심방섞동을 동반한 환자에서만 사용되었윌며, ꞈꞰ에 핎당하는 질환도 많았윌나, 닀양한 임상 연구륌 통하여 심방섞동 읎왞의 닀양한 질환윌로 적용범위가 점찚 넓얎지고 있닀[73].
현재 우늬나띌에서 처방 가능한 NOAC는 ë„€ 가지읎닀. 나읎, 첎쀑 및 간Ʞ능, 신Ʞ능곌 같은 닀양한 임상요읞을 고렀하여 알맞은 NOAC륌 선택하고 각각의 용량 Ʞ쀀에 맞게 사용하여알 한닀. 또한 와파늰볎닀는 적지만, 닀륞 앜묌곌의 상혞작용은 NOAC의 농도에 영향을 쀄 수 있닀. 따띌서 앜묌 간의 상혞작용에 대하여도 숙지할 필요가 있윌며, 추가적윌로 NOAC의 처방 또는 유지 시, 현재 복용 또는 새로 시작하는 앜묌에 대한 확읞도 필요할 것읎닀. NOAC의 적응슝은 점찚 확대되고 있윌며, 현재 응고읞자XI에 작용하는 새로욎 NOAC가 개발되고 있닀. 또한, 아직 밝혀지지 않은 NOAC의 여러 적용 가능한 상황 및 안전한 사용을 위한 여러 연구듀읎 현재 진행되고 있얎 읎에 대한 지속적읞 ꎀ심읎 필요하닀.

Figure.
Coagulation cascade and sites of NOAC action. NOAC; non-vitamin K dependent oral anticoagulant.
jkna-40-1-1f1.tif
Table 1.
Dose selection criteria of the NOACs
Dabigatran Rivaroxaban Apixaban Edoxaban
Standard dose 150 mg BID 20 mg 5 mg BID 60 mg
Reduced dose 110 mg BID 15 mg 2.5 mg BID 30 mg
Dose reduction criteria No specific reduction criteria in trial
Recommend 110mg BID Two or more following three criteria
 Age ≥80 years  Age ≥80 years CrCl 15-49 mL/min
 Taking verapamil  Weight ≀60kg Weight ≀60 kg
 High risk of bleeding  Serum creatinine ≥1.5 mg/dL Taking strong P-gp inhibitor (dronedarone, cyclosporine, erythromycin, ketoconazole)
 CrCl 30-49 mL/min CrCl 15-49 mL/min

NOACs; non-vitamin K dependent oral anticoagulants, BID; twice daily, CrCl; creatinine clearance, P-gp; P-glycoprotein.

Table 2.
Absorption and metabolism of the NOACs
Dabigatran Rivaroxaban Apixaban Edoxaban
Bioavailability (%) 3-7 66 (without food) 50 62
100 (with food)
Prodrug Yes No No No
Time to peak, hour 3 2-4 3 2-4
Half-life, hour 12-14 9-13 8-15 9-14
Renal elimination (%) 80 65 27 50
Hepatic elimination (%) 20 35 73 50

NOACs; non-vitamin K dependent oral anticoagulants.

Table 3.
Effect of drug-to-drug interaction on NOACs plasma levels [12]
Via Dabigatran Rivaroxaban Apixaban Edoxaban
P-gp substrate Yes Yes Yes Yes
CYP3A4 substrate No Yes (about 18%) Yes (about 25%) No (<4%)
Anti-arrythmic agent
  Amiodarone Moderate P-gp inhibition +12-60%a Minor effecta No dataa +40%a
Digoxin P-gp competition No effect No effect No effect No effect
Diltiazem Weak P-gp inhibition & CYP3A4 inhibition No effect No effect +40% No data
Dronedarone P-gp & CYP3A4 inhibition +70-110%c Moderate affect, should be avoidedc With cautiona +85% (dose reduction to 30 mg QD)b
Quinidine P-gp inhibition +53%a Increase but unknown extent.a No data +77% (no dose reduction required)a
Verapamil P-gp inhibition & weak CYP3A4 inhibition +12-180% (110 mg BID if taken simultaneoulsy)b +40% a No data +53% (no dose reduction required)a
Other cardiovascular drug
Atorvastatin P-gp inhibitor & CYP3A4 competition No relevant interaction No effect No data No data
Ticagrelor P-gp inhibition +24-65% (loading dose 2 hours after dabigatran)a No data-carefully monitora No data-carefully monitora No data-carefully monitora
Antibiotics
Clarithromycin; Erythromycin P-gp inhibition & strong CYP3A4 inhibition Clarithromycin:+19%; +15% Cmaxa Clarithromycin: +50% AUC; +40% Cmaxa Clarithromycin: +60% AUC; +30% Cmaxa Erythromycin: +85% AUC; +69% Cmax,(dose reduction to 30 mg QD)b
Erythromcyin: +30% AUC; +30% Cmaxa
Rifampicin P-gp/BCRP & CYP3A4/CYP2J2 induction -66% AUC; -67% Cmaxd -50% AUC, -22% Cmaxd -54% AUC; -42% Cmaxd -35% AUC (but with compensatory increase of active metabolites)e
Antiviral drug .
HIV protease inhibitors (e,g. ritonavir) P-gp & BRCP inhibition or induction, CYP3A4 inhibition Variable increase/decreasec +153% AUC; +55% Cmaxc Strong increasec No datac
Antifungal agent
Fluconazole Moderate CYP3A4 inhibition No data +42% AUC; +33% Cmaxa No data No data
Itraconazole; ketoconazole Potent P-gp & BRCP competition, strong CYP3A4 inhibition +140-150% c +160% AUC, +72% Cmaxc +100% AUC; +64% Cmaxc +87 AUC; +89% Cmax (dose reduction to 30 mg QD)b
Voriconazole Strong CYP3A4 inhibition No data c c No data
Other drugs
Naproxen P-gp competition, pharmacodynamically increased bleeding time No dataa No relevant increase of AUCa +55% AUC; +61% Cmaxa No difference in AUCa
H2 blocker, PPI, Al-Mg-hydroxide GI absortpion Minor effect, not clinically relevant No effect No effect Minor effect, not clinically relevant
SSRIs; SNRIs Pharmacodynamic effect on platelets a a a a

NOACs; non-vitamin K dependent oral anticoagulants, BID; twice daily, AUC; area under curve, QD; once daily, BRCP; breast cancer resistance protein, HIV;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PPI; proton pump inhibitor, GI; gastrointestinal, 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NRI; serotonin and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a Caution required, especially in case of polypharmacy;

b Low dose (dabigatran) or dose reduction (edoxaban) recommended;

c Contraindicated/not advisable due to increased plasma level;

d Contraindicated due to reduced NOAC plasma levels;

e Caution required, especially in case of polypharmacy or body weight ≥120 kg.

Table 4.
Bleeding risk according to the elective surgery/intervention [12]
Minor risk procedures (infrequently bleeding and with low clinical impact)
  Dental extractions (1-3 teeth), paradontal surgery, implant positioning, subgingival scalling/cleaning
Cataract or glaucoma intervention
Endoscopy without biopsy or resection
Superficial surgery (abscess incision, small dermatologic excisions, skin biopsy)
Pacemaker or ICD implantation (except complex procedure)
Electrophysiological study or catheter ablation (except complex procedure)
Routine elective coronary/peripheral artery intervention (except complex procedure)
Intramuscular injection (vaccination)
Low risk procedures (infrequent bleeding or with non-severe clinical impact)
Complex dental procedure
Endoscopy with simple biopsy
Small orthopedic surgery (foot, hand, arthroscopic surgery)
High risk procedures (frequent bleeding and/or with important clinical impact)
Cardiac surgery
Peripheral arterial revascularization surgery (aortic aneurysm repair, vascular bypass)
Complex invasive cardiological interventions, including lead extraction, (epicardial) VT ablation, chronic total occlusion PCI etc.)
Neurosurgery
Spinal or epidural anesthesia; lumbar diagnostic puncture
Complex endoscopy (multiple/large polypectomy, ERCP with sphincterotomy etc.)
Abdominal surgery including liver biopsy
Thoracic surgery
Major urologic surgery and biopsy including kidney
Extracorporeal shockwave lithotripsy (ESWL)
Major orthopedic surgery

ICD; 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VT; ventricular tachycardia, PCI;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ERC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Table 5.
Timing of last NOAC intake before an elective surgery/intervention [12]
Dabigatran Rivaroxaban-apixaban-edoxaban
No need of perioperative bridging
Minor risk procedure:
  Perform procedure at trough level
Resume same day (no interruption of drug) or latest next day
Low bleeding risk High bleeding risk Low bleeding risk High bleeding risk
CrCl ≥80 mL/min ≥24 ≥48 ≥48
CrCl 50-79 mL/min ≥36 ≥72 ≥24
CrCl 30-49 mL/min ≥48 ≥96
CrCl 15-29 mL/min No indication No indication ≥36
CrCl <15 mL/min No official indication for use
Restart NOACs 24 hours after low bleeding risk
Restart NOACs 48-72 hours after high bleeding risk

Values are presented as hours.

NOAC; non-vitamin K dependent oral anticoagulant, CrCl; creatinine clearance.

REFERENCES
REFERENCES

1. Jung K-H, Yu K-h, Kim Y-D, Park J-M, Hong K-S, Rha J-H, et al. Focused update of guidelines for antithrombotic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nd ischemic stroke or transient ischemic attack. J Korean Neurol Assoc 2016;34:184-192.
[Article]
2. Kleindorfer DO, Towfighi A, Chaturvedi S, Cockroft KM, Gutierrez J, Lombardi-Hill D, et al. 2021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of stroke in patients with stroke and transient ischemic attack: a guideline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2021;52:e364-e467.
[Article] [PubMed]
3. Connolly SJ, Ezekowitz MD, Yusuf S, Eikelboom J, Oldgren J, Parekh A, et al. Dabigatran versus warfari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N Engl J Med 2009;361:1139-1151.
[Article] [PubMed]
4. Graham DJ, Reichman ME, Wernecke M, Zhang R, Southworth MR, Levenson M, et al. Cardiovascular, bleeding, and mortality risks in elderly medicare patients treated with dabigatran or warfarin for 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 Circulation 2015;131:157-164.
[Article] [PubMed]
5. Granger CB, Alexander JH, McMurray JJ, Lopes RD, Hylek EM, Hanna M, et al. Apixaban versus warfari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N Engl J Med 2011;365:981-992.
[Article] [PubMed]
6. Connolly SJ, Eikelboom J, Joyner C, Diener HC, Hart R, Golitsyn S, et al. Apixaba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N Engl J Med 2011;364:806-817.
[Article] [PubMed]
7. Patel MR, Mahaffey KW, Garg J, Pan G, Singer DE, Hacke W, et al. Rivaroxaban versus warfarin in 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 N Engl J Med 2011;365:883-891.
[Article] [PubMed]
8. Giugliano RP, Ruff CT, Braunwald E, Murphy SA, Wiviott SD, Halperin JL, et al. Edoxaban versus warfari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N Engl J Med 2013;369:2093-2104.
[Article] [PubMed]
9. Lee SR, Lee YS, Park JS, Cha MJ, Kim TH, Park J, et al. Label adherence for non-vitamin K antagonist oral anticoagulants in a prospective cohort of asia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Yonsei Med J 2019;60:277-284.
[Article] [PubMed] [PMC]
10. Blech S, Ebner T, Ludwig-Schwellinger E, Stangier J, Roth W. The metabolism and disposition of the oral direct thrombin inhibitor, dabigatran, in humans. Drug Metab Dispos 2008;36:386-399.
[Article] [PubMed]
11. Steffel J, Collins R, Antz M, Cornu P, Desteghe L, Haeusler KG, et al. 2021 European heart rhythm association practical guide on the use of non-vitamin K antagonist oral anticoagulant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Europace 2021;23:1612-1676.
[PubMed]
12. Chang SH, Chou IJ, Yeh YH, Chiou MJ, Wen MS, Kuo CT, et al. Association between use of non-vitamin K oral anticoagulants with and without concurrent medications and risk of major bleeding in 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 JAMA 2017;318:1250-1259.
[Article] [PubMed] [PMC]
13. Stollberger C, Finsterer J. Interactions between non-vitamin k oral anticoagulants and antiepileptic drugs. Epilepsy Res 2016;126:98-101.
[Article] [PubMed]
14. de Biase S, Nilo A, Bernardini A, Gigli GL, Valente M, Merlino G. Timing use of novel anti-epileptic drugs: Is earlier better? Expert Rev Neurother 2019;19:945-954.
[Article] [PubMed]
15. Seiffge DJ, Werring DJ, Paciaroni M, Dawson J, Warach S, Milling TJ, et al. Timing of anticoagulation after recent ischaemic strok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Lancet Neurol 2019;18:117-126.
[Article] [PubMed]
16. Molina CA, Montaner J, Abilleira S, Ibarra B, Romero F, Arenillas JF, et al. Timing of spontaneous recanalization and risk of hemorrhagic transformation in acute cardioembolic stroke. Stroke 2001;32:1079-1084.
[Article] [PubMed]
17. Ahmen N, Steiner T, Caso V; Wahlgren N and for the ESO-KSU session participants. Recommendation from the ESO-Karolinska stroke update conference, Stockholm 13-15 November 2016. Eur Stroke J 2017;2:95-102.
[PubMed] [PMC]
18. Hindricks G, Potpara T, Dagres N, Arbelo E, Bax JJ, Blomström-Lundqvist C, et al. 2020 ESC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trial fibrillation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Cardio-Thoracic Surgery (EACTS): The task forc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trial fibrillat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developed with the special contribution of the European Heart Rhythm Association (EHRA) of the esc. Eur Heart J 2021;42:373-498.
[PubMed]
19. Eun MY, Kim JY, Hwang YH, Park MS, Kim JT, Choi KH, et al. Initiation of guideline-matched oral anticoagulant in atrial fibrillation-related stroke. J Stroke 2021;23:113-123.
[Article] [PubMed] [PMC]
20. Hong KS, Kwon SU, Lee SH, Lee JS, Kim YJ, Song TJ, et al. Rivaroxaban vs warfarin sodium in the ultra-early period after atrial fibrillation-related mild ischemic strok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Neurol 2017;74:1206-1215.
[Article] [PubMed] [PMC]
21. Reilly PA, van Ryn J, Eikelboom JW, Glund S, Bernstein RA, et al. Idarucizumab for dabigatran reversal - full cohort analysis. N Engl J Med 2017;377:431-441.
[Article] [PubMed]
22. Connolly SJ, Crowther M, Eikelboom JW, Gibson CM, Curnutte JT, Lawrence JH, et al. Full study report of andexanet alfa for bleeding associated with factor xa inhibitors. N Engl J Med 2019;380:1326-1335.
[Article] [PubMed] [PMC]
23. Spyropoulos AC, Douketis JD. How i treat anticoagulated patients undergoing an elective procedure or surgery. Blood 2012;120:2954-2962.
[Article] [PubMed]
24. Douketis JD, Spyropoulos AC, Duncan J, Carrier M, Le Gal G, Tafur AJ, et al. Perioperativ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receiving a direct oral anticoagulant. JAMA Intern Med 2019;179:1469-1478.
[Article] [PubMed] [PMC]
25. Benesch C, Glance LG, Derdeyn CP, Fleisher LA, Holloway RG, Messé SR, et al. Perioperative neurological evaluation and management to lower the risk of acute stroke in patients undergoing noncardiac, nonneurological surgery: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Circulation 2021;143:e923-e946.
[Article] [PubMed]
26. Lip GY, Nieuwlaat R, Pisters R, Lane DA, Crijns HJ. Refining clinical risk stratification for predicting stroke and thromboembolism in atrial fibrillation using a novel risk factor-based approach: the euro heart survey on atrial fibrillation. Chest 2010;137:263-272.
[Article] [PubMed]
27. Park H, Han M, Kim YD, Yoo J, Lee HS, Choi JK, et al. Impact of the total number of carotid plaques on the outcome of ischemic stroke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J Clin Med 2019;8:1897.
[Article] [PubMed] [PMC]
28. Kim JT, Lee JS, Kim BJ, Park JM, Kang K, Lee SJ, et al. Effectiveness of adding antiplatelets to oral anticoagulants in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with atrial fibrillation and concomitant large artery steno-occlusion. Transl Stroke Res 2020;11:1322-1331.
[Article] [PubMed]
29. Cannon CP, Bhatt DL, Oldgren J, Lip GYH, Ellis SG, Kimura T, et al. Dual antithrombotic therapy with dabigatran after pci in atrial fibrillation. N Engl J Med 2017;377:1513-1524.
[Article] [PubMed]
30. Lopes RD, Heizer G, Aronson R, Vora AN, Massaro T, Mehran R, et al. Antithrombotic therapy after acute coronary syndrome or pci in atrial fibrillation. N Engl J Med 2019;380:1509-1524.
[Article] [PubMed]
31. Gibson CM, Mehran R, Bode C, Halperin J, Verheugt FW, Wildgoose P, et al. Prevention of bleeding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undergoing pci. N Engl J Med 2016;375:2423-2434.
[Article] [PubMed]
32. Dewilde WJ, Oirbans T, Verheugt FW, Kelder JC, De Smet BJ, Herrman JP, et al. Use of clopidogrel with or without aspirin in patients taking oral anticoagulant therapy and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n open-label,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2013;381:1107-1115.
[Article] [PubMed]
33. Lopes RD, Hong H, Harskamp RE, Bhatt DL, Mehran R, Cannon CP,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antithrombotic strategie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 network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AMA Cardiol 2019;4:747-755.
[Article] [PubMed] [PMC]
34. Chimowitz MI, Lynn MJ, Howlett-Smith H, Stern BJ, Hertzberg VS, Frankel MR, et al. Comparison of warfarin and aspirin for symptomatic intracranial arterial stenosis. N Engl J Med 2005;352:1305-1316.
[Article] [PubMed]
35. Eikelboom JW, Connolly SJ, Brueckmann M, Granger CB, Kappetein AP, Mack MJ, et al. Dabigatran versus warfarin in patients with mechanical heart valves. N Engl J Med 2013;369:1206-1214.
[Article] [PubMed]
36. Durães AR, de Souza Roriz P, de Almeida Nunes B, Albuquerque FP, de Bulhões FV, de Souza Fernandes AM, et al. Dabigatran versus warfarin after bioprosthesis valve replacement for the management of atrial fibrillation postoperatively: dawa pilot study. Drugs R D 2016;16:149-154.
[Article] [PubMed] [PMC]
37. Guimarães HP, Lopes RD, de Barros ESPGM, Liporace IL, Sampaio RO, Tarasoutchi F, et al. Rivaroxaba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nd a bioprosthetic mitral valve. N Engl J Med 2020;383:2117-2126.
[Article] [PubMed]
38. Shim CY, Seo J, Kim YJ, Lee SH, De Caterina R, Lee S,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edoxaban in patients early after surgical bioprosthetic valve implantation or valve repair: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 Thorac Cardiovasc Surg 2021.
[Article]
39. Renda G, Ricci F, Giugliano RP, De Caterina R. Non-vitamin K antagonist oral anticoagulant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nd valvular heart disease. J Am Coll Cardiol 2017;69:1363-1371.
[Article] [PubMed]
40. Kim JY, Kim SH, Myong JP, Kim YR, Kim TS, Kim JH, et al. Outcomes of direct oral anticoagulants in patients with mitral stenosis. J Am Coll Cardiol 2019;73:1123-1131.
[Article] [PubMed]
41. Hao L, Zhong JQ, Zhang W, Rong B, Xie F, Wang JT, et al. Uninterrupted dabigatran versus warfarin in the treatment of intracardiac thrombus in patients with 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 Int J Cardiol 2015;190:63-66.
[Article] [PubMed]
42. Lip GY, Hammerstingl C, Marin F, Cappato R, Meng IL, Kirsch B, et al. Left atrial thrombus resolution in atrial fibrillation or flutter: Results of a prospective study with rivaroxaban (x-tra) and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registry providing baseline data (clot-af). Am Heart J 2016;178:126-134.
[Article] [PubMed]
43. Ezekowitz MD, Pollack CV Jr, Halperin JL, England RD, VanPelt Nguyen S, Spahr J, et al. Apixaban compared to heparin/vitamin k antagonist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scheduled for cardioversion: The emanate trial. Eur Heart J 2018;39:2959-2971.
[Article] [PubMed] [PMC]
44. Robinson AA, Trankle CR, Eubanks G, Schumann C, Thompson P, Wallace RL, et al. Off-label use of direct oral anticoagulants compared with warfarin for left ventricular thrombi. JAMA Cardiol 2020;5:685-692.
[Article] [PubMed] [PMC]
45. Caldeira D, Nunes-Ferreira A, Rodrigues R, Vicente E, Pinto FJ, Ferreira JJ. Non-vitamin K antagonist oral anticoagulants in elderly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and trial sequential analysis. Arch Gerontol Geriatr 2019;81:209-214.
[Article] [PubMed]
46. Eikelboom JW, Wallentin L, Connolly SJ, Ezekowitz M, Healey JS, Oldgren J, et al. Risk of bleeding with 2 doses of dabigatran compared with warfarin in older and younger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n analysis of the randomized evaluation of long-term anticoagulant therapy (re-ly) trial. Circulation 2011;123:2363-2372.
[Article] [PubMed]
47. Okumura K, Akao M, Yoshida T, Kawata M, Okazaki O, Akashi S, et al. Low-dose edoxaban in very elderly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N Engl J Med 2020;383:1735-1745.
[Article] [PubMed]
48. Park CS, Choi EK, Kim HM, Lee SR, Cha MJ, Oh S. Increased risk of major bleeding in underweight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who were prescribed non-vitamin K antagonist oral anticoagulants. Heart Rhythm 2017;14:501-507.
[Article] [PubMed]
49. Boriani G, Ruff CT, Kuder JF, Shi M, Lanz HJ, Rutman H, et al.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outcome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treated with edoxaban or warfarin in the engage af-timi 48 trial. Eur Heart J 2019;40:1541-1550.
[Article] [PubMed]
50. Hohnloser SH, Fudim M, Alexander JH, Wojdyla DM, Ezekowitz JA, Hanna M,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apixaban versus warfari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nd extremes in body weight. Circulation 2019;139:2292-2300.
[Article] [PubMed]
51. Lee SR, Choi EK, Park CS, Han KD, Jung JH, Oh S, et al. Direct oral anticoagulants in patients with 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 and low body weight. J Am Coll Cardiol 2019;73:919-931.
[Article] [PubMed]
52. Steffel J, Collins R, Antz M, Cornu P, Desteghe L, Haeusler KG, et al. 2021 European Heart Rhythm Assocaition Practical Guide on the use of non-vitamin K antagonist oral anticoagulant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Eurospace 2021;23:1612-1676.

53. Ruff CT, Giugliano RP, Braunwald E, Hoffman EB, Deenadayalu N, Ezekowitz MD, et al. Comparison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new oral anticoagulants with warfari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 meta-analysis of randomised trials. Lancet 2014;383:955-962.
[Article] [PubMed]
54. Burr N, Lummis K, Sood R, Kane JS, Corp A, Subramanian V. Risk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with direct oral anticoagulants: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Lancet Gastroenterol Hepatol 2017;2:85-93.
[Article] [PubMed]
55. Graham DJ, Reichman ME, Wernecke M, Hsueh YH, Izem R, Southworth MR, et al. Stroke, bleeding, and mortality risks in elderly medicare beneficiaries treated with dabigatran or rivaroxaban for 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 JAMA Intern Med 2016;176:1662-1671.
[Article] [PubMed]
56. Ray WA, Chung CP, Murray KT, Smalley WE, Daugherty JR, Dupont WD, et al. Association of oral anticoagulants and proton pump inhibitor cotherapy with hospitalization for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bleeding. JAMA 2018;320:2221-2230.
[Article] [PubMed] [PMC]
57. Hart RG, Diener HC, Coutts SB, Easton JD, Granger CB, O'Donnell MJ, et al. Embolic strokes of undetermined source: The case for a new clinical construct. Lancet Neurol 2014;13:429-438.
[Article] [PubMed]
58. Hart RG, Sharma M, Mundl H, Kasner SE, Bangdiwala SI, Berkowitz SD, et al. Rivaroxaban for stroke prevention after embolic stroke of undetermined source. N Engl J Med 2018;378:2191-2201.
[Article] [PubMed]
59. Diener HC, Sacco RL, Easton JD, Granger CB, Bernstein RA, Uchiyama S, et al. Dabigatran for prevention of stroke after embolic stroke of undetermined source. N Engl J Med 2019;380:1906-1917.
[Article] [PubMed]
60. Goel N, Jain D, Haddad DB, Shanbhogue D. Anticoagulation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and atrial fibrillation: confusion, concerns and consequences. J Stroke 2020;22:306-316.
[Article] [PubMed] [PMC]
61. Stanifer JW, Pokorney SD, Chertow GM, Hohnloser SH, Wojdyla DM, Garonzik S, et al. Apixaban versus warfari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nd advanced chronic kidney disease. Circulation 2020;141:1384-1392.
[Article] [PubMed]
62. Joung B, Lee JM, Lee KH, Kim TH, Choi EK, Lim WH, et al. 2018 korean guideline of atrial fibrillation management. Korean Circ J 2018;48:1033-1080.
[Article] [PubMed] [PMC]
63. Siontis KC, Zhang X, Eckard A, Bhave N, Schaubel DE, He K, et al. Outcomes associated with apixaban use in patients with end-stage kidney disease and atrial fibrillation in the united states. Circulation 2018;138:1519-1529.
[Article] [PubMed] [PMC]
64. Kuno T, Takagi H, Ando T, Sugiyama T, Miyashita S, Valentin N, et al. Oral anticoagulation for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on long-term hemodialysis. J Am Coll Cardiol 2020;75:273-285.
[Article] [PubMed]
65. Qamar A, Vaduganathan M, Greenberger NJ, Giugliano RP. Oral anticoagulation in patients with liver disease. J Am Coll Cardiol 2018;71:2162-2175.
[Article] [PubMed]
66. Lee SR, Lee HJ, Choi EK, Han KD, Jung JH, Cha MJ, et al. Direct oral anticoagulant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nd liver disease. J Am Coll Cardiol 2019;73:3295-3308.
[Article] [PubMed]
67. Navi BB, Howard G, Howard VJ, Zhao H, Judd SE, Elkind MSV, et al. New diagnosis of cancer and the risk of subsequent cerebrovascular events. Neurology 2018;90:e2025-e2033.
[Article] [PubMed] [PMC]
68. Bang OY, Chung JW, Lee MJ, Seo WK, Kim GM, Ahn MJ. Cancer-related stroke: an emerging subtype of ischemic stroke with unique pathomechanisms. J Stroke 2020;22:1-10.
[Article] [PubMed] [PMC]
69. Powers WJ, Rabinstein AA, Ackerson T, Adeoye OM, Bambakidis NC, Becker K, et al. Guidelines for the early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2019 update to the 2018 guidelines for the early management of acute ischemic stroke: a guideline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2019;50:e344-e418.
[Article] [PubMed]
70. Raskob GE, van Es N, Verhamme P, Carrier M, Di Nisio M, Garcia D, et al. Edoxaban for the treatment of cancer-associated venous thromboembolism. N Engl J Med 2018;378:615-624.
[Article] [PubMed]
71. Young AM, Marshall A, Thirlwall J, Chapman O, Lokare A, Hill C, et al. Comparison of an oral factor xa inhibitor with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in patients with cancer with venous thromboembolism: Results of a randomized trial (select-d). J Clin Oncol 2018;36:2017-2023.
[Article] [PubMed]
72. Agnelli G, Becattini C, Meyer G, Muñoz A, Huisman MV, Connors JM, et al. Apixaban for the treatment of venous thromboembolism associated with cancer. N Engl J Med 2020;382:1599-1607.
[Article] [PubMed]
73. Hong KS. Non-vitamin K antagonist oral anticoagulants in medical conditions at high risk of thromboembolism beyond atrial fibrillation. J Stroke 2019;21:259-275.
[Article] [PubMed] [PMC]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