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pes Simplex Encephalitis Presenting as An Acute Motor Aphasia
- Seon Jae Im, MDa,b, Hak Seung Lee, MDa,b
급성 운동실어증으로 발현한 단순헤르페스뇌염
- 임선재a,b, 이학승a,b
- Received November 2, 2019; Revised January 22, 2020; Accepted January 22, 2020;
51세 남자가 갑자기 발생한 실어증으로 왔다. 활력징후는 체온 37.6도의 미열을 제외하면 정상이었고, 신경학적 진찰에서 운동실어증 외에 특이 소견은 없었다. 증상 발생 3일 후 자기공명영상에서 고신호강도의 병터가 왼쪽 전두엽과 뇌섬엽에서 보였다(Fig.). 뇌척수액검사에서 백혈구 182 cells/mm3 (림프구 95%), 단백질 107.2 mg/dL로 증가하였고, 혈액/뇌척수액 포도당 비율은 정상이었으며 1형 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 양성이 보여 단순헤르페스뇌염으로 진단하였다.
단순헤르페스뇌염은 자기공명영상에서 흔히 변연계(예, 해마, 내측두엽, 뇌섬엽)에서 병터가 발생하지만 내측두엽 이외에서도 병터가 관찰될 수 있다[1]. 뇌염 초기에는 세포독성부종(cytotoxic edema)으로 인하여 확산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 겉보기확산계수에서 저신호강도 병변이 관찰되고, 이후 혈관성부종(vasogenic edema)과 괴사로 인하여 겉보기확산계수, T2강조영상 및 액체감쇠역전회복(fluid attenuated inversion recovery)영상에서 고신호강도 소견이 관찰된다[2]. 이러한 변화는 단순헤르페스뇌염과 다른 질환을 감별하는 데 유용하다
Figure.
(A) Diffusion weighted image, (B)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C) T2 weighted image, and (D, E) fluid 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image show high signal intensity lesions in left fronto-insular lobe suggesting vasogenic edema (arrows). (F) T1 weighted enhanced image shows multifocal enhancement in the same area (arrow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