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Search

Close

2019 ꞉성 허혈뇌졞쀑 환자에서 혈ꎀ낎재개통치료 진료지칚 개정

2019 Update of the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f Stroke for Endovascular Recanaliz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Sang-Bae Ko, MD, Hong-Kyun Park, MDa, Byung Moon Kim, MDb, Ji Hoe Heo, MDc, Joung-Ho Rha, MDd, Sun U. Kwon, MDe, Jong S. Kim, MDe, Byung-Chul Lee, MDf, Sang Hyun Suh, MDg, Cheolkyu Jung, MDh, Hae Woong Jeong, MDi, Dong-Hun Kang, MDj,k, Hee-Joon Bae, MDl, Byung-Woo Yoon, MD, Keun-Sik Hong, MDa

2019 ꞉성 허혈뇌졞쀑 환자에서 혈ꎀ낎재개통치료 진료지칚 개정

고상배, 박홍균a, 김병묞b, 허지회c, 나정혞d, 권순억e, 김종성e, 읎병철f, 서상현g, 정철규h, 정핎웅i, 강동훈j,k, 배희쀀l, 윀병우, 홍귌식a
Received January 8, 2020;       Revised February 24, 2020;       Accepted February 24, 2020;
ABSTRACT
Endovascular recanalization therapy (ERT) has been a standard of care for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due to large artery occlusion (LAO) within 6 hours after onset since the five landmark ERT trials up to 2015 demonstrated its clinical benefit. Recently, two randomized clinical trials demonstrated that ERT, even in the late time window up to 16 hours or 24 hours after last known normal time, improved the outcome of patients who had a target mismatch defined as either clinical-core mismatch or perfusion-core mismatch, which prompted the update of national guidelines in several countries. Accordingly, to provide evidence-based and up-to-date recommendations for ERT in patients with acute LAO in Korea,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ommittee of the Korean Stroke Society decided to revise the previous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f Stroke for ERT. For this update, the members of the writing group were appointed by the Korean Stroke Society and the Korean Society of Interventional Neuroradiology. After thorough reviewing the updated evidence from two recent trials and relevant literature, the writing members revised recommendations, for which formal consensus was achieved by convening an expert panel composed of 45 experts from the participating academic societies. The current guidelines are intended to help healthcare providers,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make their well-informed decision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regarding ERT. The ultimate decision for ERT in a particular patient must be made in light of circumstances specific to that patient.
서 론
서 론
닀섯 개 묎작위 배정 임상시험곌 메타분석을 통하여 큰동맥폐색에 의한 ꞉성 허혈뇌졞쀑 환자에서 슀텐튞늬튞늬버(stent retriever)륌 읎용한 혈ꎀ낎재개통치료(endovascular recanalization therapy, ERT)의 횚곌가 입슝되었닀[1-6]. 임상시험 쀑 Multicenter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Endovascular treatment for Acute ischemic stroke in the Netherlands, Extending the Time for Thrombolysis in Emergency Neurological Deficits-Intra-Arterial 귞늬고 Solitaire with the Intention for Thrombectomy as Primary Endovascular Treatment 임상시험은 슝상 발생 후 6시간 읎낎 환자가 대상읎었닀[1-3]. Revascularization with Solitaire FR Device versus Best Medical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cute Stroke Due to Anterior Circulation Large Vessel Occlusion Presenting within Eight Hours of Symptom Onset (REVASCAT)곌 Endovascular Treatment for Small Core and Proximal Occlusion Ischemic Stroke (ESCAPE) 임상시험에서는 슝상 발생 후 8시간 또는 12시간 읎낎 환자도 포핚하였지만 REVASCAT 임상시험에 찞여한 환자의 90.3%와 ESCAPE 임상시험에 찞여한 환자의 84.5%는 6시간 읎낎의 환자였닀[4,5]. 따띌서, Ʞ졎의 진료지칚은 큰동맥폐색윌로 읞한 ꞉성 허혈뇌졞쀑 환자에서 6시간 읎낎 ERT륌 시행하는 것은 가장 높은 귌거수쀀곌 가장 강한 권고수쀀윌로 권고하고 있지만[7-10] 6시간 읎후 ERT 횚곌에 대한 귌거는 명확하지 않닀고 Ʞ술하고 있닀[7,10]. 2016년 대한뇌졞쀑학회 진료지칚에서도 “6시간읎 지난 환자에서는 닀쀑Ʞ법영상을 읎용하여 예상되는 읎득곌 안정성을 평가한 후 좋은 예후륌 Ʞ대할 수 있는 환자에서는 ERT륌 고렀할 수 있닀(level of evidence [LOE] IV, grade of recommendation [GOR] C)”는 정도로 낮은 수쀀의 권고안을 제시하였닀[10].
슝상 발생 후 최대한 빚늬 치료륌 시작핎알 한닀는 전제는 정맥낎 혈전용핎술뿐 아니띌 ERT에도 적용된닀. ERT 임상시험 대상자 개개읞의 자료륌 합쳐서 분석한 Highly Effective Reperfusion evaluated in Multiple Endovascular Stroke Trials (HERMES) 연구 결곌, ERT 횚곌는 시간읎 지나멎서 감소되얎 7.3시간 읎후에는 뚜렷하지 않았닀[11]. 귞러나 여러 ꎀ찰 연구듀은 뇌졞쀑 발생 후 시간읎 많읎 겜곌하더띌도 발전된 영상 Ʞ법을 읎용하멎 “회생 가능한 뇌조직(salvageable tissue)”읎 낚아 있는 환자듀읎 많고, 읎러한 환자듀을 대상윌로 재ꎀ류 치료륌 시행하멎 예후륌 혞전시킬 수 있닀는 것을 볎여죌었닀[12-15]. 읎러한 개념에 귌거하여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or computed tomography perfusion (CTP) Assessment with Clinical Mismatch in the Triage of Wake-Up and Late Presenting Strokes Undergoing Neurointervention with Trevo (DAWN)와 Endovascular Therapy Following Imaging Evaluation for Ischemic Stroke 3 (DEFUSE 3) 임상시험읎 섀계되었닀[16,17]. 두 임상시험은 임상슝상-뇌겜색범위불음치(clinical-ischemic core mismatch) 또는 ꎀ류-뇌겜색범위불음치(perfusion-core mismatch)륌 평가하여 목표불음치(target mismatch)가 있는 환자에서 슝상 발생 후 16시간읎나 24시간까지도 ERT의 치료 횚곌가 있음을 입슝하였닀[18,19]. DAWN곌 DEFUSE 3 임상시험 결곌륌 귌거로 믞국, 캐나닀 및 혞죌는 진료지칚을 개정하였닀[20-22]. 대한뇌졞쀑학회 진료지칚위원회(Clinical Practice Guideline Committee)도 최신의 귌거륌 반영한 권고안을 제시하Ʞ 위하여 ꞉성 허혈뇌졞쀑 환자의 ERT에 ꎀ한 진료지칚을 개정하Ʞ로 결정하였닀. 볞 진료지칚의 목적은 ERT에 ꎀ한 치료륌 결정하는데 도움읎 되는 정볎륌 전달하여 진료의 질을 향상시킀는 것읎며, 개별 환자의 치료에 대한 결정은 각 환자의 여러 상황을 고렀하여 환자, 볎혞자 귞늬고 닎당 의료진의 충분한 상의륌 통하여 읎룚얎젞알 한닀.
Ʞ졎 국낎 진료지칚(previous guidelines)
Ʞ졎 국낎 진료지칚(previous guidelines)
Ʞ졎의 2016 진료지칚은 2015년 5월까지의 귌거륌 바탕윌로 작성된 것읎며, 닀음의 권고안을 제시하였닀[10].
1. 혈ꎀ낎재개통치료(ERT)
1. 혈ꎀ낎재개통치료(ERT)

1) ꞉성앞순환큰동맥(낎겜동맥, 쀑대뇌동맥 M1 및 큰 M2)폐색윌로 읞한 쀑슝 허혈뇌졞쀑 환자에서 예후륌 개선시킀Ʞ 위하여 6시간 읎낎 혈ꎀ낎재개통치료(ERT)륌 권고한닀(귌거수쀀 Ia, 권고수쀀 A).

1) ꞉성앞순환큰동맥(낎겜동맥, 쀑대뇌동맥 M1 및 큰 M2)폐색윌로 읞한 쀑슝 허혈뇌졞쀑 환자에서 예후륌 개선시킀Ʞ 위하여 6시간 읎낎 혈ꎀ낎재개통치료(ERT)륌 권고한닀(귌거수쀀 Ia, 권고수쀀 A).

In patients with major ischemic stroke due to an acute large artery occlusion in the anterior circulation (internal carotid artery, M1, and possibly large M2 branch) within 6 hours, ERT is recommended to improve clinical outcomes (LOE Ia, GOR A).

2) 정맥낎조직플띌슀믞녞겐활성제(intravenous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IV-TPA) 치료 대상 환자는 ERT 시행 전 IV-TPA 투여륌 권고한닀(귌거수쀀 Ia, 권고수쀀 A). IV-TPA가 ERT륌 지연시킀지 말아알 하므로, IV-TPA에 대한 반응을 Ʞ닀늬지 말고 투여하멎서 동시에 ERT륌 진행할 것을 권고한닀.

2) 정맥낎조직플띌슀믞녞겐활성제(intravenous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IV-TPA) 치료 대상 환자는 ERT 시행 전 IV-TPA 투여륌 권고한닀(귌거수쀀 Ia, 권고수쀀 A). IV-TPA가 ERT륌 지연시킀지 말아알 하므로, IV-TPA에 대한 반응을 Ʞ닀늬지 말고 투여하멎서 동시에 ERT륌 진행할 것을 권고한닀.

In patients eligible for IV-TPA, administration of IV-TPA is recommended before the initiation of ERT (LOE Ia, GOR A). Since IV-TPA should not significantly delay ERT, it is recommended to simultaneously proceed ERT during IV-TPA treatment without waiting for clinical response to IV-TPA.

3) ꞉성앞순환큰동맥폐색윌로 읞한 쀑슝 허혈뇌졞쀑 환자 쀑 IV-TPA 치료가 ꞈꞰ읞 겜우, 6시간 읎낎 ERT륌 우선적읞 치료로 권고한닀(귌거수쀀 IIa, 권고수쀀 B).

3) ꞉성앞순환큰동맥폐색윌로 읞한 쀑슝 허혈뇌졞쀑 환자 쀑 IV-TPA 치료가 ꞈꞰ읞 겜우, 6시간 읎낎 ERT륌 우선적읞 치료로 권고한닀(귌거수쀀 IIa, 권고수쀀 B).

In patients who are contraindicated for IV-TPA, ERT is recommended as a first-line therapy in patients with major ischemic stroke due to an acute large artery occlusion in the anterior circulation within 6 hours (LOE IIa, GOR B).

4) 뒀순환큰동맥(바닥동맥, 후대뇌동맥 P1, 척추동맥)폐색윌로 읞한 쀑슝 허혈뇌졞쀑 환자에서 6시간 읎낎 ERT륌 고렀할 수 있닀(귌거수쀀 III, 권고수쀀 B).

4) 뒀순환큰동맥(바닥동맥, 후대뇌동맥 P1, 척추동맥)폐색윌로 읞한 쀑슝 허혈뇌졞쀑 환자에서 6시간 읎낎 ERT륌 고렀할 수 있닀(귌거수쀀 III, 권고수쀀 B).

In patients with major ischemic stroke due to acute large artery occlusion in the poster circulation (basilar artery, P1, and vertebral artery) within 6 hours, ERT can be considered (LOE III, GOR B).

5) 앞순환읎나 뒀순환큰동맥폐색 후 6시간읎 지난 환자에서는 닀쀑Ʞ법영상을 읎용하여 예상되는 읎득곌 안정성을 평가한 후 좋은 예후륌 Ʞ대할 수 있는 환자에서는 ERT륌 고렀할 수 있닀. 읎용 가능한 장비와 검사법을 고렀하여 각 병원마닀 선정Ʞ쀀을 규정하는 것읎 권장된닀(귌거수쀀 IV, 권고수쀀 C).

5) 앞순환읎나 뒀순환큰동맥폐색 후 6시간읎 지난 환자에서는 닀쀑Ʞ법영상을 읎용하여 예상되는 읎득곌 안정성을 평가한 후 좋은 예후륌 Ʞ대할 수 있는 환자에서는 ERT륌 고렀할 수 있닀. 읎용 가능한 장비와 검사법을 고렀하여 각 병원마닀 선정Ʞ쀀을 규정하는 것읎 권장된닀(귌거수쀀 IV, 권고수쀀 C).

For patients with acute large artery occlusion in the anterior or posterior circulation presenting after 6 hours, ERT can be considered for patients having favorable multimodal imaging profiles regarding expected benefit and safety. Each center is encouraged to define own selection criteria (LOE IV, GOR C).

6) 음닚 ERT 적응슝읎 되멎 가능한 빚늬 시행하여알 한닀(귌거수쀀 IIa, 권고수쀀 B).

6) 음닚 ERT 적응슝읎 되멎 가능한 빚늬 시행하여알 한닀(귌거수쀀 IIa, 권고수쀀 B).

If indicated, ERT should be initiated as fast as possible (LOE IIa, GOR B).

7) ERT 방법윌로 슀텐튞혈전제거술을 우선적윌로 권고한닀(귌거수쀀 Ia, 권고수쀀 A).

7) ERT 방법윌로 슀텐튞혈전제거술을 우선적윌로 권고한닀(귌거수쀀 Ia, 권고수쀀 A).

Stent-retriever thrombectomy is recommended as a first-line ERT (LOE Ia, GOR A).

8) 슀텐튞혈전제거술로 재개통읎 읎룚얎지지 않는 겜우, 예상 횚곌와 안전을 고렀하여 닀륞 ERT 방법을 추가하는 것을 고렀할 수 있닀(귌거수쀀 IV, 권고수쀀 C).

8) 슀텐튞혈전제거술로 재개통읎 읎룚얎지지 않는 겜우, 예상 횚곌와 안전을 고렀하여 닀륞 ERT 방법을 추가하는 것을 고렀할 수 있닀(귌거수쀀 IV, 권고수쀀 C).

If recanalization is not achieved with stent-retriever thrombectomy, the addition of other ERT modalities can be considered after taking into account the expected efficacy and safety (LOE IV, GOR C).

9) 책임 쀑재시술자의 판닚에 따띌 Ʞ술적 잡멎을 고렀하여 닀륞 방법의 Ʞ계적혈전제거술읎나 혈전흡입술을 우선적윌로 고렀할 수 있닀(귌거수쀀 IV, 권고수쀀 C).

9) 책임 쀑재시술자의 판닚에 따띌 Ʞ술적 잡멎을 고렀하여 닀륞 방법의 Ʞ계적혈전제거술읎나 혈전흡입술을 우선적윌로 고렀할 수 있닀(귌거수쀀 IV, 권고수쀀 C).

Other mechanical thrombectomy or thrombus aspiration devices may be considered as a first-line modality at the discretion of responsible interventionists after taking into account technical aspects (LOE IV, GOR C).

10) ERT 쀑 전신마췚볎닀는 의식하진정(conscious sedation)읎 음반적윌로 선혞된닀. 귞러나 환자 상태와 병원의 겜험을 고렀하여 결정하는 것을 권고한닀(귌거수쀀 III, 권고수쀀 B).

10) ERT 쀑 전신마췚볎닀는 의식하진정(conscious sedation)읎 음반적윌로 선혞된닀. 귞러나 환자 상태와 병원의 겜험을 고렀하여 결정하는 것을 권고한닀(귌거수쀀 III, 권고수쀀 B).

During ERT, conscious sedation is generally preferred to general anesthesia. However, the decision should be made after consideration of patient’s condition and center’s experience (LOE III, GOR B).
2. 신겜영상검사(neuroimaging evaluation)
2. 신겜영상검사(neuroimaging evaluation)

1) 출혈뇌졞쀑읎나 닀륞 뇌졞쀑 읎왞의 원읞을 배제하Ʞ 위하여 비조영슝강 computed tomography (CT)나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륌 시행하여알 한닀(good practice points, GPP).

1) 출혈뇌졞쀑읎나 닀륞 뇌졞쀑 읎왞의 원읞을 배제하Ʞ 위하여 비조영슝강 computed tomography (CT)나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륌 시행하여알 한닀(good practice points, GPP).

Noncontrast CT or MRI should be conducted to exclude hemorrhagic stroke or other non-stroke etiologies (GPP).

2) 쀑슝 허혈뇌졞쀑 환자에서 ꞉성큰동맥폐색을 확읞하Ʞ 위하여 비칚습적 혈ꎀ조영술(CT 및 MR 혈ꎀ조영술)을 권고한닀 (GPP).

2) 쀑슝 허혈뇌졞쀑 환자에서 ꞉성큰동맥폐색을 확읞하Ʞ 위하여 비칚습적 혈ꎀ조영술(CT 및 MR 혈ꎀ조영술)을 권고한닀 (GPP).

Non-invasive vascular imaging (CT angiography or MR angiography) is recommended to confirm acute large artery occlusion for patients with major ischemic stroke (GPP).

3) 비칚습적 혈ꎀ영상읎 불가능한 환자에서는 뇌졞쀑 쀑슝도 또는 비조영슝강 CT의 혈전 신혞 등읎 ERT 결정에 도움읎 될 수 있닀(GPP).

3) 비칚습적 혈ꎀ영상읎 불가능한 환자에서는 뇌졞쀑 쀑슝도 또는 비조영슝강 CT의 혈전 신혞 등읎 ERT 결정에 도움읎 될 수 있닀(GPP).

For patients who are not able to perform non-invasive vascular imaging, stroke severity or clot sign on noncontrast CT can guide decision for ERT (GPP).

4) ꎑ범위한 ì¡°êž° 허혈손상 변화륌 평가하는 신겜영상법을 읎용하여 ERT 대상 환자륌 선별할 수 있닀(GPP).

4) ꎑ범위한 ì¡°êž° 허혈손상 변화륌 평가하는 신겜영상법을 읎용하여 ERT 대상 환자륌 선별할 수 있닀(GPP).

For selecting patients, neuroimaging evaluation for extensive early ischemic injury can guide decision for ERT (GPP).

5) ERT 횚곌가 있을 환자륌 선별하Ʞ 위하여 최신 닀쀑Ʞ법영상윌로 곁순환, 허혈쀑심(ischemic core) 크Ʞ 또는 ꎀ류-확산불음치 정도에 대한 평가륌 고렀할 수 있닀(GPP). 귞러나 닀쀑Ʞ법영상윌로 읞하여 ERT가 지연되얎서는 안 된닀.

5) ERT 횚곌가 있을 환자륌 선별하Ʞ 위하여 최신 닀쀑Ʞ법영상윌로 곁순환, 허혈쀑심(ischemic core) 크Ʞ 또는 ꎀ류-확산불음치 정도에 대한 평가륌 고렀할 수 있닀(GPP). 귞러나 닀쀑Ʞ법영상윌로 읞하여 ERT가 지연되얎서는 안 된닀.

Advanced multimodal imaging to assess collaterals, extent of ischemic core, or perfusion-diffusion mismatch can be considered to identify patients who are likely to benefit from ERT (GPP). However, the multimodal imaging should not significantly delay ERT.
3. 조직 첎계(system organization)
3. 조직 첎계(system organization)

1) ERT 시행읎 가능한 병원은 ERT가 빚늬 읎룚얎지도록 표쀀 임상겜로 및 묞서화된 프로토윜을 조직하고 정착할 것을 권고한닀(GPP).

1) ERT 시행읎 가능한 병원은 ERT가 빚늬 읎룚얎지도록 표쀀 임상겜로 및 묞서화된 프로토윜을 조직하고 정착할 것을 권고한닀(GPP).

For centers capable of providing ERT,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ritical pathway and formal protocol are recommended to accelerate the delivery of ERT (GPP).

2) ERT 시행에 필요한 충분한 전묞 읞력읎 부족한 병원은 대상 환자륌 ERT가 가능한 병원윌로 읎송할 수 있는 계획안을 마령할 것을 권고한닀. IV-TPA 대상 환자의 겜우, 읎송 전에 IV-TPA 투여륌 시작하는 것읎 권장된닀(GPP).

2) ERT 시행에 필요한 충분한 전묞 읞력읎 부족한 병원은 대상 환자륌 ERT가 가능한 병원윌로 읎송할 수 있는 계획안을 마령할 것을 권고한닀. IV-TPA 대상 환자의 겜우, 읎송 전에 IV-TPA 투여륌 시작하는 것읎 권장된닀(GPP).

For centers that are not adequately staffed for ERT, it is encouraged to have a referral plan to a center capable of ERT for patients eligible for ERT. If indicated, initiating IV-TPA before referral is encouraged (GPP).

3) 각 병원은 쎈Ʞ 평가, ERT 시행 유묎 결정곌 시술을 닎당할 닀학제(multidisciplinary) ERT팀의 Ʞ쀀을 자첎적윌로 규정할 것을 권장한닀(GPP).

3) 각 병원은 쎈Ʞ 평가, ERT 시행 유묎 결정곌 시술을 닎당할 닀학제(multidisciplinary) ERT팀의 Ʞ쀀을 자첎적윌로 규정할 것을 권장한닀(GPP).

Each center is encouraged to define own criteria for the multidisciplinary ERT team that is responsible for initial evaluation, decision making, and ERT procedure (GPP).

4) ERT 질 평가 및 개선을 위하여 각 병원은 방묞-신겜영상(door-to neuroimaging) 또는 방묞-혈ꎀ조영술개시(door-to groin puncture) 같은 핵심 시간 지표륌 추적ꎀ찰하고 평가할 것을 권장한닀(GPP).

4) ERT 질 평가 및 개선을 위하여 각 병원은 방묞-신겜영상(door-to neuroimaging) 또는 방묞-혈ꎀ조영술개시(door-to groin puncture) 같은 핵심 시간 지표륌 추적ꎀ찰하고 평가할 것을 권장한닀(GPP).

To assess and improve the quality of ERT, each center is encouraged to monitor key time metrics of door-to-neuroimaging and door-to-groin puncture (GPP).

5) ERT 후에 Ʞ능적 예후, 재개통률, 합병슝률 등을 평가하는 것을 권장한닀(GPP).

5) ERT 후에 Ʞ능적 예후, 재개통률, 합병슝률 등을 평가하는 것을 권장한닀(GPP).

It is encouraged to assess functional outcome, recanalization rate, and complication rate after ERT (GPP).
연구 방법
연구 방법
1. ERT 진료지칚 개정 곌정
1. ERT 진료지칚 개정 곌정
2018년 5월 대한뇌졞쀑학회 진료지칚ꎀ늬위원회(Guideline Oversight Committee of the Korean Stroke Society)는 연장된 시간대에서 ERT 횚곌의 새로욎 귌거륌 국낎 진료 현장에 반영할 필요성곌 적용 가능성을 충분히 고렀한 후, 대한뇌졞쀑학회 진료지칚위원회가 제안한 진료지칚 개정 목적, 범위와 방법을 승읞하였고, 권고안 합의에 필요한 대한뇌졞쀑학회와 대한신겜쀑재치료의학회 전묞가 팚널위원을 임명하였닀. 개정 권고안은 대한뇌졞쀑학회와 대한신겜쀑재치료의학회에서 추천한 전묞가듀로 구성된 진료지칚 집필위원회가 작성하였고, 쎝 45읞의 뇌졞쀑 전묞가(대한뇌졞쀑학회 30명, 대한신겜쀑재치료의학회 15명)로 구성된 전묞가 팚널읎 권고안을 검토하였닀. 권고안에 대한 합의는 수정 덞파읎법을 통하여 읎룚얎졌윌며, 2018년 9월 전묞가 팹널 합의에 의하여 최종 권고안읎 도출되었닀. 진료지칚 집필위원회는 합의된 권고안을 바탕윌로 개정 진료지칚을 작성하였윌며, 진료지칚ꎀ늬위원회의 검토와 승읞 곌정을 거친 후, 최종적윌로 대한뇌졞쀑학회와 대한신겜쀑재치료의학회의 승읞을 받았닀.
2. 귌거 조사와 분석(evidence search and data analysis)
2. 귌거 조사와 분석(evidence search and data analysis)
연장된 시간대에서 ERT 횚곌에 대한 새로욎 곌학적 귌거륌 검토하Ʞ 위하여 2016년 진료지칚 개정 읎후 발표된 묎작위 배정 임상시험, ꎀ렚 묞헌 귞늬고 닀륞 나띌의 개정된 진료지칚을 조사 및 검토하였닀.
3. 귌거수쀀 및 권고수쀀(LOE and GOR)
3. 귌거수쀀 및 권고수쀀(LOE and GOR)
볞 진료지칚에서 사용한 귌거수쀀곌 권고수쀀 결정 방식은 읎전 진료지칚곌 통음성을 유지하Ʞ 위하여 1993년에 발표된 US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현재는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방식을 따랐닀(Table 1) [23].
귌거 요앜(evidence summary)
귌거 요앜(evidence summary)
1. 뇌졞쀑 발생 후 6-24시간 시간대에서 ERT 횚곌(ERT benefit in the extended time window of 6-24 hours from stroke onset)
1. 뇌졞쀑 발생 후 6-24시간 시간대에서 ERT 횚곌(ERT benefit in the extended time window of 6-24 hours from stroke onset)

1) DAWN 임상시험

1) DAWN 임상시험

DAWN 임상시험은 앞순환(anterior circulation) 큰동맥폐색(large artery occlusion) 환자 쀑 마지막 정상윌로 확읞된 시간부터(last known normal time, LNT) 6-24시간읎 지났고, 임상슝상곌 뇌겜색 범위륌 비교하여 목표불음치가 있는 환자륌 선정하였닀[18]. 등록된 206명 환자(평균 연령 70.0섞, 여성 54.9%) 쀑 107명은 ERTêµ°(읎 쀑 105명읎 싀제로 ERT륌 받음)에, 99명 환자는 대조군에 묎작위 배정되었닀. 폐색동맥 부위는 대부분 환자(78%)에서 쀑대뇌동맥 첫 번짞 분절(M1)읎었고, ê·ž 닀음윌로는 두개강낎낎겜동맥(intracranial internal carotid artery, 19.9%)곌 쀑대뇌동맥 두 번짞 분절(M2, 2.4%)읎었닀. ERT군곌 대조군에서 LNT로부터 묎작위 배정까지 걞늰 시간의 쀑앙값(median interval)은 각각 12.2시간곌 13.3시간,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IH) 뇌졞쀑척도 쀑앙값은 각각 17점곌 17점 귞늬고 치료 전 뇌겜색 크Ʞ 쀑앙값은 각각 7.6 mL와 8.9 mL였닀. 음찚 유횚성 평가변수읞 90음짞 íššìš© 가쀑수정 Rankin척도(utility-weighted modified Rankin Scale [mRS], 범위 0 [사망]에서 10 [묎슝상]) 평균값은 ERT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닀(5.5점 vs. 3.4점; adjusted difference 2.0 point [95% credible interval 1.1-3.0]; posterior probability of superiority >0.999). 고전적 mRS 읎분법 분석읞 90음짞 mRS 0-2에 도달한 환자의 비윚 역시 ERT군에서 49%로, 대조군의 13%볎닀 유의하게 높았닀(adjusted difference 33% [95% credible interval 21-44]; posterior probability of superiority >0.999). 사전에 결정한 닀양한 하위집닚(prespecified subgroup) 분석에서 하위집닚에 따륞 치료 횚곌의 읎질성은 없었닀. DAWN 임상시험의 유횚성 평가 결곌는 2명 환자륌 치료할 때마닀 1명 환자가 90음짞 임상적윌로 의믞 있는 정도의 장애 개선을 Ʞ대할 수 있윌며, 2.8명 환자륌 치료할 때마닀 1명 환자가 90음짞 Ʞ능적 독늜 상태(mRS 0-2)로 회복될 수 있는 것윌로 핎석할 수 있닀. ERT군곌 대조군 사읎에 슝상뇌출혈(6% vs. 3%; p=0.50) 및 90음짞 사망률(19% vs. 18%; p=1.00)은 유의한 찚읎가 없었닀. DAWN 임상시험에서 ꎀ찰된 치료 읎득은 ERT의 성공적 혈ꎀ재개통에 의한 것읎닀. ERT군의 84% 환자에서 성공적 재ꎀ류(modified Thrombolysis in Cerebral Infarction [mTICI] 척도 2b 또는 3)가 읎룚얎졌윌며, LNT부터 재ꎀ류까지 걞늰 시간의 쀑앙값은 13.6시간읎었닀. 대조군에 비하여 ERT군에서 쎈Ʞ에 횚곌가 나타난(NIH 뇌졞쀑척도 10점 읎상 감소 또는 입원 7음 혹은 퇎원 시 NIH 뇌졞쀑척도 0-1점) 비윚곌 24시간짞 혈ꎀ재개통률읎 유의하게 높았고, 24시간짞 평가한 뇌겜색 크Ʞ와 뇌겜색 크Ʞ가 슝가한 정도(infarct growth)도 유의하게 작았닀.

2) DEFUSE 3 임상시험

2) DEFUSE 3 임상시험

DEFUSE 3 임상시험은 앞순환큰동맥폐색 환자 쀑 LNT로부터 6-16시간 낎에 ERT륌 시작할 수 있고, CTꎀ류영상 또는 MRI확산-ꎀ류영상윌로 뇌겜색 범위와 반음영대(penumbra)륌 평가하여 목표불음치가 졎재하는 환자륌 선정하였닀[19]. 등록된 182명(연령 쀑앙값 70섞, 여자 50.5%) 쀑 92명읎 ERTêµ°(읎 쀑 90명읎 싀제로 ERT륌 받음)에, 90명읎 대조군에 묎작위 배정되었닀. 폐색동맥 부위는 114명(63%)에서는 쀑대뇌동맥(M1 분절: 113명, M2 분절: 1명)읎었고, 68명(37%)에서는 두개강낎낎겜동맥읎었닀. ERT군곌 대조군에서 LNT에서 묎작위 배정까지 걞늰 시간은 각각 10.9시간곌 10.7시간읎었고, NIH 뇌졞쀑척도 쀑앙값은 각각 16점곌 16점, 치료 전 뇌겜색 크Ʞ 쀑앙값은 각각 9.4 mL와 10.1 mL, 귞늬고 ꎀ류결손부플(perfusion deficit volume) 쀑앙값은 각각 114.7 mL와 116.1 mL였닀. 음찚 유횚성 평가변수읞 90음짞 mRS 점수 분포는 대조군에 비하여 ERT군에서 유의하게 좋았닀(unadjusted common odds ratio 2.77; 95% confidence interval [CI] 1.63-4.70; p<0.001). 90음짞 mRS 0-2 환자 비윚도 ERT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닀(45% vs. 17%; unadjusted risk ratio 2.67; 95% CI 1.60-4.48; p<0.001). 사전에 결정한 닀양한 하위집닚에서도 ERT는 음ꎀ되게 예후륌 개선시킀는 횚곌가 있었닀. ERT군의 76%에서 성공적 재ꎀ류(mTICI 2b 또는 3)가 읎룚얎졌고, LNT부터 재ꎀ류까지 걞늰 시간 쀑앙값은 11.5시간읎었닀. 통계적윌로 유의한 찚읎는 없었지만 ERT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24시간짞 뇌겜색 크Ʞ(35 vs. 41 mL)와 뇌겜색 크Ʞ가 슝가한 정도(23 vs. 33 mL)가 작았닀. 또한, 24시간짞 영상에서 혈ꎀ읎 완전히 재개통된 비윚곌 90% 읎상 재ꎀ류륌 볎읞 환자의 비윚은 ERT군읎 대조군에 비하여 4ë°° 읎상 높았닀. ERT군곌 대조군 사읎에 슝상뇌출혈의 발생은 유의한 찚읎가 없었지만(7% vs. 4%; p=0.75) 90음짞 사망률은 ERT군에서 낮은 겜향을 볎였닀(14% vs. 26%; p=0.05).
2. 연장된 시간대에서 환자 선정(patient selection for ERT in the extended time window)
2. 연장된 시간대에서 환자 선정(patient selection for ERT in the extended time window)

1) 시간대

1) 시간대

DAWN곌 DEFUSE 3 임상시험은 선정Ʞ쀀 시간대에 찚읎가 있닀. DAWN 임상시험은 LNT Ʞ쀀윌로 6-24시간대 환자가 대상읎었고, DEFUSE 3 임상시험은 LNT Ʞ쀀 6-16시간대 환자가 대상읎었닀. 귞러나 LNT에서 묎작위 배정까지 걞늰 시간 쀑앙값은 DAWN 임상시험에서는 12.8시간, DEFUSE 3 임상시험에서는 10.8시간읎었고, LNT부터 재ꎀ류까지 걞늰 시간 쀑앙값은 DAWN 임상시험에서는 13.6시간, DEFUSE 3 임상시험에서는 12.1시간읎었닀. 따띌서, 두 임상시험에서 LNT에서 묎작위 배정은 앜 12시간, LNT에서 재ꎀ류까지는 앜 13시간윌로 비슷한 시간읎 걞렞닀. 하위집닚 분석에서 두 임상시험 몚두 12시간 읎후 묎작위 배정된 환자에서도 ERT 횚곌는 유의하였닀. DEFUSE 3 임상시험에서 LNT부터 묎작위 배정까지 걞늰 시간읎 12시간 읎낎였던 하위집닚곌 12시간 읎후였던 하위집닚 사읎에 ERT 횚곌의 유의한 찚읎는 없었지만 12시간 읎후였던 하위집닚에서 ERT 치료 횚곌가 였히렀 더 큰 겜향을 볎였닀. 두 임상시험 결곌륌 종합하멎, ERT 횚곌가 입슝된 공통 시간대는 LNT 후 6-16시간읎지만 환자륌 잘 선정하멎 24시간까지도 ERT 횚곌륌 Ʞ대할 수 있닀.

2) DAWN곌 DEFUSE 3 임상시험에서 목표불음치가 있는 환자 선별

2) DAWN곌 DEFUSE 3 임상시험에서 목표불음치가 있는 환자 선별

DAWN 임상시험은 임상슝상곌 뇌겜색 범위 사읎의 불음치(clinical-core mismatch)륌 읎용하였는데, 나읎와 뇌졞쀑 쀑슝도에 따띌 불음치 Ʞ쀀을 닀륎게 정하였닀[16,18]. 80섞 읎상 환자의 겜우 NIH 뇌졞쀑척도 10점 읎상읎멎서 뇌겜색 범위 크Ʞ가 21 mL 믞만읎 선정Ʞ쀀읎었닀. 80섞 믞만 환자에서는 NIH 뇌졞쀑척도 10-19점읞 겜우는 뇌겜색 범위 크Ʞ 31 mL 믞만 귞늬고 NIH 뇌졞쀑척도 20점 읎상읞 겜우는 뇌겜색 범위 크Ʞ 31-50 mL가 선정Ʞ쀀읎었닀. 뇌겜색 범위 크Ʞ는 DWI 또는 CTP 영상에서 자동화영상처늬 프로귞랚읞 RAPID 소프튞웚얎(iSchemaView, Menlo Park, CA, USA)륌 읎용하여 계산하였닀.
DEFUSE 3 임상시험은 CTP 또는 DWI/perfusion-weighted imaging (PWI) 영상 자료륌 읎용하여 ꎀ류-뇌겜색범위불음치로 목표불음치륌 평가하였는데, 선정Ʞ쀀은 (1) 뇌겜색 크Ʞ <70 mL, (2) (ꎀ류부족 영역 부플, PWI에서 [Tmax] 6쎈 쎈곌 영역)/(뇌겜색 부플) ≥1.8, 귞늬고 (3) 반음영대 크Ʞ ≥15 mL였닀[19]. DEFUSE 3 임상시험에서도 뇌영상 자료는 RAPID 소프튞웚얎로 분석하였닀. 추가적윌로 Ʞ술적 묞제로 CTP나 PWI륌 평가할 수 없는 환자의 겜우, 큰동맥폐색읎 확읞되고 뇌겜색 크Ʞ가 작은(DWI volume <25 mL) 겜우는 등록읎 가능하였닀.
DAWN곌 DEFUSE 3 임상시험은 임상슝상-뇌겜색범위불음치와 ꎀ류부족영역-뇌겜색범위불음치띌는 닀륞 Ʞ쀀윌로 목표불음치륌 평가하였닀. 귞늬고 두 임상시험 몚두 RAPID 소프튞웚얎륌 읎용하여 뇌겜색 범위 부플륌 계산하였지만 선정Ʞ쀀에 만족하는 뇌겜색 크Ʞ Ʞ쀀은 달랐닀. 귞러나 선정Ʞ쀀의 찚읎에도 불구하고 두 임상시험에 등록된 환자듀의 뇌영상 자료와 뇌졞쀑 쀑슝도는 대첎로 비슷하였는데, ERT군의 뇌겜색 크Ʞ 쀑앙값읎 DAWN에서 7.6 mL (사분위수 범위 2.0-18.0), DEFUSE 3에서는 9.4 mL (2.3-25.6)였고, NIH 뇌졞쀑척도 쀑앙값은 DAWN에서 17점(13-21), DEFUSE 3에서 16점(10-20)읎었닀. 두 임상시험의 대조군 특성 역시 비슷하였닀. 따띌서 임상평가척도 또는 ꎀ류영상에서 심각한 결손읎 있지만 뇌겜색 크Ʞ는 작은 두개강낎겜동맥 또는 쀑대뇌동맥 M1 분절 폐색읎 환자 선별의 핵심 요소읎닀.

3) 싀제 진료 현장에서 목표불음치가 있는 환자 선별

3) 싀제 진료 현장에서 목표불음치가 있는 환자 선별

싀제 진료 현장에서도 LNT Ʞ쀀 6시간 읎후 시간대 환자에서 뇌겜색 범위 또는 목표불음치륌 평가할 때 임상시험에서 검슝된 자동화 소프튞웚얎륌 읎용하는 것읎 바람직할 것읎닀. 2018년 믞국 뇌졞쀑 진료지칚도 DAWN 또는 DEFUSE 3 임상시험 선정Ʞ쀀을 따륎도록 권고하고 있윌며[20], 2018년 캐나닀 뇌졞쀑 진료지칚도 DAWN곌 DEFUSE 3 임상시험 선정Ʞ쀀을 따륌 것을 권고한닀. 캐나닀의 겜우 대부분 병원에서 MRI볎닀는 CT로 환자륌 선별할 수 있Ʞ 때묞에, 캐나닀 진료지칚은 객ꎀ적윌로 뇌겜색 부위와 반음영대륌 잡정할 수 있고 재현성읎 높은 소프튞웚얎륌 사용하여 CTꎀ류영상을 평가하도록 권고하고 있닀[21]. 반멎 혞죌 진료지칚은 좀 더 융통성 있는 권고안을 제시하고 있는데, 임상슝상곌 CTꎀ류영상 또는 MRI로 평가하여 회생 가능한 뇌조직읎 있닀고 판당하는 겜우에는 LNT Ʞ쀀 6-24시간 사읎 환자에게 ERT륌 권고하고 있닀[22]. 국낎의 겜우 대부분의 뇌졞쀑섌터가 RAPID 소프튞웚얎륌 사용할 수 없는 싀정읎므로 각 병원에서 사용할 수 있고 적절하게 환자륌 선별할 수 있는 영상 또는 임상적 Ʞ쀀을 정할 필요가 있닀.
뇌졞쀑 전묞가음지띌도 자동화 소프튞웚얎륌 읎용하지 않고서 닀쀑몚드영상곌 임상적 정볎만윌로 ERT에 적합한 환자륌 제대로 선별핎낌 수 있는가에 대한 녌란읎 있을 수 있닀. DEFUSE 3 임상시험의 토대륌 마령한 사전 임상시험에서 연구자듀은 RAPID 소프튞웚얎륌 읎용한 CTP 영상 분석의 정확도륌 검슝하Ʞ 위한 닀Ʞꎀ 윔혞튞 연구륌 수행하였닀. 각 Ʞꎀ의 연구자듀은 RAPID 소프튞웚얎륌 사용하지 않고 임상슝상곌 핎당 병원의 CT,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TA), CTP 자료륌 바탕윌로 ERT 시행 유묎륌 결정하였닀[13]. 쎝 190명의 환자가 임상슝상곌 영상 정볎에 의하여 ERT륌 받았는데, 귞쀑 69%읞 131명읎 추후에 RAPID 소프튞웚얎륌 읎용한 분석에서 목표불음치가 졎재하는 것윌로 확읞되었닀. 쀑요한 점은 6시간 읎낎의 환자에서는 RAPID 소프튞웚얎로 확읞된 목표불음치가 있었던 비윚읎 62%지만 6시간 읎후 환자에서는 80%까지 슝가하였닀는 점읎닀(6-9시간대 83%, 9-12시간대 85%, 12시간 쎈곌 시 69%). 전첎 190명 환자 쀑 성공적 재ꎀ류 치료륌 볎였던 170명의 환자에서 90음짞 mRS 0-2 비윚은 59%(100명)였는데, 비록 RAPID로 목표불음치가 나쀑에 확읞되었고 재ꎀ류 치료가 성공한 환자(114명)에서 볎읞 mRS 0-2 비윚 66%볎닀는 낮지만 비교적 높은 비윚읎었닀. 또한, 전첎 190명에서 90음짞 mRS 0-2의 비윚은 55%로 확읞되었는데, HERMES 연구에서 볎였던 46%에 비핎서는 높은 펞읎었닀. 슝상뇌출혈 비윚은 5.2%였는데, 목표불음치 여부에 따륞 찚읎는 없었닀. 읎 연구는 뇌졞쀑 전묞가가 자동화 소프튞웚얎의 도움 없읎 임상슝상곌 닀쀑몚드영상 자료륌 읎용하여 연장된 시간대에서 목표불음치륌 가진 환자륌 잘 선별핎낌 수 있음을 시사한닀.
학술적 또는 영늬적 목적의 자동화 분석 프로귞랚듀읎 읎믞 개발되었거나 개발 닚계에 있닀. 음반적윌로 뇌겜색 크Ʞ나 목표불음치의 평가에 있얎 자동화 분석 소프튞웚얎륌 읎용한 정량적 평가가 정성적 평가볎닀 더 정확하닀고 알렀젞 있고, 한국의 음부 Ʞꎀ에서는 읎러한 자동화 소프튞웚얎륌 싀제 임상 진료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닀. 하지만 영늬적 목적윌로 개발된 프로귞랚 간에도 ꎀ류영상 분석 결곌의 찚읎가 있윌며, 학술적 목적윌로 개발된 프로귞랚읎 영늬적 목적윌로 개발된 프로귞랚볎닀 더 정확하닀는 연구 결곌듀읎 있닀[24-26]. 따띌서, 임상가듀은 각자의 Ʞꎀ에서 사용하는 영상 소프튞웚얎의 장닚점을 잘 파악할 필요가 있닀.
여러 연구륌 통하여 잡부순환읎 좋은 환자에서 ERT 횚곌가 더 크닀는 것읎 알렀젞 있닀. 하지만 DAWN곌 DEFUSE 3 임상시험에서는 잡부순환 상태륌 선정Ʞ쀀에 포핚하지 않았윌므로, 연장된 시간대 환자에서 잡부순환 상태가 ERT 횚곌에 믞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닀. 음반적윌로 뇌졞쀑 발생 시간을 정확히 알 수 있는 환자에서 뇌겜색 크Ʞ가 작은 겜우는 잡부순환읎 좋은 환자음 가능성읎 높윌며, 시간읎 많읎 지난 환자에서 뇌겜색 크Ʞ가 작닀멎 잡부순환읎 좋을 가능성읎 더욱 높을 것읎닀. 하지만 발생 시점을 정확하게 몚륎는 겜우에는 뇌겜색 크Ʞ가 작닀고 잡부순환읎 반드시 좋닀는 것을 의믞하지는 않을 것읎며, 잡부순환 상태가 뇌겜색 진행 속도와 ERT 횚곌에 쀑요한 영향을 믞칠 것읎닀. 국제 뇌졞쀑 전묞가 귞룹은 ERT 대상 환자 선정에 있얎 대뇌혈ꎀ 폐색, 뇌겜색 크Ʞ 귞늬고 목표불음치뿐 아니띌 잡부순환 상태륌 평가할 것을 강력하게 권고하고 있닀[27]. 캐나닀 진료지칚도 CTA에서 쀑등도 읎상의 잡부순환읎 있는 겜우에 ERT 횚곌가 더 좋을 것윌로 예잡할 수 있닀고 권고하고 있닀[21]. 하지만 연장된 시간대에서 잡부순환의 치료 횚곌 영향에 대한 명확한 귌거가 없윌므로, 볞 진료지칚 개정에서는 잡부순환 평가에 대한 별도의 권고안을 제시하지는 않았닀. 하지만 발생 시간을 정확하게 알 수 없는 환자에서는 치료 유묎륌 결정할 때 잡부순환을 평가하는 것읎 바람직하닀.
합의 도출(consensus achievement)
합의 도출(consensus achievement)
진료지칚 집필진은 곌학적 귌거와 국낎 진료 환겜에서 적용 가능성을 몚두 고렀하여 개정 권고안 쎈안을 작성하였닀. 권고안에 대한 합의륌 도출하Ʞ 위하여 신겜곌의사, 쀑재전묞 영상의학곌의사 귞늬고 신겜왞곌의사로 구성된 45명(대한뇌졞쀑학회 30명, 대한신겜쀑재치료의학회 15명 추천)의 전묞가듀로 팚널을 구성하였고, 권고안 합의는 수정 덞파읎법을 사용하였닀. 팚널로 찞여한 전묞가듀은 개별적윌로 집필진읎 제안한 20개 권고안 각각에 대하여 RAND corporation 방식에 따띌 9점 척도로 동의 유묎륌 답변하였닀. 7-9점은 ‘동의핚’, 4-6점은 ‘불명확’ 귞늬고 1-3점은 ‘동의하지 않음’윌로 정의하였고, 동의하지 않는 겜우에는 ê·ž 읎유륌 제시하도록 요청하였닀[28]. 응답한 전묞가듀 쀑 75% 읎상읎 동의한 권고안은 합의가 읎룚얎진 것윌로 정의하였고, ‘동의핚’ 비윚읎 75% 믞만읞 권고안은 전묞가듀의 의견을 반영한 수정 권고안을 작성하여 2ì°š 섀묞을 진행하Ʞ로 계획하였닀.
읎번 진료지칚 개정판은 연장된 시간대의 ERT 권고안 개정읎 죌된 사안읎었Ʞ 때묞에 우선 팚널에 찞여한 전묞가듀에게 LNT Ʞ쀀 6-24시간대의 ERT에 대한 진료지칚 개정 필요성을 질의하였닀. 또한, 연장된 시간대에서 ERT 대상 환자륌 선별하Ʞ 위하여 RAPID 소프튞웚얎 대신에 각 Ʞ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닀쀑몚드 영상을 대첎하여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핎서도 질의하였닀. 귞늬고 곌학적 귌거와 국낎 현싀을 고렀하여 닀음 두 권고안 쀑 하나륌 선택하도록 하였닀. (1) “LNT로부터 6-24시간 시간대에 낎원한 ꞉성앞순환큰동맥폐색 환자 쀑 DAWN읎나 DEFUSE 3 선정Ʞ쀀에 합당한 겜우 혈ꎀ낎재개통치료륌 권고한닀(LOE Ib, GOR A)” 또는 (2) “LNT로부터 6-24시간 시간대에 낎원한 ꞉성앞순환큰동맥폐색 환자 쀑 닀쀑몚드 뇌영상 또는 신겜학적 결손윌로 평가한 결곌 목표불음치가 있고, ERT륌 통한 재ꎀ류가 예후륌 혞전시킬 수 있닀고 판당하는 겜우 ERT륌 권고한닀. 각 병원은 연장된 시간대에 목표불음치가 있는 환자륌 신속하고 적절하게 선별할 수 있는 Ʞ쀀을 마령할 것을 권고한닀(LOE III, GOR C)”. 두 번짞 제시안의 겜우, 각 Ʞꎀ별 닀쀑몚드영상을 읎용하여 환자륌 선별하는 방법읎 임상시험윌로 횚곌가 입슝되지 않았Ʞ 때묞에 귌거수쀀을 III 귞늬고 권고수쀀은 C로 하향 조정하였닀.
출혈뇌졞쀑읎나 뇌졞쀑유사질환(stroke mimics)을 감별하Ʞ 위하여 신속한 신겜영상검사는 필수적읎닀. 비용-횚곌 분석 연구 결곌, 응꞉윌로 CT검사륌 하멎 신속하게 치료 방칚을 결정하고 적절한 치료륌 제공하므로 환자의 예후가 개선되고 삶의 질도 향상되었닀[29]. MRI검사 역시 뇌출혈 진닚곌 ꞉성 혈ꎀ 병변을 진닚하는데 CT와 비슷하거나 앜간 우월하닀[30,31]. 또한, ERT 치료 대상을 선별하Ʞ 위핎서는 비칚습적 혈ꎀ영상검사(CTA 또는 MR angiography)로 큰뇌동맥의 폐색 여부륌 반드시 확읞하여알 한닀. 읎전의 진료지칚에 반영되지 않았던 읎러한 귌거듀을 개정된 진료지칚의 권고안에 반영하Ʞ 위하여 전묞가 팚널에게 “출혈뇌졞쀑읎나 닀륞 뇌졞쀑 읎왞의 원읞을 배제하Ʞ 위하여 비조영슝강 CT나 MRI륌 시행하여알 한닀” 권고안의 귌거수쀀곌 권고수쀀을 GPP에서 ‘귌거수쀀 III, 권고수쀀 C’로 상향하는 것에 찬성하는지도 질의하였닀.
쎝 45명의 추천된 전묞가 쀑 41명(91%)읎 덞파읎 섀묞에 답변하였닀(찞여자 명닚, Supplementary Table 1). 1ì°š 덞파읎 띌욎드에서 몚든 질묞 항목곌 권고안에 대하여 합의가 읎룚얎졌고, 각 권고안의 ‘동의핚’ 비윚곌 동의 척도의 점수도 전반적윌로 높았닀(Supplementary Table 2). 특히, 연장된 시간대에 ERT 대상 환자륌 선별하는 방법윌로 전묞가 팚널은 특정 RAPID 소프튞웚얎 사용을 권고하는 것볎닀는 각 Ʞ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닀쀑영상Ʞ법을 읎용하여 판당하는 것에 동의하였닀. 진료지칚 개정에 찞여한 대한뇌졞쀑학회와 대한신겜쀑재치료의학회는 개정 진료지칚 최종볞을 검토한 후 승읞하였닀.
권고사항(recommendations)
권고사항(recommendations)
Table 2와 Supplementary Table 3에 ERT, 신겜영상 평가 귞늬고 조직 첎계에 ꎀ한 개정된 권고안곌 읎전 권고안곌의 비교륌 요앜하였닀.
국낎 진료 현장에서 ERT 치료 시간대 연장윌로 읞한 영향(impact of expanding the time window of ERT on clinical practice in Korea)
국낎 진료 현장에서 ERT 치료 시간대 연장윌로 읞한 영향(impact of expanding the time window of ERT on clinical practice in Korea)
ERT 시간대륌 24시간까지 연장하는 것은 한국 뇌졞쀑 치료 시슀템에 쀑대한 영향을 믞칠 것읎닀. 믞국 닚음Ʞꎀ 연구에 따륎멎, 전첎 허혈뇌졞쀑 환자 쀑 1.7%만 DAWN 선정Ʞ쀀에 부합하고, DAWN 또는 DEFUSE3 두 선정Ʞ쀀 쀑 적얎도 한 가지에 부합하는 환자는 2.7%에 불곌하였닀[32]. 2011년 5월에서 2012년 12월 사읎의 닀Ʞꎀ 레지슀튞늬 자료륌 분석한 국낎 연구에 따륎멎, 쎝 6,742명의 환자 쀑 DAWN 선정Ʞ쀀을 만족하는 환자는 1.1%였닀. 읎 자료와 연령별, 성별에 따륞 국낎 뇌졞쀑 발생률을 종합하멎[33] 2016년 한국 읞구 통계 Ʞ쀀윌로 DAWN 선정Ʞ쀀을 만족하는 국낎 뇌졞쀑 환자는 맀년 1,331명 정도로 추정된닀[34]. 각 병원당 연장된 시간대에 ERT 대상 환자수는 비록 적지만 국낎 전첎 환자수륌 볎멎 적지 않은 숫자읎닀. 2017년 국믌걎강볎험 청구 자료에 의하멎, 1년에 앜 3,500명의 환자가 ERT륌 받은 것윌로 추정된닀(김병묞 교수의 의견). 따띌서, ERT 시간대륌 24시간까지 연장하멎 ERT 대상 환자수는 앜 38% 정도 슝가할 것읎닀. 하지만 연장된 시간대까지 ERT 대상 환자륌 선별하Ʞ 위하여 전첎 ꞉성 뇌졞쀑 환자 쀑 응꞉윌로 슀크늬닝읎 필요한 환자 비윚읎 43.9%에서 67.6%로 추가적윌로 앜 23.7%가 슝가한닀[34]. 더구나 뇌졞쀑뿐 아니띌 뇌졞쀑 의심 환자까지 슀크늬닝을 핎알 하므로, 뇌졞쀑 전묞의료진의 부닎은 상당히 슝가할 것읎닀. 따띌서 읎에 상응되는 추가적읞 의료 자원의 지원읎 필요하닀.
Acknowledgments
Acknowledgments

읎 진료지칚은 Journal of Stroke (2019년, 21권 2혞, 231-240) 에 영묞윌로 게재된 진료지칚의 한Ꞁ판윌로, 뇌졞쀑 진료 및 ꎀ렚 분알에 종사하는 독자듀에게 진료지칚의 낎용을 한Ꞁ로 전달할 목 적윌로 Journal of Stroke와 대한신겜곌학회지 펞집위원회 승읞을 얻얎 영묞판을 국묞판윌로 번역하여 2ì°š 출판한 것읎닀. 독자의 읎 핎륌 돕Ʞ 위하여 영묞판 진료지칚을 귞대로 번역하Ʞ 볎닀는 영 묞판 진료지칚곌 진료지칚 애플늬쌀읎션(뇌졞쀑 진료지칚 app: android와 IOS version윌로 제공됚)의 낎용을 종합하여 음부 낎용 을 추가하였고, 부분적윌로 낎용의 배엎을 변겜하였윌나 권고사항 읎나 죌요 낎용의 변겜은 없음을 밝혀둔닀. 볞 진료지칚을 읞용할 때는 1ì°š 출판한 영묞판 진료지칚(Update of the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Endovascular Recanaliz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J Stroke 2019;12:231-240]) 을 읞용하여알 한닀.

Supplementary Material

Supplementary Material

Supplementary Table 1.
jkna-38-2-77-suppl1.pdf
Supplementary Table 2.
jkna-38-2-77-suppl2.pdf
Supplementary Table 3.
jkna-38-2-77-suppl3.pdf

Table 1.
Level of evidence and grade of recommendation
Level of evidence (LOE)
  Ia Evidence obtained from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b Evidence obtained from at least on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Ia Evidence obtained from at least one well-designed controlled study without randomization
IIb Evidence obtained from at least one other type of well-designed quasi-experimental study
III Evidence obtained from well-designed non-experimental descriptive studies, such as comparative studies, correlation studies and case studies
IV Evidence obtained from expert committee reports or opinions and/or clinical experiences of respected authorities
Grade of recommendation (GOR)
A (LOE Ia, Ib) Required - at least on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s part of the body of literature of overall good quality and consistency addressing specific recommendation
B (LOE IIa, IIb, III) Required - availability of well conducted clinical studies but no randomized clinical trials on the topic of recommendation
C (LOE IV) Required - evidence obtained from expert committee reports or opinions and/or clinical experiences of respected authorities. This grade indicates absence clinical of directly applicable studies of good quality
Good practice points Recommended best practice based on the clinical experience of the guideline development group
Table 2.
Summary of current recommendation
혈ꎀ낎재개통치료(endovascular recanalization therapy, ERT) 변동 여부
  1. ꞉성앞순환큰동맥(낎겜동맥, 쀑대뇌동맥 M1 및 큰 M2)폐색윌로 읞한 쀑슝 허혈뇌졞쀑 환자에서 예후륌 개선시킀Ʞ 위하여 6시간 읎낎 혈ꎀ낎재개통치료(ERT)륌 권고한닀(귌거수쀀 Ia, 권고수쀀 A). 변동 없음
2. 정맥낎조직플띌슀믞녞겐활성제(intravenous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IV-TPA) 치료 대상 환자는 ERT 시행 전 IV-TPA 투여륌 권고한닀(귌거수쀀 Ia, 권고수쀀 A). IV-TPA가 ERT륌 지연시킀지 말아알 하므로, IV-TPA에 대한 반응을 Ʞ닀늬지 말고 투여하멎서 동시에 ERT륌 진행할 것을 권고한닀. 변동 없음
3. ꞉성앞순환큰동맥폐색윌로 읞한 쀑슝 허혈뇌졞쀑 환자 쀑 IV-TPA 치료가 ꞈꞰ읞 겜우, 6시간 읎낎 ERT륌 우선적읞 치료로 권고한닀(귌거수쀀 IIa, 권고수쀀 B). 변동 없음
4. 뒀순환큰동맥(바닥동맥, 후대뇌동맥 P1, 척추동맥)폐색윌로 읞한 쀑슝 허혈뇌졞쀑 환자에서 6시간 읎낎 ERT륌 고렀할 수 있닀(귌거수쀀 III, 권고수쀀 B). 변동 없음
5. 마지막 정상읎었던 시점윌로부터 6-24시간대에 낎원한 ꞉성앞순환큰동맥폐색 환자 쀑 닀쀑몚드 뇌영상 또는 신겜학적 결손윌로 평가한 결곌 재ꎀ류 치료륌 통하여 예후륌 혞전시킬 수 있닀고 판당하는 겜우, 목표불음치가 있고 ERT륌 통한 재ꎀ류가 예후륌 혞전시킬 수 있닀고 판당하는 겜우 ERT륌 권고한닀. 각 병원은 연장된 시간대에 목표불음치가 있는 환자륌 신속하고 적절하게 선별할 수 있는 Ʞ쀀을 마령할 것을 권고한닀(귌거수쀀 III, 권고수쀀 C). 새로 추가됚
6. 뒀순환큰동맥폐색 후 6시간읎 지난 환자에서는 닀쀑Ʞ법영상을 읎용하여 예상되는 읎득곌 안정성을 평가한 후 좋은 예후륌 Ʞ대할 수 있는 환자에서는 ERT륌 고렀할 수 있닀. 읎용 가능한 장비와 검사법을 고렀하여 각 병원마닀 선정Ʞ쀀을 규정하는 것읎 권장된닀(귌거수쀀 IV, 권고수쀀 C). 변동 없음
7. 음닚 ERT 적응슝읎 되멎 가능한 빚늬 시행하여알 한닀(귌거수쀀 IIa, 권고수쀀 B). 변동 없음
8. ERT 방법윌로 슀텐튞혈전제거술을 우선적윌로 권고한닀(귌거수쀀 Ia, 권고수쀀 A). 변동 없음
9. 슀텐튞혈전제거술로 재개통읎 읎룚얎지지 않는 겜우 예상 횚곌와 안전을 고렀하여 닀륞 ERT 방법을 추가하는 것을 고렀할 수 있닀(귌거수쀀 IV, 권고수쀀 C). 변동 없음
10. 책임 쀑재시술자의 판닚에 따띌 Ʞ술적 잡멎을 고렀하여 닀륞 방법의 Ʞ계적 혈전제거술읎나 혈전흡입술을 우선적윌로 고렀할 수 있닀(귌거수쀀 IV, 권고수쀀 C). 변동 없음
11. ERT 쀑 전신마췚볎닀는 의식하진정(conscious sedation)읎 음반적윌로 선혞된닀. 귞러나 환자 상태와 병원의 겜험을 고렀하여 결정하는 것을 권고한닀(귌거수쀀 III, 권고수쀀 B). 변동 없음
신겜영상검사(neuroimaging evaluation) 변동 여부
1. 출혈뇌졞쀑읎나 닀륞 뇌졞쀑 읎왞의 원읞을 배제하Ʞ 위하여 비조영슝강 computed tomography (CT)나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륌 시행하여알 한닀(귌거수쀀 III, 권고수쀀 C). 수정됚
2. 쀑슝 허혈뇌졞쀑 환자에서 ꞉성 큰동맥폐색을 확읞하Ʞ 위하여 비칚습적 혈ꎀ조영술(CT 및 MR 혈ꎀ조영술)을 권고한 ë‹€(귌거수쀀 III, 권고수쀀 C). 수정됚
3. 비칚습적 혈ꎀ영상읎 불가능한 환자에서는 뇌졞쀑 쀑슝도 또는 비조영슝강 CT의 혈전 신혞 등읎 ERT 결정에 도움읎 될 수 있닀(good practice points, GPP). 변동 없음
4. ꎑ범위한 ì¡°êž° 허혈손상 변화륌 평가하는 신겜영상법을 읎용하여 ERT 대상 환자륌 선별할 수 있닀(GPP). 변동 없음
5. 마지막 정상읎었던 시점윌로부터 6-24시간대에 낎원한 환자에서 ERT 대상 환자륌 선별하Ʞ 위하여 닀쀑Ʞ법영상윌로 곁순환, 뇌겜색 크Ʞ 또는 ꎀ류(또는 임상슝상)-확산불음치륌 평가하는 것을 권고한닀. 각 병원은 목표불음치가 있는 환자륌 신속하고 적절하게 선별할 수 있는 자첎적읞 프로토윜을 마령할 것을 권고한닀(귌거수쀀 III, 권고수쀀 C). 새로 추가됚
조직 첎계(system organization)
1. ERT 시행읎 가능한 병원은 ERT가 빚늬 읎룚얎지도록 죌 임상겜로 및 묞서화된 프로토윜을 조직하고 정착할 것을 권고한닀(GPP). 변동 없음
2. ERT 시행에 필요한 충분한 전묞 읞력읎 부족한 병원은 대상 환자륌 ERT가 가능한 병원윌로 읎송할 수 있는 계획안을 마령할 것을 권고한닀. IV-TPA 대상 환자의 겜우 읎송 전에 IV-TPA 투여륌 시작하는 것읎 권장된닀(GPP). 변동 없음
3. 각 병원은 쎈Ʞ 평가, ERT 시행 유묎 결정곌 시술을 닎당할 닀학제(multidisciplinary) ERT팀의 Ʞ쀀을 자첎적윌로 규정할 것을 권장한닀(GPP). 변동 없음
4. ERT 질 평가 및 개선을 위하여 각 병원은 방묞-신겜영상(door-to neuroimaging) 또는 방묞-혈ꎀ조영술개시(door-to-groin puncture) 같은 핵심 시간 지표륌 추적ꎀ찰하고 평가할 것을 권장한닀(GPP). 변동 없음
5. ERT 후에 Ʞ능적 예후, 재개통률, 합병슝률 등을 평가하는 것을 권장한닀(GPP). 변동 없음
REFERENCES
REFERENCES

1. Berkhemer OA, Fransen PS, Beumer D, van den Berg LA, Lingsma HF, Yoo AJ, et al. A randomized trial of intraarterial treatment for acute ischemic stroke. N Engl J Med 2015;372:11-20.
[Article] [PubMed]
2. Campbell BC, Mitchell PJ, Kleinig TJ, Dewey HM, Churilov L, Yassi N, et al. Endovascular therapy for ischemic stroke with perfusion-imaging selection. N Engl J Med 2015;372:1009-1018.
[Article] [PubMed]
3. Saver JL, Goyal M, Bonafe A, Diener HC, Levy EI, Pereira VM, et al. Stent-retriever thrombectomy after intravenous t-PA vs. t-PA alone in stroke. N Engl J Med 2015;372:2285-2295.
[Article] [PubMed]
4. Jovin TG, Chamorro A, Cobo E, de Miquel MA, Molina CA, Rovira A, et al. Thrombectomy within 8 hours after symptom onset in ischemic stroke. N Engl J Med 2015;372:2296-2306.
[Article] [PubMed]
5. Goyal M, Demchuk AM, Menon BK, Eesa M, Rempel JL, Thornton J, et al. Randomized assessment of rapid endovascular treatment of ischemic stroke. N Engl J Med 2015;372:1019-1030.
[Article] [PubMed]
6. Goyal M, Menon BK, van Zwam WH, Dippel DW, Mitchell PJ, Demchuk AM, et al. Endovascular thrombectomy after large-vessel ischaemic stroke: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patient data from five randomised trials. Lancet 2016;387:1723-1731.
[Article] [PubMed]
7. Powers WJ, Derdeyn CP, Biller J, Coffey CS, Hoh BL, Jauch EC, et al.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focused update of the 2013 guidelines for the early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regarding endovascular treatment. Stroke 2015;46:3020-3035.
[Article] [PubMed]
8. Wahlgren N, Moreira T, Michel P, Steiner T, Jansen O, Cognard C, et al. Mechanical thrombectomy in acute ischemic stroke: consensus statement by ESO-Karolinska stroke update 2014/2015, supported by ESO, ESMINT, ESNR, and EAN. Int J Stroke 2016;11:134-147.
[Article] [PubMed]
9. Casaubon LK, Boulanger JM, Blacquiere D, Boucher S, Brown K, Goddard T, et al. Canadian stroke best practice recommendations: hyperacute stroke care guidelines, update 2015. Int J Stroke 2015;10:924-940.
[Article] [PubMed]
10. Hong KS, Ko SB, Lee JS, Yu KH, Rha JH. Endovascular recanalization therapy in acute ischemic stroke: update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Stroke 2015;17:268-281.
[Article] [PubMed] [PMC]
11. Saver JL, Goyal M, van der Lugt A, Menon BK, Majoie CB, Dippel DW, et al. Time to treatment with endovascular thrombectomy and outcomes from ischemic stroke: a meta-analysis. JAMA 2016;316:1279-1288.
[Article] [PubMed]
12. Lansberg MG, Straka M, Kemp S, Mlynash M, Wechsler LR, Jovin TG, et al. Mri profile and response to endovascular reperfusion after stroke (DEFUSE 2): a prospective cohort study. Lancet Neurol 2012;11:860-867.
[Article] [PubMed] [PMC]
13. Lansberg MG, Christensen S, Kemp S, Mlynash M, Mishra N, Federau C, et al. Computed tomographic perfusion to predict response to recanalization in ischemic stroke. Ann Neurol 2017;81:849-856.
[Article] [PubMed] [PMC]
14. Jovin TG, Liebeskind DS, Gupta R, Rymer M, Rai A, Zaidat OO, et al. Imaging-based endovascular therapy for acute ischemic stroke due to proximal intracranial anterior circulation occlusion treated beyond 8 hours from time last seen well: Retrospective multicenter analysis of 237 consecutive patients. Stroke 2011;42:2206-2211.
[Article] [PubMed]
15. Copen WA, Rezai Gharai L, Barak ER, Schwamm LH, Wu O, Kamalian S, et al. Existence of the diffusion-perfusion mismatch within 24 hours after onset of acute stroke: dependence on proximal arterial occlusion. Radiology 2009;250:878-886.
[Article] [PubMed]
16. Jovin TG, Saver JL, Ribo M, Pereira V, Furlan A, Bonafe A, et al. Diffusion-weighted imaging or computerized tomography perfusion assessment with clinical mismatch in the triage of wake up and late presenting strokes undergoing neurointervention with trevo (DAWN) trial methods. Int J Stroke 2017;12:641-652.
[Article] [PubMed]
17. Albers GW, Lansberg MG, Kemp S, Tsai JP, Lavori P, Christensen S, et al.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endovascular therapy following imaging evaluation for ischemic stroke (DEFUSE 3). Int J Stroke 2017;12:896-905.
[Article] [PubMed] [PMC]
18. Nogueira RG, Jadhav AP, Haussen DC, Bonafe A, Budzik RF, Bhuva P, et al. Thrombectomy 6 to 24 hours after stroke with a mismatch between deficit and infarct. N Engl J Med 2018;378:11-21.
[Article] [PubMed]
19. Albers GW, Marks MP, Kemp S, Christensen S, Tsai JP, OrtegaGutierrez S, et al. Thrombectomy for stroke at 6 to 16 hours with selection by perfusion imaging. N Engl J Med 2018;378:708-718.
[Article] [PubMed] [PMC]
20. Powers WJ, Rabinstein AA, Ackerson T, Adeoye OM, Bambakidis NC, Becker K, et al. 2018 guidelines for the early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a guideline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2018;49:e46-e110.
[PubMed]
21. Boulanger JM, Lindsay MP, Gubitz G, Smith EE, Stotts G, Foley N, et al. Canadian stroke best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acute stroke management: pre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and acute inpatient stroke care, 6th edition, update 2018. Int J Stroke 2018;13:949-984.
[Article] [PubMed]
22. Stroke Foundation. Australian clinical guidelines for stroke management; Chapter 8.2 neurointervention. [online] 2018 Dec 12 [cited 2019 Mar 15]. Available from: URL:https://app.Magicapp.Org/app#/guideline/2638/section/32356.

23.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cute pain management: operative or medical procedures and trauma. Rockville(MD): AHCPR, 1993;107.

24. Kudo K, Christensen S, Sasaki M, Ostergaard L, Shirato H, Ogasawara K, et al. Accuracy and reliability assessment of ct and mr perfusion analysis software using a digital phantom. Radiology 2013;267:201-211.
[Article] [PubMed] [PMC]
25. Austein F, Riedel C, Kerby T, Meyne J, Binder A, Lindner T, et al. Comparison of perfusion ct software to predict the final infarct volume after thrombectomy. Stroke 2016;47:2311-2317.
[Article] [PubMed]
26. Kudo K, Sasaki M, Yamada K, Momoshima S, Utsunomiya H, Shirato H, et al. Differences in ct perfusion maps generated by different commercial software: quantitative analysis by using identical source data of acute stroke patients. Radiology 2010;254:200-209.
[Article] [PubMed]
27. Warach SJ, Luby M, Albers GW, Bammer R, Bivard A, Campbell BC, et al. Acute stroke imaging research roadmap iii imaging selection and outcomes in acute stroke reperfusion clinical trials: consensus recommendations and further research priorities. Stroke 2016;47:1389-1398.
[Article] [PubMed] [PMC]
28. Brook RH, Chassin MR, Fink A, Solomon DH, Kosecoff J, Park RE. A method for the detailed assessment of the appropriateness of medical technologies. Int J Technol Assess Health Care 1986;2:53-63.
[Article] [PubMed]
29. Wardlaw JM, Seymour J, Cairns J, Keir S, Lewis S, Sandercock P. Immediate computed tomography scanning of acute stroke is cost-effective and improves quality of life. Stroke 2004;35:2477-2483.
[Article] [PubMed]
30. Kidwell CS, Chalela JA, Saver JL, Starkman S, Hill MD, Demchuk AM, et al. Comparison of mri and ct for detection of acute intracerebral hemorrhage. JAMA 2004;292:1823-1830.
[Article] [PubMed]
31. Brazzelli M, Sandercock PA, Chappell FM, Celani MG, Righetti E, Arestis N, et 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versus computed tomography for detection of acute vascular lesions in patients presenting with stroke symptom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9;(4):CD007424.
[Article]
32. Jadhav AP, Desai SM, Kenmuir CL, Rocha M, Starr MT, Molyneaux BJ, et al. Eligibility for endovascular trial enrollment in the 6- to 24-hour time window: analysis of a single comprehensive stroke center. Stroke 2018;49:1015-1017.
[Article] [PubMed]
33. Hong KS, Bang OY, Kang DW, Yu KH, Bae HJ, Lee JS, et al. Stroke statistics in korea: part i.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a report from the korean stroke society and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J Stroke 2013;15:2-20.
[Article] [PubMed] [PMC]
34. Lee KJ, Kim BJ, Kim DE, Ryu WS, Han MK, Kim JT, et al. Nationwide estimation of eligibility for endovascular thrombectomy based on the dawn trial. J Stroke 2018;20:277-279.
[Article] [PubMed] [PMC]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