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Search

Close

경동맥 스텐트 내부에서 보인 움직이는 혈전

Mobile Thrombus within Carotid Artery Stent

Hyun Goo Kang, MD, In Sung Choo, MD, Bum Joon Kim, MDa, Jin Sung Cheong, MDb

경동맥 스텐트 내부에서 보인 움직이는 혈전

강현구, 추인성, 김범준a, 정진성b
Received February 5, 2016;       Revised March 23, 2016;       Accepted March 23, 2016;
고혈압과 당뇨병이 있던 73세 남자가 1년 전 좌측 중대뇌동맥영역에 급성 뇌경색과(Fig. A) 좌측 경동맥 근위부에 협착(52.5%)과 경계가 불규칙한 혈전으로(Fig. B) 경동맥스텐트를 삽입하였다(Fig. C). 1년 후 시행한 경동맥초음파에서 스텐트 내부에 재협착과 유동성 혈전(mobile thrombus)이 보였고(Fig. D) 뇌혈관조영술에서는 스텐트내재협착이 있었다(Fig. E). 뇌혈관조영술에서 보이는 스텐트내재협착을 경동맥초음파로 보았을 때 혈전의 형태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스텐트 삽입 후 스텐트내재협착을 진단하기 위해 뇌혈관조영술, CT혈관조영술, 경동맥초음파를 사용한다[1]. 특히 경동맥초음파는 비침습적인 검사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반복적으로 검사를 할 수 있어[2], 스텐트 후 색전 위험이 높은 혈전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고, 치료방향 결정에도 도움이 된다.

Figure.
(A) Acute multiple scattered infarction in left middle cerebral artery territory on diffusion weighted image. (B) Left proximal carotid artery showing irregular marginal thrombosis and stenosis (52.5%) at 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 (TFCA). (C) Immediately after deployment of carotid artery stent. (D) In-stent thrombosis at follow-up carotid ultrasonography, one year after stenting (arrow) (E) In-stent restenosis at follow up TFCA, one year after stenting (arrow head).
jkna-34-3-270f1.tif
REFERENCES
REFERENCES

1. Di Gioia G, Campanale CM, Mega S, Ragni L, Creta A, Di Sciascio G. Percutaneous Treatment of Recurrent In-Stent Restenosis of Carotid Artery Stenting: A Case Report and State-of-the-Art Review. Am J Case Rep 2015;21:558-562.

2. Khurana D, Saini M, Laldinpuii J, Khandelwa Nl, Prabhakar S. Mobile plaque in the internal carotid artery: A case report and review. Ann Indian Acad Neurol 2009;12:185-187.
[Article] [PubMed] [PMC]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