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Search

Close

싀신 환자에서 동반된 뇌병변곌 ꎀ렚읎 있는 임상 읞자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Comorbid Cerebral Lesions in Syncope Patients

Ji Yeon Chung, MD, Hyun Goo Kang, MD, In Sung Choo, MD, Hoo Won Kim, MD, Jin Ho Kim, MD, Seong Hwan Ahn, MD

싀신 환자에서 동반된 뇌병변곌 ꎀ렚읎 있는 임상 읞자

정지연, 강현구, 추읞성, 김후원, 김진혞, 안성환
Received October 14, 2015;       Revised November 4, 2015;       Accepted November 4, 2015;
ABSTRACT
Background:
The prognosis of syncope is related to the severity of the underlying disease, including cerebral disease, rather than of the syncope itself.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linical factors related to the cerebral comorbidity confirmed on brain imaging of syncope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yncope and underwent brain magnetic resonance [MR] imaging between January 2011 and December 2014. An abnormal MR lesion was defined a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1) ischemic lesion, (2) major cerebral artery occlusion or stenosis over 50%, (3) cerebral aneurysm or vascular abnormalities, and (4) other traumatic or parenchymal lesion. The findings of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factors that might be related to abnormal lesions in brain MR images were investigated.
Results:
Of 347 (mean age 50.5 years, 48.1% females) patients, abnormal imaging findings were observed in 48 (13.8%). The clinical factors related to abnormal findings were age,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and coronary artery disease. Independent factors for an abnormal MR lesion were age (odds ratio 1.05, 95% confidence interval [CI] 1.03-1.08, p0.001) and hypertension (odds ratio2.73, 95% CI 1.34-5.60, p0.006). Abnormal electroencephalography findings were noted in 52 (20.3%) of 256 investigated patients. Generalized or focal slowing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elderly patients (p0.001) and in the presence of abnormal brain MR lesions (p0.013).
Conclusions:
In syncope patients with hypertension or who are elderly, a brain MR image may be helpful for detecting comorbid brain lesions.
서 론
서 론
싀신은 뇌혈류저하의 결곌로 의식소싀읎 발생하나 짧은 시간 낎에 저절로 회복되는 현상읎닀. 응꞉싀에 낎원하는 환자의 3%에 핎당하며 입원 환자의 6%륌 찚지할 정도로 임상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닀[1]. 하지만 성읞 싀신 환자의 앜 9.3-15.5%는 싀신 후 1년 읎낎에 심각한 동반질환을 겜험하며[2,3] 귞쀑 6-14%는 사망한닀[4-6]. 특히 심귌겜색읎나 갑작슀러욎 심장질환에 의한 ꞉사, 혈ꎀ박늬, 색전슝곌 뇌졞쀑, 감엌, 전핎질읎상읎나 출혈곌 같은 생명에 위협을 쀄 수 있는 질환듀곌 싀신의 재발로 읞한 왞상 및 곚절로 읞한 신첎적, 정신적 손상읎 싀신곌 ꎀ렚된 잘 알렀진 합병슝읎닀. 따띌서 싀신 자첎는 양성읎지만, 싀신 환자의 예후는 잠재적읞 동반질환의 유묎에 의핎 결정읎 된닀[7].
싀신의 원읞을 ì°Ÿêž° 위핎 시행되는 쀑추신겜계 영상검사가 싀신을 진닚하는데 직접적읞 도움읎 되는지 아닌지는 명확하지 않닀[8,9]. 싀신곌 유사하게 볎음 수 있는 질환읞 뇌전슝은 닚순히 병력 청췚만윌로는 감별하는 데 한계가 있닀. 임상적윌로 싀신 환자에서 감별진닚을 위핎 뇌파검사가 널늬 사용되고 있지만 진닚적 도움은 낮닀[10]. 따띌서 왞국의 싀신 환자 진료 지칚에 의하멎[11], 닚순 싀신 환자에서 싀신의 원읞을 알고자 뇌컎퓚터닚잵쎬영검사륌 시행하는 것은 플핎알 하며, 국소신겜학적슝상읎 있는 겜우에 제한적윌로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닀. 뇌파검사도 음시적 의식소싀로 낎원한 환자에서 뇌전슝을 의심할만한 임상소견을 볎읎지 않는닀멎 검사륌 권고하지 않는닀. 하지만 싀신의 원읞읎나 동반질환윌로 신겜학적질환의 가능성읎 있닀[12,13]. 뇌혈ꎀ질환은 싀신곌 ꎀ렚읎 있는 쀑추신겜계동반질환 쀑 하나읎며[14], 싀신은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쀄 수 있는 뇌졞쀑의 위험읞자닀[15]. 따띌서 뇌혈ꎀ질환곌 같은 쀑추신겜계동반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는 뇌영상검사가 유용할 수 있닀.
우늬 연구에서는 싀신윌로 진닚받았던 환자에서 뇌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자Ʞ공명혈ꎀ쎬영검사륌 읎용핎서 싀신 환자의 원읞읎나 예후에 영향을 쀄 수 있는 쀑추신겜계 질환듀을 알아볎고, 읎러한 동반된 쀑추신겜계질환을 밝히는 데 도움읎 될 수 있는 임상 읞자가 묎엇읎 있는지 알고자 했닀.
대상곌 방법
대상곌 방법
1. 대상
1. 대상
2011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의식소싀로 조선대학교병원에 낎원하여 싀신윌로 진닚을 받았고, 뇌MRI검사륌 시행한 환자륌 대상윌로 후향적윌로 환자의 의묎Ʞ록을 조사하였닀.
환자의 Ʞ볞 임상정볎와 낎원 당시 환자가 겜험한 싀신 전후의 임상슝상, 국소신겜학적징후, 곌거력, 입원 여부와, 뇌MRI, 뇌파검사, 심전도검사, 심장쎈음파검사, Ʞ늜겜사검사 결곌 등을 조사하였닀. 볞 연구는 조선대학교병원 Ʞꎀ생명윀늬위원회의 승읞하에 읎룚얎졌닀.
2. 방법
2. 방법
몚든 환자의 뇌MRI검사륌 두 명의 신겜곌 의사가 확읞하였고(C.J.Y와 S.H.A), 확산강조영상에서 ꞉성뇌병변의 유묎, 뇌회백질읞 플질 부위륌 칚범한 뇌병변의 유묎, 뇌간을 칚범한 뇌병변의 유묎, 뇌백질의 병변 유묎 등을 조사하였윌며, 뇌MRA에서 두개강낎 혹은 두개 왞혈ꎀ협착 혹은 폐쇄 여부 등을 조사하였닀. 영상검사에서 ꞉, 만성허혈성뇌병변을 볎읎거나, 뇌의 플질을 칚범한 뇌겜색병변, 왞상에 의한 뇌손상읎나 출혈, 뇌간을 칚범한 뇌병변읎 있는 겜우는 비정상군윌로 분류하였닀. 허혈성뇌병변은 1) 확산강조영상에서 ꞉성병변, 2) 몚든 영상에서 볎읎는 3 mm size 읎상의 공동형성병변읎멎서 불규칙한 겜계륌 볎읎는 겜우, 3) 국소병변읎 고음영 T2W신혞와 저 음영 T1W신혞가 있윌멎서, 확산강조영상에서 ꞉성 혹은 플질부 회백질에 병변 혹은 깊은 회백질에 병변읎 있는 겜우로 정의하였닀[16]. 뇌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에서는 50% 읎상의 협착읎나 폐쇄가 ꎀ찰되는 혈ꎀ읎 하나 읎상을 볎읎멎 비정상군윌로 분류하였윌며[17], 여러 부위에서 혈ꎀ의 협착읎나 폐쇄가 있었던 겜우는 가장 심한 협착읎나 폐쇄륌 볎읎는 혈ꎀ을 읎상 혈ꎀ윌로 분류하고 비정상군윌로 분류하였닀. ê·ž 왞 뇌동맥류나 혈ꎀꞰ형 등읎 발견되었을 겜우에도 비정상군윌로 분류하였닀.
환자의 싀신 유형은 유럜심장학회의 싀신 분류와 진닚Ʞ쀀에 따띌서 임상적윌로 분류하였닀[11]. 싀신 전후의 임상슝상곌 곌거력 및 심전도검사, Ʞ늜혈압검사 등을 Ʞ볞윌로 하였윌며, 추가적읞 심장쎈음파검사, Ʞ늜겜사검사, 음반혈액검사 등의 검사륌 시행하였을 겜우, 결곌륌 반영하여 Ʞ전윌로 심장성(cardiac syncope), 반사성(reflex syncope), Ʞ늜성(orthostatic hypotension)윌로 나누었닀. 심전도검사에서 싀신의 고위험 예잡읞자로 알렀진 부정맥읞 왌방싀닀발갈래찚닚(left bundle branch block), 였륞방싀닀발갈래찚닚(right bundle branch block), ꞎ QRS, 몚비잠 1형 ë°©ì‹€ 찚닚, 분당 50회 믞만의 동서맥(sinus bradycardia), 비지속 심싀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ì¡°êž° 흥분 QRS 복합, ꞎ QT 혹은 짧은 QT 간격, T파 역전, 비정상 Q 쀑 한 가지가 있을 겜우에 심장성싀신윌로 분류하였닀. 심장쎈음파검사에서는 심귌겜색, 허혈심장병, 심귌병슝곌 같은 심귌질환, 심낭삌출액윌로 읞한 심장 압전곌 같읎 심장막에 발생한 질환 및 대동맥협착곌 같은 구조적 읎상, 폐동맥고혈압읎 발견되었을 겜우에도 심장성싀신윌로 분류하였닀. Ʞ늜 시, 배뇹 시, 욎동 후, 식후와 같은 특정 상황 및 통슝 자극곌 같은 왞부 자극읎 있을 때 발생한 겜우에는 반사성싀신윌로 분류하였닀. Ʞ늜겜사검사륌 싀시하지 않았더띌도 전형적읞 슝상곌 병력을 볎읞 겜우에도 반사성싀신윌로 분류하였닀. 앜묌읎나 자윚신겜계Ʞ능부전 및 첎액결핍 상태와 같은 읎찚적읞 원읞 등에 의한 싀신의 겜우에는 Ʞ늜성싀신윌로 분류하였닀. 싀신의 확진읎나 감별을 위핎 추가적읞 Ʞ늜겜사검사륌 시행한 겜우, 수축Ʞ 혈압읎 20 mmHg 읎상의 갑작슀러욎 혈압저하와 서맥을 볎읎며 싀신읎 유발되었을 때 반사성싀신윌로 분류하였닀. Ʞ늜성싀신은 Ʞ늜 3분 읎낎에 수축Ʞ 혈압읎 20 mmHg 읎상 감소하며 반사성빈맥읎 동반된 겜우에 분류하였닀. ê·ž 왞 환자의 의묎Ʞ록곌 임상 겜곌만윌로 분류가 얎렀욎 겜우는 믞상(unknown)윌로 분류하였닀.
환자의 뇌파검사는 뇌파 판독 전묞의(H.W.K)에 의핎 확정된 결곌륌 읎용하였닀. 뇌 전반 또는 잡두부에서 ꎀ찰되는 서파나 뇌전슝몚양파형곌 같은 비정상적읞 뇌파륌 볎읎는 겜우는 몚두 비정상 뇌파군윌로 분류하였닀.
3. 통계분석
3. 통계분석
쀑추신겜계 병변곌 ꎀ렚읎 있는 읞자륌 ì°Ÿêž° 위핎 뇌MRI에서 비정상 소견을 볎읞 환자와 정상 환자군윌로 나누얎 비교하였닀. Ʞ볞적윌로는 범죌형음 겜우 각 êµ° 간 칎읎제곱검정윌로 비교하였윌며, 빈도수가 5 믞만읞 겜우는 Fisher 정확검슝을 읎용하였닀. 연속형 자료에 대핎서는 독늜표볞 t 검정을 읎용하여 비교하였윌며, 비몚수적 자료에 대핎서는 ë§š-휘튞니검정을 하였닀. 뇌MRI에서 비정상소견곌 ꎀ렚읎 있는 독늜적읞 읞자륌 ì°Ÿêž° 위핎, 닚변량검정에서 P 값읎 0.1 읎하읞 군을 변수로 하여 로지슀틱회귀분석을 읎용핎서 독늜읞자와 교찚비륌 구하였닀. 통계 소프튞웚얎는 SPSS version 20.0 (SPSS Inc., Chicago, IL, USA)륌 읎용하였고, 몚든 분석의 통계적 유의 수쀀은 P 값은 0.05 믞만윌로 정의하였닀.
결 곌
결 곌
싀신윌로 진닚받고 뇌MRI 검사륌 한 347명의 환자륌 분석하였닀. 환자의 평균 연령은 50.5섞(±20.2)였윌며, 전첎 환자 쀑 167명(48.1%)은 여자였닀. 낎원한 환자 쀑 212명(61.1%)은 입원을 핎서 검사륌 진행하였고, 전첎 환자 쀑 184명(53.0%)은 두 번 읎상의 싀신 발작을 겜험하였닀. 뇌전슝을 시사하는 겜렚성 발작읎 의심되는 슝상은 8명(2.3 %)에서 ꎀ찰되었고, 죌로 안구나 목의 펞위 또는 팔곌 닀늬의 발작양 욎동 등읎었닀.
전첎 환자 쀑 뇌MRI나 MRA에서 비정상소견을 볎읞 겜우는 48명(13.8%)읎었닀. 임상 읞자 쀑에서, 나읎, 고혈압, 당뇚병, 심혈ꎀ 질환의 곌거력읎 뇌MRI검사에서 비정상을 볎읎는 것곌 ꎀ렚 있는 읞자듀로 나타났닀(Table 1). 귞러나, 싀신의 임상 분류와 뇌MRI에서 비정상 소견은 통계적윌로 유의하지 않았닀. 로지슀틱회귀분석을 했을 때, 나읎(odds ratio, 1.05, 95% confidence interval [CI] 1.03-1.08, P0.001)와 고혈압(odds ratio, 2.73 95% CI 1.34-5.60, P0.006)읎 뇌MRI 영상검사에서 읎상소견읎 볎음 수 있는 독늜적읞 읞자로 나타났닀.
뇌MRI 검사의 비정상소견은 29명(8.3%)에서 ꎀ찰되었닀(Table 2). ꞉성병변윌로 왞상성겜막하혈종읎 2명(6.8%)에서 ꎀ찰되었윌나 허혈성꞉성병변은 없었닀. 곌거 병변의 겜우 허혈성, 왞상성, 출혈성병변읎 17명(58.6%)에서 ꎀ찰되었닀. 뇌MRA에서는 22명(6.3%)읎 비정상소견을 볎였닀. 읎 쀑 혈ꎀ폐색은 7명(31.8%), 50% 읎상의 혈ꎀ협착은 13명(59%), 뇌동맥류는 2명(9%)에서 ꎀ찰되었닀. Ʞ저동맥협착읎나 폐색을 볎읎는 겜우는 4명읎었닀.
뇌파는 뇌MRI검사륌 한 환자 쀑 256명(73.8%)에서 검사했윌며, 읎 쀑 읎상소견은 52명(20.3%)에서 ꎀ찰되었고, 뇌전슝몚양방전은 6명(2.3%)에서 ꎀ찰되었닀. 현병력상 뇌전슝을 의심할 만한 슝상읎 목격되었던 7명 쀑, 뇌파검사에서 뇌전슝몚양방전을 볎였던 환자는 1명, 서파만 ꎀ찰된 환자는 4명, 정상뇌파륌 볎읞 환자는 2명읎었닀. 뇌파읎상소견은 여성곌 60섞 읎상의 ê³ ë ¹, 발작 의심 슝상읎 있을 시, 뇌MRI영상에서 비정상소견음 때 더 흔하게 볎였윌나, 뇌전슝몚양방전은 나읎에 따륞 찚읎는 없었닀(Table 3).
심전도검사는 전첎 347명의 환자 쀑 298명(85.9%)에서 하였고, 읎 쀑 심장성싀신곌 ꎀ렚된 읎상소견은 55명(18.5%)에서 ꎀ찰되었닀(Table 4). 가장 많은 읎상소견은 1도 방싀찚닚(29%)곌 우방싀닀발갈래찚닚(25%), 동서맥(23.6%) 순읎었닀. 심전도검사에서 싀신곌 ꎀ렚된 읎상소견의 유묎는 뇌MRI의 비정상 소견곌는 통계적윌로 ꎀ렚읎 없었닀(p0.238).
흉부겜유심장쎈음파검사는 238명(68.5%)에서 하였고, 읎 쀑 25명(10.5%)에서 싀신곌 연ꎀ된 읎상소견읎 ꎀ찰되었닀. 질환 분포는 심귌겜색곌 허혈성심질환, 심귌병슝을 포핚한 심귌질환읎 14명(56%)윌로 빈도가 가장 높았윌며, ê·ž 닀음윌로 폐고혈압읎 7명(28%)윌로 많은 소견을 볎였닀. 뇌MRI의 비정상소견은 싀신곌 ꎀ렚된 흉부겜유심장쎈음파검사 읎상소견곌는 통계적윌로 ꎀ렚읎 없었닀(p0.483).
ê³  ì°°
ê³  ì°°
볞 연구에서 싀신윌로 낎원한 환자 쀑, 나읎와 고혈압읎 싀신 환자의 동반쀑추신겜계질환을 시사하는 읞자듀임을 밝혔닀. 특히 60섞 읎상의 ê³ ë ¹ 환자군에서는 뇌혈ꎀ질환의 곌거력읎 없었음에도 추후 심각한 합병슝을 볎음 수 있는 뇌혈ꎀ읎상읎나 곌거 영역성뇌겜색, 묎슝상뇌겜색읎 흔했윌며, 또한 싀신 환자가 혈ꎀ질환의 위험읞자읞 고혈압, 당뇚병, 심혈ꎀ질환의 곌거력읎 동반된 겜우, 뇌MRI검사에서 비정상소견을 볎음 가능성읎 상대적윌로 높았닀.
싀신 환자에서 뇌CT 영상의 진닚적 유횚성을 알Ʞ 위한 연구듀에서 동반된 슝상윌로 국소신겜학적 슝상읎 있었던 겜우에 CT 영상에서 읎상소견을 볎음 수 있는 가능성읎 더 높닀고 했닀[18,19]. 볞 연구에서는 읎믞 싀신윌로 진닚을 받은 환자만을 대상윌로 했Ʞ 때묞에, 뇌졞쀑읎나 음곌성허혈발작을 의심쌀 하는 국소신겜학적 슝상읞 펞잡마비, 말얎눌감, 얌굎마비, 욎동감각읎상곌 같은 슝상읎 있었던 겜우는 없었윌며, ꞉성뇌졞쀑은 한 명도 없었닀. 싀신의 드묞 원읞윌로 알렀진 후방순환계음곌성허혈발작을 의심할 수 있는 Ʞ저동맥의 협착읎나 폐쇄는 닚지 4명(1.15%)에서만 ꎀ찰되었닀. 따띌서 싀신의 원읞을 ì°Ÿêž° 위한 목적윌로 뇌MRI검사륌 하는 것은 진닚적 가치가 낮닀는 것을 볎여죌었닀.
전첎 환자의 13.8%가 뇌MRI검사에서 비정상을 볎였닀. 죌로 CT륌 읎용한 Ʞ졎 연구듀읎 닚지 2-7%에서만 읎상을 볎읞 것곌 비교했을 때[19,20], 볎닀 많은 수에서 ꎀ찰되었닀. 읎는 CT에 비핎 MRI 영상읎 작은 병변을 찟아낎는데 좀 더 도움읎 되고, 뇌간 및 후방순환계 읎상 및 묎슝상의 곌거 병변을 쉜게 찟을 수 있었Ʞ 때묞윌로 생각된닀. 또한, MRI 병변 쀑, 43%에서 의믞 있는 MRI 혈ꎀ병변을 볎였윌며, 뇌싀질의 읎상 없읎 혈ꎀ병변만 가지고 있었던 환자도 14명읎나 되었던 점윌로 볎아, 혈ꎀ병변의 유묎까지 연구에 포핚되었Ʞ 때묞윌로 생각된닀. 혈ꎀ병변의 대부분읎 ê³ ë ¹, 고혈압, 당뇚병, 심혈ꎀ질환 등곌 맀우 밀접한 ꎀ렚읎 있윌므로 읎러한 임상 읞자듀을 싀신 환자가 가지고 있을 겜우 쀑추신겜계혈ꎀ질환 가능성도 고렀핎알 한닀고 생각된닀.
MR영상에서 볎읎는 묎슝상성허혈성뇌병변은 6.9%에서 ꎀ찰되었윌며, 전첎 MRI 병변 쀑 1/3 정도륌 찚지했닀. 읎는 집닚Ʞ반연구에서 알렀진 묎슝상성허혈병변의 유병률읞 5-62%와 비교했을 때 비슷한 정도였닀[21]. 따띌서 묎슝상성허혈성뇌병변은 싀신 환자에서 더 발견되는 특읎 소견은 아닐 수 있닀. 하지만 최귌 곌거 뇌졞쀑 겜험읎 없는 환자륌 대상윌로 시행된 전향적 연구듀에서 묎슝상성허혈성뇌병변은 병변읎 없었던 환자듀에 비핎 뇌졞쀑 발생읎 높닀고 알렀졌닀[22]. 또한 뇌겜색을 겜험한 환자에서 발견된 묎슝상 병변은 혈ꎀ질환의 위험읞자륌 볎정하더띌도 뇌겜색 재발의 독늜적읞 읞자띌고 알렀졌닀[23]. 따띌서 싀신 환자에서 읎러한 영상 소견을 볎음 겜우, 뇌졞쀑 예방에 대핎서 좀 더 적극적읞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닀고 생각된닀.
싀신 환자에서 뇌파검사는 닚순히 의식소싀만 있는 겜우 추천되지 않는닀고 알렀졌닀. 볞 연구에서도 뇌파검사륌 읎용핎 뇌전슝윌로 진닚된 겜우는 검사 환자 쀑에서 2.3%에 지나지 않았닀. 귞러나 뇌파읎상을 볎읎는 겜우는 20.3%에서 ꎀ찰되었닀. 또한, 뇌파읎상을 볎읎는 환자의 뇌영상에서도 읎상소견읎 더 발견되었닀. Ʞ볞적윌로 싀신 환자에서 발작간 뇌파는 대부분 정상읎닀[24,25]. 따띌서, 뇌파검사에서 읎상소견읎 ꎀ찰되는 겜우, 비특읎적읎Ʞ는 하지만, 뇌병슝읎나 뇌Ʞ능저하의 원읞에 대핎서 고렀할 필요가 있닀. 싀신 환자에서 발작 양상을 볎여 뇌전슝곌의 감별읎 필요할 때 시행한 뇌파에서 서파 등 읎상소견을 볎읞닀멎, 뇌영상검사륌 고렀하는 것도 좋을 것윌로 생각된닀.
의료겜제적읞 잡멎윌로 뎀을 때, 싀신 환자의 닀수가 입원하여 검사륌 진행하므로, 싀신의 진닚곌 치료에 있얎 곌도한 의료 비용의 상승을 음윌킬 수 있닀[26]. 우늬와 의료환겜읎 닀륞 왞국 연구에서도 환자듀의 25-63% 정도가 입원핎서 평가륌 하는 것윌로 알렀졌닀[27-29]. 볞 연구에서도 대상 환자의 63.1%가 입원 후 검사륌 진행하였닀. 의료비용을 낮추고자 하는 연구듀에 의하멎[30,31], 표쀀화된 싀신진료지칚읎나 싀신 왞래큎늬닉을 읎용하여 입원윚, 재원Ʞ간, 의료비용을 낮출 수 있닀고 볎고하였닀. 따띌서 입원읎 필요한 환자, 뇌영상검사와 뇌파검사가 필요한 환자륌 선별할 수 있는 표쀀화된 진료지칚곌 진료첎계 확늜을 위핎 추가적읞 연구듀읎 필요할 것윌로 생각된닀.
볞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읎 있닀. 첫짞로, 후향적 연구로 읎믞 싀신윌로 진닚을 받은 환자륌 대상윌로 했닀. 닀륞 신겜학적 질환에 의핎 음시적 의식소싀을 죌 슝상윌로 낎원하였던 환자듀은 읎 연구에서 제왞되었을 가능성읎 있닀. 하지만 싀신읎 있었던 환자듀에서 뇌영상의 진닚적 유횚성을 알고자 하는 연구는 아니며, 싀신읎 있었던 환자 쀑 ì–Žë–€ 임상 특징읎 있는 환자듀읎 뇌영상검사나 뇌파검사에서 싀신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쀄 수 있는 동반뇌병변을 가지고 있는가륌 알고자 하는 연구였닀. 둘짞는, 뇌MR영상에서 ꎀ찰되는 묎슝상뇌병변의 임상적읞 의의에 대핎서는 아직까지 명확하지는 않닀. 귞러나 임상적윌로 의믞 있는 정도의 묎슝상 뇌혈ꎀ의 협착읎나[32,33] 비파엎뇌동맥류[34] 등은 빈도는 낮지만 추후 심각한 혈ꎀ질환곌 ꎀ렚읎 있닀. 믞늬 알 수 있닀멎, 적극적윌로 위험읞자에 대한 조절읎 필요한 질환읎띌는 점에서 의믞가 있닀고 하겠닀. 마지막윌로, 닚음병원에서 시행한 연구읎므로 결곌륌 음반화하Ʞ에는 얎렀욎 점읎 있닀. 환자의 반 읎상읎 2번 읎상의 싀신을 겜험했Ʞ 때묞에, 좀 더 추가적읞 검사륌 원핎서 낎원했을 수 있고, 따띌서 뇌병변읎 닀륞 연구에 비핎 더 많았을 수 있닀. 우늬나띌 싀신 환자의 진료표쀀화륌 위핎서 대규몚의 전향적 연구륌 시행하는 것도 도움읎 될 것윌로 생각한닀.
결론적윌로, 저자듀은 ê³ ë ¹ 및 고혈압을 동반한 싀신 환자에서 뇌MR영상검사륌 시행할 겜우 의믞 있는 동반 쀑추신겜 읎상소견을 발견할 수 있닀는 점을 밝혔닀. 싀신 환자에서 뇌파검사륌 했을 때 읎상소견읎 볎읞닀멎, 뇌영상검사륌 추가로 시행하는 것도 싀신 환자에서 동반하는 뇌의 읎상소견을 발견하는 데 도움읎 될 수 있을 것윌로 생각한닀.

Table 1.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RI abnormality
MRI abnormal (+) (N48) MRI abnormal (-) (N299) p value
Age, median (IQR) 71 (59-75) 51 (29-65) 0.001
Age ≥ 60 35 (72.9) 103 (34.4) 0.001
Female 22 (45.8) 158 (52.8) 0.455
Admission 29 (60.4) 190 (63.5) 0.798
Hypertension 27 (56.3) 58 (19.4) 0.001
DM 9 (18.8) 26 (8.7) 0.040
Hyperlipidemia 4 (8.3) 13 (4.3) 0.271
Coronary artery disease 3 (6.3) 3 (1.0) 0.037
Atrial fibrillation 2 (4.2) 5 (1.7) 0.241
Syncope type
 Reflex syncope 29 (60.4) 212 (70.9) 0.195
 Orthostatic 5 (10.4) 31 (10.4) 1.000
 Cardiogenic syncope 11 (22.9) 42 (14.0) 0.171
 Unknown 2 (4.2) 9 (3.0) 0.654
Seizure-like episode 1 (2.1) 5 (1.7) 0.594
Multiple events 22 (45.8) 162 (54.2) 0.334

Data are expressed as n (%) unless otherwise indicated.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DM; diabetes mellitus.

Table 2.
The list of abnormal MR findings
Abnormal MRI N29 Diagnosis or location (N)
Acute lesion
Ischemic 0 -
Traumatic 2 SDH (2)
Old lesion
 Ischemic 17 BG (6), MCA (8), PCA (1), Pons (1), Periventricular (1)
 Traumatic 3 Subacute SDH (1), cerebromalacia (2)
 Hemorrhagic 2 BG (1), left frontal lobe (1),
Congenital anomaly 1 Schizencephaly (1)
Tumor 2 Meningioma (2)
Others 2 Meningeal enhancement (1), cortical cavernoma (1)

Abnormal MRA N22 Location (N)

Occlusion 7 ICA (2), M1 MCA(4), BA (1)
Stenosis 13 ICA (4), ACA (2), M1 MCA (3), BA (3), VA (1)
Aneurysm 2 MCA (1), VA(1)

MR; magnetic resonance,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SDH; subdural hematoma, BG; basal ganglia, MCA; middle cerebral artery, PCA; posterior cerebral artery, MRA;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ICA; internal carotid artery, BA; basilar artery, ACA; anterior cerebral artery, VA; vertebral artery.

Table 3.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lectroencephalography finding
EEG abnormal (+) (n52) EEG abnormal (-) (n204) p value
Age, median (IQR) 50 (28-62) 61 (47-71) 0.002
Age ≥ 60 30 (57.7) 63 (30.9) 0.001
Female 40 (76.9) 90 (44.1) 0.001
Admission 18 (34.6) 60 (29.4) 0.576
Hypertension 17 (32.7) 40 (19.6) 0.066
DM 8 (15.4) 20 (9.8) 0.367
Hyperlipidemia 1 (1.9) 14 (6.9) 0.318
Coronary artery disease 1 (1.9) 2 (1.0) 0.106
Atrial fibrillation 1 (1.9) 4 (2.0) 1.000
Syncope type
 Reflex syncope 31 (59.6) 148 (72.5) 0.100
 Orthostatic 5 (9.6) 23 (11.3) 0.924
 Cardiogenic syncope 9 (17.3) 29 (14.2) 0.732
 Unknown 1 (1.9) 4 (2.0) 1.000
Seizure-like episode 5 (9.6) 2 (1.0) 0.004
Multiple events 28 (53.8) 85 (41.7) 0.155
MRI abnormality 12 (23.1) 19 (9.3) 0.013

Data are expressed as n (%) unless otherwise indicated.

EEG; electroencephalography, DM; diabetes mellitus, MRI; magnetic resonance image.

Table 4.
The comparison of electroencephalography results by different age group
Age60 (N163) Age ≥ 60 (N93) p value
Abnormal EEG findings
Generalized slowing 18 (11.0) 24 (25.8) 0.004
Hemispheric slowing 0 (0) 4 (4.3) 0.017
Epileptiform discharge 4 (2.5) 2 (2.2) 1.000

EEG; electroencephalography.

REFERENCES
REFERENCES

1. Soteriades ES, Evans JC, Larson MG, Chen MH, Chen L, Benjamin EJ, et al. Incidence and prognosis of syncope. N Engl J Med 2002;347:878-885.
[Article]
2. Costantino G, Perego F, Dipaola F, Borella M, Galli A, Cantoni G, et al. Short- and long-term prognosis of syncope, risk factors, and role of hospital admission: results from the STePS (Short-Term Prognosis of Syncope) study. J Am Coll Cardiol 2008;51:276-283.
[Article] [PubMed]
3. Reed MJ, Henderson SS, Newby DE, Gray AJ. One-year prognosis after syncope and the failure of the ROSE decision instrument to predict one-year adverse events. Ann Emerg Med 2011;58:250-256.
[Article] [PubMed]
4. Quinn J, McDermott D, Kramer N, Yeh C, Kohn MA, Stiell I, et al. Death after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syncope: how common and can it be predicted? Ann Emerg Med 2008;51:585-590.
[Article] [PubMed]
5. Colivicchi F, Ammirati F, Melina D, Guido V, Imperoli G, Santini M. Development and prospective validation of a risk stratification system for patients with syncop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OESIL risk score. Eur Heart J 2003;24:811-819.
[Article] [PubMed]
6. Kapoor WN, Karpf M, Wieand S, Peterson JR, Levey GS. A prospective evaluation and follow-up of patients with syncope. N Engl J Med 1983;309:197-204.
[Article]
7. Kapoor WN, Hanusa BH. Is syncope a risk factor for poor outcomes? Comparison of patients with and without syncope. Am J Med 1996;100:646-655.
[Article] [PubMed]
8. Giglio P, Bednarczyk EM, Weiss K, Bakshi R. Syncope and head CT scan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merg Radiol 2005;12:44-46.
[Article] [PubMed]
9. Mitsunaga MM, Yoon HC. Journal Club: Head CT scan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for syncope and dizziness. Am J Roentgenol 2015;204:24-28.
[Article]
10. Dantas FG, Cavalcanti AP, Rodrigues Maciel BD, Ribeiro CD, Napy Charara GC, Lopes JM, et al. The role of EEG in patients with syncope. J Clin Neurophysiol 2012;29:55-57.
[Article] [PubMed]
11. Moya A, Sutton R, Ammirati F, Blanc JJ, Brignole M, Dahm JB,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yncope (version 2009). Eur Heart J 2009;30:2631-2671.
[PubMed] [PMC]
12. Davidson E, Rotenbeg Z, Fuchs J, Weinberger I, Agmon J. Transient ischemic attack-related syncope. Clin Cardiol 1991;14:141-144.
[Article] [PubMed]
13. Grubb BP. Neurocardiogenic syncope and related disorders of orthostatic intolerance. Circulation 2005;111:2997-3006.
[Article] [PubMed]
14. Ruwald MH, Hansen ML, Lamberts M, Hansen CM, Hojgaard MV, Kober L, et al. The relation between age, sex, comorbidity, and pharmacotherapy and the risk of syncope: a Danish nationwide study. Europace 2012;14:1506-1514.
[Article] [PubMed]
15. Ruwald MH, Hansen ML, Lamberts M, Hansen CM, Vinther M, Kober L, et al. Prognosis among healthy individuals discharged with a primary diagnosis of syncope. J Am Coll Cardiol 2013;61:325-332.
[Article] [PubMed]
16. Fanning JP, Wesley AJ, Wong AA, Fraser JF. Emerging spectra of silent brain infarction. Stroke 2014;45:3461-3471.
[Article] [PubMed]
17. Stroke Outcomes and Neuroimaging of Intracranial Atherosclerosis (SONIA) Trail Investigators. Stroke outcome and neuroimaging of intracranial atherosclerosis (SONIA): design of a prospective, multicenter trial of diagnostic tests. Neuroepidemiology 2004;23:23-32.
[Article] [PubMed]
18. Hirano LA, Bogardus ST Jr, Saluja S, Leo-Summers L, Inouye SK. Clinical yield of computed tomography brain scans in older general medical patients. J Am Geriatr Soc 2006;54:587-592.
[Article] [PubMed]
19. Grossman SA, Fischer C, Bar JL, Lipsitz LA, Mottley L, Sands K, et al. The yield of head CT in syncope: a pilot study. Intern Emerg Med 2007;2:46-49.
[Article] [PubMed] [PMC]
20. Pires LA, Ganji JR, Jarandila R, Steele R. Diagnostic patterns and temporal trends in the evaluation of adult patients hospitalized with syncope. Arch Intern Med 2001;161:1889-1895.
[Article] [PubMed]
21. Fanning JP, Wong AA, Fraser JF. The epidemiology of silent brain infarction: a systematic review of population-based cohorts. BMC Med 2014;12:119.
[Article] [PubMed] [PMC]
22. Windham BG, Deere B, Griswold ME, Wang W, Bezerra DC, Shibata D, et al. Small Brain Lesions and Incident Stroke and Mortality: A Cohort Study. Ann Intern Med 2015;163:22-31.
[Article] [PubMed] [PMC]
23. Bernick C, Kuller L, Dulberg C, Longstreth WT Jr, Manolio T, Beauchamp N, et al. Silent MRI infarcts and the risk of future stroke: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Neurology 2001;57:1222-1229.
[Article] [PubMed]
24. Abubakr A, Wambacq I. The diagnostic value of EEGs in patients with syncope. Epilepsy Behav 2005;6:433-434.
[Article] [PubMed]
25. Dantas FG, Cavalcanti AP, Rodrigues Maciel BD, Ribeiro CD, Napy Charara GC, Lopes JM, et al. The role of EEG in patients with syncope. J Clin Neurophysiol 2012;29:55-57.
[Article] [PubMed]
26. Canzoniero JV, Afshar E, Hedian H, Koch C, Morgan DJ. Unnecessary hospitalization and related harm for patients with low-risk syncope. JAMA Intern Med 2015;175:1065-1067.
[Article] [PubMed]
27. Sun BC, Emond JA, Camargo CA Jr. Characteristics and admission patterns of patients presenting with syncope to U.S. emergency departments, 1992-2000. Acad Emerg Med 2004;11:1029-1034.
[Article] [PubMed]
28. Brignole M, Menozzi C, Bartoletti A, Giada F, Lagi A, Ungar A, et al. A new management of syncope: prospective systematic guideline-based evaluation of patients referred urgently to general hospitals. Eur Heart J 2006;27:76-82.
[Article] [PubMed]
29. Blanc JJ, L'Her C, Touiza A, Garo B, L'Her E, Mansourati J. Prospective evaluation and outcome of patients admitted for syncope over a 1 year period. Eur Heart J 2002;23:815-820.
[Article] [PubMed]
30. Brignole M, Ungar A, Bartoletti A, Ponassi I, Lagi A, Mussi C, et al. Standardized-care pathway vs. usual management of syncope patients presenting as emergencies at general hospitals. Europace 2006;8:644-650.
[Article] [PubMed]
31. Baugh CW, Liang LJ, Probst MA, Sun BC. National cost savings from observation unit management of syncope. Acad Emerg Med 2015;22:934-941.
[Article] [PubMed]
32. Arenillas JF. Intracranial atherosclerosis: current concepts. Stroke 2011;42(1 Suppl):S20-S23.
[Article]
33. Spence JD. Asymptomatic carotid stenosis. Circulation 2013;127:739-742.
[Article] [PubMed]
34. Thompson BG, Brown RD Jr, Amin-Hanjani S, Broderick JP, Cockroft KM, Connolly ES Jr, et 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s: A Guideline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2015;46:2368-2400.
[Article] [PubMed]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