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Search

Close

비가역적인 경과를 보인 메트로니다졸에 의한 뇌병증

Metronidazole Induced Encephalopathy with Irreversible Course

SangHak Yi, MDa,b, HyunYoung Park, MDa,b

비가역적인 경과를 보인 메트로니다졸에 의한 뇌병증

이상학a,b, 박현영a,b
Received October 25, 2017;       Revised January 31, 2018;       Accepted January 31, 2018;
73세 여자가 20일 전에 발생한 구음장애와 어지러움으로 내원하였다. 간경변에 의한 복막염으로 메트로니다졸(1.5 g/day)을 45일간 복용하였다. 시행한 확산강조영상(diffusion-weighted imaing)과 액체감쇠역전회복영상(fluid 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imaging)에서 소뇌의 치상핵 부위와 뇌량 부위, 수도관 주위에 고신호강도가 보여 메트로니다졸에 의한 뇌병증으로 진단하고(Fig. A), 약물을 중단하였다. 이후 증상은 점점 악화되어 의식저하 및 호흡억제가 발생하였고, 3주 후 재촬영한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백질 부위 전체적으로 고신호강도가 증가되었다(Fig. B). 환자는 진단 2개월 후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다.
메트로니다졸에 의한 뇌병증은 대부분 가역적으로 약물 중단 후 임상증상과 영상소견이 호전되지만, 드물게 비가역적인 경과를 보인다[1,2]. 이러한 비가역적인 경과를 보인 경우 메트로니다졸 약물 용량과 간기능부전 등의 기저질환과 관련이 있어 병력청취에 주의가 필요하다[2].

Figure.
Diffusion-weighted and fluid 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images showed high signal intensity in the dentate nucleus of the cerebellum, splenium of corpus callosum, periaqueductal area demonstrating like a ‘headphone’ at diagnosis (A). Progressive hyperintense lesion in cerebral white matter was noticeable 3 weeks later (B).
jkna-36-2-136f1.tif
REFERENCES
REFERENCES

1. Kim DS, Jung JW, Kim JY, Kim JH, Kim EG, Kim SE. Reversible MRI finding in metronidazole-induced cerebellar dysfunction. J Korean Neurol Assoc 1999;17:904-907.

2. Onuma Y, Oki M, Komatsu M, Ishitani S, Kijima K, Fukuda R, et al. Irreversible metronidazole encephalopathy in an elderly woman with primary biliary cholangitis. J Gen Fam Med 2017;18:436-438.
[Article] [PubMed] [PMC]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