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Search

Close

허혈뇌졞쀑 환자의 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에 ꎀ한 곌학적 진술

Scientific Statement for Screening of Coronary Artery Disease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Dongbeom Song, MDa, Young Dae Kim, MDa, Keun-Sik Hong, MDb, Byung-Woo Yoon, MDc, Byung-Chul Lee, MDd, Joung-Ho Rha, MDe, Sun-Uck Kwon, MDf, Hee-Joon Bae, MDc, Kyung-Ho Yu, MDd, Jong-Moo Park, MDg, Kwang-Yeol Park, MDh, Sang-Bae Ko, MDc, Chang Wan Oh, MDi, Jeong Eun Kim, MDi, Ji Hoe Heo, MDa

허혈뇌졞쀑 환자의 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에 ꎀ한 곌학적 진술

송동범a, 김영대a, 홍귌식b, 윀병우c, 읎병철d, 나정혞e, 권순억f, 배희쀀c, 유겜혞d, 박종묎g, 박ꎑ엎h, 고상배c, 였찜완i, 김정은i, 허지회a
Received January 7, 2015;       Revised March 17, 2015;       Accepted March 17, 2015;
ABSTRACT
Ischemic stroke and myocardial infarction share common risk factors and pathophysiologic mechanisms. Unrecognized coronary artery disease typically occurs in 20-30% of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and its presence helps to predict the outcome. Coronary artery disease is also an important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Therefore, applying a screening test for asymptomatic coronary artery disease may be considered in ischemic stroke patients who have a high cardiovascular risk profile.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CT) angiography,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or stress echocardiography can be used as a screening test. Coronary CT angiography is recommended in the absence of allergy to contrast media and renal insufficiency.
서 론
서 론
허혈뇌졞쀑 환자의 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에 ꎀ한 곌학적 진술의 필요성
허혈뇌졞쀑 환자의 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에 ꎀ한 곌학적 진술의 필요성
허혈뇌졞쀑(뇌겜색)곌 ꎀ상동맥질환은 동맥겜화슝읎띌는 공통된 병태생늬륌 가지고 있윌며, 읎에 따띌 대닀수의 위험읞자듀을 공유하고 있닀[1]. 따띌서 뇌겜색 환자는 흉통곌 같은 ꎀ상동맥질환의 슝상읎 없더띌도 ꎀ상동맥낎에 협착병변(묎슝상ꎀ상동맥질환)읎 졎재하는 빈도가 높닀[2-9]. 한펾, ꎀ상동맥질환은 읎전에 슝상읎 없더띌도 한 번의 슝상 발현윌로 사망에 읎륌 수 있는 쀑대한 질병읎며, 싀제 뇌겜색 환자의 죌요 사망원읞 쀑 하나가 ꎀ상동맥질환을 비롯한 심장질환윌로 읞한 사망읎닀[2,3]. 따띌서 뇌겜색 환자에서 비록 슝상읎 없더띌도 ꎀ상동맥질환의 선별검사륌 시행하고 ê·ž 결곌에 따띌 적절한 치료륌 추가하여 ꎀ상동맥질환의 슝상 발현을 막는 것읎 환자의 예후륌 개선시킀는데 도움읎 될 가능성읎 있닀. 볞 종섀은 읎러한 배겜 하에 현재까지 발표된 뇌겜색 환자의 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 필요성곌 ꎀ렚된 국낎 및 국왞 임상진료지칚곌 죌요 연구 결곌듀을 정늬하여 상Ʞ 죌제에 대한 곌학적 진술을 하고자 한닀.
볞 론
볞 론
1. 허혈뇌졞쀑 환자의 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에 ꎀ한 임상진료지칚
1. 허혈뇌졞쀑 환자의 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에 ꎀ한 임상진료지칚
현재까지 허혈뇌졞쀑 환자의 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에 ꎀ한 국낎 혹은 국왞 임상진료지칚은 없닀. ꎀ렚 죌제에 대한 곌학적 진술도 믞국심장학회/믞국뇌졞쀑학회에서 2003년에 발행한 곌학적 진술읎 유음하닀. 읎 곌학적 진술에서는 뇌겜색의 원읞윌로 겜동맥 혹은 닀륞 대혈ꎀ의 유의믞한 동맥겜화성협착읎 의심되거나, 프띌밍햄위험점수(Framingham Risk Score, FRS) [10,11]로 계산한 10년 심혈ꎀ사고발생 위험도가 20% 읎상읞 고위험군 뇌겜색 환자 대상윌로 ꎀ상동맥질환에 대한 선별검사륌 고렀할 것을 추천하였닀[1].
2. 2003년 믞국심장학회/뇌졞쀑학회 곌학적 진술의 귌거요앜
2. 2003년 믞국심장학회/뇌졞쀑학회 곌학적 진술의 귌거요앜
2003년 믞국심장학회/뇌졞쀑학회 곌학적 진술의 권고에 대한 귌거듀을 요앜하멎 닀음곌 같닀.

1) 뇌겜색 환자의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유병률

1) 뇌겜색 환자의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유병률

2003년까지 발표된 뇌겜색 환자의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유병률에 대한 연구듀은 욎동부하심전도나 심귌ꎀ류영상을 읎용한 것읎었고 대상 환자수도 적었닀. 하지만, 읎러한 소규몚 연구[12-14]듀을 종합핎 2003년 곌학적 진술의 저자듀은 뇌겜색 환자의 20-40%에서 묎슝상ꎀ상동맥질환읎 졎재할 것윌로 추정하였닀[1].

2) 뇌겜색 환자의 심장질환 사망률

2) 뇌겜색 환자의 심장질환 사망률

2003년 곌학적 진술의 저자듀은, 당시까지 발표된 임상시험듀곌 윔혞튞연구 자료듀을 읎용하여 뇌겜색 발생 읎후 90음까지, 90음에서 2년까지, 귞늬고 2년 읎후의 심장질환 사망률을 정늬하였닀. 당시까지의 임상시험듀 쀑 뇌혈ꎀ질환윌로 읞한 사망곌 분류핎서 심장질환윌로 읞한 사망을 집계한 연구 결곌듀을 정늬핎 뎀을 때, 90음 읎낎에 심장질환윌로 읞한 사망률은 2-5%였닀. 하지만, 곌학적 진술의 저자듀은 읎듀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대부분의 90음 읎낎 심장질환윌로 읞한 사망은 읎전에 심장병력을 가지고 있던 환자에서 음얎났을 가능성읎 높닀고 얞꞉하였닀. 뇌겜색읎 찚예방 임상시험듀의 결곌듀곌, 읎 연구듀에 찞여한 환자듀의 Ʞ쎈정볎륌 바탕윌로 심장병력읎 없던 항혈전제륌 복용하는 뇌겜색 환자의 90음에서 2년까지 심장질환의 발생률은 1년에 2-3% 정도음 것읎띌고 추정하였닀. 5년 읎상 추적한 읞구Ʞ반 윔혞튞연구듀의 결곌륌 바탕윌로는 장Ʞ간 추적시 뇌겜색 환자 사망의 24-45%가 뇌겜색 읎왞의 닀륞 혈ꎀ질환윌로 읞한 사망음 것읎띌고 추정하였닀. 읎상의 결곌듀을 종합하여 저자듀은 뇌겜색 발생 후 수년 간은 심장질환 발생률읎 높지 않지만, 장Ʞ간 추적시에는 뇌겜색 환자의 사망의 죌요 원읞읎 심장질환윌로 읞한 사망음 것읎띌고 결론지었닀.

3) 뇌겜색 아형에 따륞 심장질환

3) 뇌겜색 아형에 따륞 심장질환

ꎀ상동맥질환은 대부분 동맥겜화슝에 의핎 발생하지만, 뇌겜색은 발생Ʞ전읎 닀양하닀. 소혈ꎀ질환, 심장성색전슝 혹은 닀륞원읞 뇌졞쀑에 비핎 대혈ꎀ동맥겜화에 의한 뇌겜색은 ꎀ상동맥질환읎 동반될 가능성읎 더 높을 것윌로 유추할 수 있닀. 읎러한 가섀을 뒷받칚하는 귌거로 닚멎조사연구에서 뇌겜색의 원읞읎 대혈ꎀ동맥겜화읞 겜우 ꎀ상동맥질환의 빈도가 높았윌며[15], 읞구Ʞ반 뇌겜색 환자의 윔혞튞연구에서 소혈ꎀ질환의 겜우 닀륞원읞뇌졞쀑에 비핎 심장질환윌로 읞한 사망률읎 낮았닀[16-19]. 읎러한 연구결곌듀을 바탕윌로, 저자듀은 대혈ꎀ동맥겜화에 의한 뇌겜색의 겜우 ꎀ상동맥질환에 대한 검사륌 고렀할 것을 추천하였닀.

4)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추가적읞 치료

4)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추가적읞 치료

묎슝상ꎀ상동맥질환읎 발견된 뇌겜색 환자에서 ꎀ상동맥에 대한 추가적 치료의 필요성에 대핎서는 대규몚 임상시험 결곌가 없얎 소규몚 임상시험 결곌 및 전묞가 귞룹의 의견에 귌거하여 제안하였닀. 베타찚닚제는 ASIST (Atenolol Silent Ischemia Trial) [20], 귞늬고 ꎀ상동맥재ꎀ류술은 ACIP (Asymptomatic Cardiac Ischemia Pilot Study [21-23] 연구결곌륌 바탕윌로 도움읎 될 가능성을 제시하였지만, 적은 환자수륌 대상윌로 한 1990년대 쎈반에 시행된 연구띌는 한계가 있닀고 얞꞉하였닀. ꎀ상동맥재ꎀ류술 쀑 수술치료읞 ꎀ상동맥우회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CABG)의 적응슝에 대핎서는 믞국심장학회의 임상진료지칚[24]을 따륎도록 권고하였닀. 뇌겜색의 졎재 유묎륌 고렀한 것은 아니지만, 믞국심장학회 진료지칚은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쀑 (1) 유의믞한 좌죌간지 협착, (2) 유의믞한 좌전하행지 귌위부와 좌회선지 귌위부의 협착 (3) 삌혈ꎀ질환의 겜우에는 CABG륌 Class I (conditions for which there is evidence and/or general agreement that a given procedure or treatment is useful and effective)윌로 추천하였닀.

5) 뇌겜색 환자의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

5) 뇌겜색 환자의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

뇌겜색 환자에서 추천할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에 대한 충분한 연구결곌가 없얎, 저자듀은 음반적읞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에 대한 임상진료지칚 권고안듀읎 뇌겜색 환자에게 적절한지 검토하였닀. 저자듀은 뇌겜색윌로 읞한 Ʞ능장애가 없는 겜우에는 욎동부하심전도륌, Ʞ능장애가 있는 겜우에는 앜묌을 읎용한 심귌ꎀ류영상읎나 부하심쎈음파륌 제안하였닀. 뇌겜색 환자에서 읎러한 선별검사듀읎 비교적 안전할 것윌로 판닚되지만 아직 안정성읎 확늜된 것은 아니띌고 얞꞉했닀.
2003년 믞국심장학회/뇌졞쀑학회의 곌학적 진술을 정늬하멎 닀음곌 같닀. (1) 뇌겜색 환자는 ꎀ상동맥질환의 슝상읎 없더띌도 묎슝상ꎀ상동맥질환의 유병윚읎 높고, 심장질환 발생곌 사망의 장Ʞ적 위험읎 높닀. (2) 묎슝상ꎀ상동맥질환읎띌도 환자에 따띌서는 베타찚닚제의 추가와 CABG와 같은 ꎀ상동맥재ꎀ류술읎 도움읎 될 수 있닀. (3) 대혈ꎀ동맥겜화에 의한 뇌겜색읎거나, FRS 20% 읎상의 고위험군 뇌겜색 환자는 ꎀ상동맥질환에 대한 선별검사륌 고렀핎알 한닀.
3. 2003년 읎후 새로욎 귌거
3. 2003년 읎후 새로욎 귌거

1) 뇌겜색 환자의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유병률

1) 뇌겜색 환자의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유병률

2003년 읎후 부검, 심장computed tomography (CT), 고식적ꎀ상동맥조영술을 읎용하여 뇌겜색 환자의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유병률을 평가한 연구듀읎 추가적윌로 볎고되었닀.
뇌졞쀑윌로 사망한 환자의 부검연구에서, ꎀ상동맥질환의 곌거력읎 없었던 188명의 뇌겜색 환자 쀑 ꎀ상동맥죜상겜화판은 131명(69.7%), ꎀ상동맥협착(≥ 50%)은 55명(29.3%), 심귌겜색의 병늬학적 슝거는 59명(31.4%)에서 ꎀ찰되었닀. ꎀ상동맥죜상겜화판, ꎀ상동맥협착(≥ 50%), 병늬학적 심귌겜색의 빈도는 뇌겜색의 아형곌는 상ꎀ읎 없었고, 30% 읎상의 뇌혈ꎀ협착읎 있을 때 유의하게 높았닀[4].
ꎀ상동맥질환의 곌거력읎 없윌며, 장애륌 낚Ʞ지 않은 비심장성 뇌겜색 환자 274명을 대상윌로 심장CT륌 시행한 결곌 ꎀ상동맥협착(≥ 50%)읎 18%에서 발견되었윌며, 삌혈ꎀ질환은 3%, 귞늬고 좌죌간지질환은 1%에서 발견되었닀. ꎀ상동맥협착(≥ 50%)의 빈도는 고전적읞 심혈ꎀ질환 위험읞자듀 및 뇌동맥협착곌 유의한 ꎀ계륌 볎였닀. 대상 환자의 40% (109/274)읞 FRS10% 환자군에서 ꎀ상동맥협착(≥ 50%)의 빈도는 7% (7/109), 대상 환자의 37% (102/274)읞 FRS 10-19% 환자군에서 ꎀ상동맥협착(≥ 50%)의 빈도는 18% (18/102), 대상 환자의 23% (63/274)읞 FRS ≥ 20% 환자군에서 ꎀ상동맥협착(≥ 50%)의 빈도는 40% (25/63)였닀[7].
뇌겜색 환자의 ꎀ상동맥질환 유병률을 조사한 The Asymptomatic Myocardial Ischemia in Stroke and Atherosclerotic Disease(AMISTAD) 연구에서, ꎀ상동맥질환의 곌거력읎 없는 뇌겜색 환자 315명을 대상윌로 고식적 ꎀ상동맥조영검사륌 시행한 결곌, ꎀ상동맥의 겜화반은 61.9%에서, ꎀ상동맥협착(≥ 50%)은 25.7%에서 ꎀ찰되었닀. 삌혈ꎀ질환은 5%에서, 좌죌간지질환는 1.9%에서 ꎀ찰되었닀. 읎 연구에서는 전신의 동맥겜화 여부륌 평가하Ʞ 위핎 쎈음파륌 읎용핎 겜동맥, 대동맥, 대퇎동맥의 겜화반 유묎륌 조사하였는데, ꎀ상동맥협착(≥ 50%)의 빈도는 겜동맥읎나 대퇎동맥에 겜화반읎 있을 때 유의하게 높았닀. ê·ž 왞에 나읎, 고혈압, 고지혈슝, 흡연력곌 같은 고전적읞 심혈ꎀ질환 위험읞자듀읎 ꎀ상동맥 협착(≥ 50%)곌 유의한 상ꎀꎀ계륌 볎였닀[8].
국낎 환자륌 대상윌로 한 연구로는 3찚의료Ʞꎀ에서 ꎀ상동맥 질환의 곌거력읎 없었던 뇌겜색 환자 71명을 대상윌로 심장CT륌 시행한 결곌가 있었닀. 읎 연구에서는 ꎀ상동맥협착(≥ 50%)읎 25.4%에서 발견되었는데, 나읎와 두 개왞겜동맥협착(≥ 50%)곌 유의한 ꎀ계륌 볎였지만, 두개낎뇌동맥협착곌는 연ꎀ읎 없었닀[5].
또 닀륞 국낎 3찚의료Ʞꎀ에서 ꎀ상동맥질환의 곌거력읎 없는 낚성45섞, 여성55섞의 뇌겜색 환자 1,304명을 대상윌로 심장 CT륌 시행한 결곌에서는 ꎀ상동맥협착(≥ 50%)은 33.1%, 심혈ꎀ질환은 5%에서 ꎀ찰되었닀. 읎 연구는 Ʞ졎의 닀륞 연구듀에 비핎 대상 환자수가 월등히 많았닀. 읎 연구에서도 ꎀ상동맥협착은 심혈ꎀ질환 위험읞자듀곌 연ꎀ읎 있었닀. 읎 연구는 뇌동맥협착을 비교적 자섞히 분류하여 Ʞ술하였는데, ꎀ상동맥협착은 겜동맥곌 척추Ʞ저동맥의 협착곌 연ꎀ읎 있었닀. 읎 연구의 대상 환자 쀑 심혈ꎀ질환 위험읞자륌 2개 읎상 가지고 있윌며 겜동맥곌 척추Ʞ저동맥 쀑 하나에 50% 읎상의 유의믞한 협착읎 있는 환자는 22.3% (235/1,056)였는데, 읎듀 쀑 ꎀ상동맥협착(≥ 50%)은 51.9% (122/235)에서 ꎀ찰되었윌며, 겜동맥곌 척추Ʞ저동맥 몚두에 50% 읎상의 유의믞한 협착읎 있는 환자듀은 6.4% (68/1,056)였윌며, 읎듀 쀑 ꎀ상동맥협착(≥ 50%)은 63.2% (43/68)에서 ꎀ찰되었닀[9].
읎상의 연구듀은 몚두 닚음Ʞꎀ 연구로 각 연구마닀 선정된 환자군의 찚읎가 있고, 또한 전첎 뇌겜색 환자륌 대표하지 못하는 제한점읎 있지만, 뇌겜색 환자에서 묎슝상ꎀ상동맥질환의 유병률읎 18-33% 정도까지 볎고되얎 2003년 믞국심장학회/뇌졞쀑학회의 곌학적 진술 결곌와 크게 닀륎지 않음을 확읞할 수 있었닀. 또한, 대닀수의 연구듀에서 고전적읞 심혈ꎀ질환 위험읞자 및 뇌혈ꎀ협착읎 ꎀ상동맥질환의 졎재와 유의한 ꎀ계가 있었닀. 최귌 발표된 뇌겜색 환자에서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예잡몚형도 고전적읞 심혈ꎀ질환 위험읞자륌 고렀한 FRS [10]와 뇌혈ꎀ의 협착 정도륌 읎용하여 만듀얎진 것읎었닀[25].

2) 뇌겜색 환자의 심혈ꎀ질환 발생률 및 사망률

2) 뇌겜색 환자의 심혈ꎀ질환 발생률 및 사망률

2003년 읎후 발표된 뇌겜색 환자의 심혈ꎀ질환 발생률 및 사망률에 ꎀ한 연구륌 정늬하멎 닀음곌 같닀.
1980년도부터 2005년 3월까지 볎고된 39개의 연구듀(65,996명)의 첎계적 고찰곌 메타분석 연구에서, 뇌겜색읎나 음곌성허혈발작 후 비뇌졞쀑혈ꎀ사망의 연간위험은 0.4-3.8%, 심귌겜색의 연간위험은 0.5-4.7%, 비치명적심귌겜색의 연간위험은 0.4-3.2%, 귞늬고 치명적심귌겜색의 연간위험은 0.2-3.7%였닀. 읎듀 연구결곌듀을 종합하여 메타회귀분석(metaregression)한 결곌, 비뇌졞쀑혈ꎀ사망의 연간위험은 2.1% (95% confidnece interval [CI], 1.9 to 2.4), 심귌겜색의 연간위험은 2.2% (95% CI, 1.7 to 2.7), 비치명적심귌겜색의 연간위험은 0.9% (95% CI, 0.7 to 1.2), 치명적심귌겜색의 연간위험은 1.1% (95% CI, 0.8 to 1.5)였닀. 읎 연구의 통계몚형에서는 뇌졞쀑 후 심귌겜색읎나 비뇌졞쀑혈ꎀ사망의 위험읎 나읎, 당뇚병, 고혈압, 심귌겜색 혹은 말쎈동맥질환 등의 잘 알렀진 심혈ꎀ질환 위험읞자와 유의한 상ꎀꎀ계륌 볎읎지 않았는데, 포핚된 연구듀읎 읎질적읎고 메타회귀분석읎 읎러한 읎질성을 분석하Ʞ에 통계적 검정력읎 부족하였Ʞ 때묞음 가능성읎 있지만, 뇌졞쀑 후 심귌겜색 발생읎나 비뇌졞쀑혈ꎀ사망읎 Ʞ졎의 심혈ꎀ질환 위험읞자만윌로는 예잡할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닀고 섀명하였닀. 읎 연구는 닀양한 치료법듀을 시험한 임상시험곌 읞구Ʞ반 및 병원Ʞ반 윔혞튞 연구듀을 합한 것읎얎서 각 연구의 환자군 성격읎나 치료가 읎질적읎띌는 점, 메타분석 자첎의 한계, 귞늬고 1980년부터의 연구듀을 몚았Ʞ 때묞에 심뇌혈ꎀ질환의 예방횚곌가 입슝된 슀타틎곌 레닌-안지였텐신시슀템 찚닚제의 사용읎 연구마닀 찚읎가 많은 점 등의 제한점읎 있얎 결곌륌 핎석하는데 죌의가 필요하닀[2].
허혈뇌졞쀑의 대표적읞 읞구Ʞ반 윔혞튞연구읞 NOMAS (Northern Manhattan Study에서 생애 첫 뇌겜색을 겪었던 40섞 읎상 환자 655명을 쀑앙값 4년의 êž°ê°„ 동안 추적ꎀ찰한 결곌, 나읎와 성별을 볎정한 5년 심귌겜색 혹은 치명적심장사걎 발생률은 8.6% (95% CI, 6.0 to 11.2%), 귞늬고 5년 치명적심장사걎 발생률은 6.4% (95% CI, 4.1 to 8.6%)였닀. 뇌겜색 환자읎었음에도 치명적심장사걎 발생률은 치명적뇌졞쀑 재발률 3.7% (95% CI, 2.1 to 5.4%)의 2ë°° 가까읎 되었닀[3]. 후속 연구에서 5년간 심귌겜색 혹은 혈ꎀ사망(뇌졞쀑, 심귌겜색, 심부전, 폐색전, 부정맥, 귞늬고 Ʞ타 혈ꎀ질환에 의한 사망)의 발생률은 17.4% (95% CI, 14.2% to 20.6%)였는데, 나읎 70섞 읎상, ꎀ상동맥질환의 곌거력, 심방섞동의 곌거력읎 심귌겜색 또는 혈ꎀ사망의 독늜적읞 위험읞자로 볎고되었닀[26].
ꎀ상동맥질환의 곌거력읎 없는 뇌졞쀑(뇌겜색 및 뇌출혈) 또는 음곌성허혈발작 환자 4,731명을 대상윌로 아토륎바슀타틎 80 mg곌 위앜을 비교한 SPARCL (Stroke Prevention by Aggressive Reduction in Cholesterol Levels 임상시험에서 쀑앙값 4.9년 ꎀ찰Ʞ간 동안 ꎀ상동맥사걎(치명적심장사걎, 비치명적심귌겜색, 심장마비로 읞한 심폐소생술, 불안정협심슝, ꎀ상동맥재ꎀ류술, 응꞉입원읎 필요한 협심슝)의 발생은 아토륎바슀타틎군에서 5.1%, 위앜군에서 8.6%였닀. 위에서 얞꞉한 Ʞ졎의 연구듀은 심장혈ꎀ질환의 곌거력읎 있는 뇌겜색 환자도 포핚하였지만, 읎 연구는 ꎀ상동맥질환의 곌거력읎 없는 뇌졞쀑읎나 음곌성허혈발작 환자만을 대상윌로 한 연구결곌읎므로 볞 곌학적 진술의 대상읎 되는 뇌졞쀑 환자군곌 비교적 음치한닀. 읎 연구에서는 Ʞ졎의 연구듀곌 닀륎게 뇌졞쀑의 아형(뇌출혈, 음곌성허헐발작, 대동맥질환, 소혈ꎀ질환)에 상ꎀ없읎 ꎀ상동맥사걎의 발생률은 유사한 것윌로 볎고하였닀. 읎 연구에서 죌목할 점은 뇌졞쀑 환자에서 시간읎 지나멎서 뇌졞쀑 재발 위험은 서서히 감소하는데 비하여, ꎀ상동맥사걎의 위험은 쎈Ʞ에는 낮닀가 점점 슝가하여 앜 4-5년읎 지나멎 뇌졞쀑 재발곌 ꎀ상동맥사걎의 위험읎 비슷핎진닀는 것읎닀[6].
최귌의 메타분석곌 윔혞튞연구에서는 뇌겜색 환자의 ꎀ상동맥질환 발생위험을 예잡할 수 있는 뚜렷한 독늜적읞 위험읞자륌 ì°Ÿêž° 힘듀었고, 읎륌 예잡할 수 있는 몚형에 대한 연구결곌는 현재까지는 졎재하지 않았지만, 뇌겜색 환자에서 장Ʞ적윌로 ꎀ상동맥질환 및 치명적심장사걎의 발생위험읎 높윌므로 읎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윌로 생각된닀.

3) 묎슝상ꎀ상동맥질환의 임상적 의믞

3) 묎슝상ꎀ상동맥질환의 임상적 의믞

뇌겜색 환자의 ꎀ상동맥질환 유병률을 고식적혈ꎀ조영술로 조사한 AMISTAD 연구대상 환자듀을 쀑앙값 36개월 동안 추적ꎀ찰한 결곌, 죌요혈ꎀ사걎(심귌겜색, 심장마비, 입원읎 필요한 불안정 협심슝 및 심부전, 죌요말쎈혈ꎀ질환)의 2년 추정발생률은 ꎀ상동맥질환읎 없었던 환자군에서 3.4%, 50% 믞만의 협착을 볎읞 ꎀ상동맥질환 환자군에서 8.0%, 50% 읎상의 협착을 볎읞 묎슝상ꎀ상동맥환자군에서 16.2%로 통계적윌로 유의한 찚읎륌 볎였닀[27]. 뇌겜색 환자에게 발견한 묎슝상ꎀ상동맥질환읎 환자의 예후륌 예잡하는데 도움읎 된닀는 것을 볎여죌는 쀑요한 연구결곌로 생각된닀.
뇌졞쀑 환자듀을 대상윌로 한 연구결곌는 아니지만, 믞국 전역의 볎훈병원에서 고식적혈ꎀ조영술을 시행한 환자듀 쀑 유슝상ꎀ상동맥사고가 없었던 37,674명의 환자 자료륌 분석한 연구에서도 ꎀ상동맥질환의 범위와 정도가 심핎질수록 1년 심귌겜색 추정발생률곌 사망률읎 슝가핚을 확읞할 수 있닀. 슝상읎 없더띌도 ꎀ상동맥재ꎀ류술을 권고하는 좌죌간지의 50% 읎상 협착 혹은 삌혈ꎀ에 몚두 70% 읎상 협착읎 졎재하는 겜우의 1년 심귌겜색 추정발생률은 2.5%, 1년 추정사망률은 4.3%였닀[28].

4) 묎슝상ꎀ상동맥질환의 치료

4) 묎슝상ꎀ상동맥질환의 치료

비록 뇌겜색 환자의 ꎀ상동맥질환 유병률곌 심혈ꎀ질환윌로 읞한 사망률읎 높닀 하더띌도, 뇌겜색 재발 방지륌 위한 생활습ꎀ개선, 심뇌혈ꎀ질환 위험읞자ꎀ늬, 귞늬고 항혈전제, 슀타틎, 레닌-안지였텐신시슀템 찚닚제륌 비롯한 항고혈압제 앜묌요법 등읎 ꎀ상동맥질환 예방을 위한 치료에도 핎당되므로, 검사륌 통핎 묎슝상 ꎀ상동맥질환을 발견하더띌도 추가적읞 치료가 더 필요한지에 대핎서는 녌란의 여지가 있닀. 2003년 믞국심장학회/뇌졞쀑학회의 곌학적 진술에서는 추가적 치료로 베타찚닚제와 ꎀ상동맥재ꎀ류술읎 도움읎 될 가능성을 얞꞉하였지만, 읎후 나옚 연구결곌듀은 읎러한 추가적 치료의 읎득을 확읞하지 못했닀[29,30].
묎슝상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최선의 앜묌치료에 추가적읞 플부겜유ꎀ상동맥쀑재술의 횚곌륌 시험한 결곌가 2007년에 발표된 후 묎슝상ꎀ상동맥질환 환자에 대한 재ꎀ류술 적응슝은 축소되었닀. COURAGE (Clinical Outcomes Utilizing Revascularization and Aggressive Drug Evaluation 임상시험은 객ꎀ적읞 심귌허혈와 ꎀ상동맥질환읎 확읞된 2,287명의 안정협심슝 환자륌 플부겜유ꎀ상동맥쀑재술군(1,149명)곌 앜묌치료군(1,138명)윌로 묎작위 배정하여 쀑앙값 4.6년 동안 추적한 결곌, 몚든 사망(death from any cause)곌 비치명적심귌겜색 발생의 합읞 음찚종결점 뿐 아니띌 죌요 결곌변수듀에서 두 êµ° 간에 찚읎가 없었닀[31]. 연구에 찞여한 환자듀 쀑 31%는 음혈ꎀ질환을, 39%는 읎혈ꎀ질환, 귞늬고 30%는 삌혈ꎀ질환을 가지고 있었고, 유의한 좌죌간지 협착 및 좌심싀부전 환자는 임상시험에서 제왞되었었닀. 읎에 따띌 2010년 유럜심장학회 임상진료지칚에서 안정협심슝 혹은 임상슝상읎 없었던 심귌허혈 환자에서 ꎀ상동맥재ꎀ류술을 권고하는 겜우는 (1) 좌죌간지 혹은 좌전하행지에 50% 읎상 협착읎 졎재하는 겜우(Class I, Level of evidence A), (2) 좌심싀부전을 동반한 읎혈ꎀ질환, 삌혈ꎀ질환의 겜우(Class I, Level of evidence B), (3) 좌심싀 영역의 10% 읎상에서 허혈읎 ꎀ찰되는 겜우(Class I, Level of evidence B), (4) 하나뿐읞 죌혈ꎀ에 50% 읎상 협착읎 졎재하는 겜우(Class I, Level of evidence C)로 한정하였닀[32]. 수정덞파읎Ʞ법을 읎용하여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 (ACCF) Appropriate Use Criteria Task Force에서 발행한 2012년 ꎀ상동맥재ꎀ류술에 ꎀ한 임상진료지칚도 비슷한 권고안을 제시하였닀[33].
하지만, ꎀ상동맥재ꎀ류술읎 필요치 않은 겜우띌도 ꎀ상동맥질환읎 발견될 겜우 환자의 위험읞자 ꎀ늬 및 앜묌치료에 대한 순응도가 올띌가고, 심혈ꎀ질환에 대한 읞식읎 높아젞 슝상 발생시 빚늬 병원에 였는 등의 Ɥ정적읞 횚곌가 있을 수 있을 것윌로 생각된닀.

5) 뇌겜색 환자의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

5) 뇌겜색 환자의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

2003년 읎후 비칚습검사로 ꎀ상동맥의 핎부학적 정볎륌 얻을 수 있는 심장CT가 볎꞉되멎서 선별검사의 종류는 볎닀 닀양핎졌닀[34,35]. 하지만, 아직도 뇌겜색 환자륌 대상윌로 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로 ì–Žë–€ 검사가 적합한지 충분한 귌거륌 제시한 연구는 없닀. 닀만, 2003년 읎후 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의 적합성에 대하여 수정덞파읎방법윌로 전묞가 합의륌 읎룚얎 작성한 임상진료지칚듀읎 발표되었닀. 뇌겜색곌 같은 심혈ꎀ계질환 발생 고위험군 환자륌 대상윌로 한 묎슝상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의 유용성에 대핮 Ʞ술하고 있는 진료지칚윌로, 믞국의 ACCF Appropriate Use Criteria Task Force에서 각종 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듀의 적응슝에 대핮 정늬하여 소개하고 있윌며[36-38], 국낎에서는 대한영상의학곌에서 대한심장학회와 핚께 작성한 심장질환에서 심장CT의 사용에 ꎀ한 권고안읎 있닀[39].
2006년에 발표된 심장CT검사에 ꎀ한 ACCF Appropriate Use Criteria Task Force 임상진료지칚에서는 묎슝상 고위험군(FRS ≥ 20%)에서 심장CT검사의 유용성은 아직 명확하지 않은 것윌로 Ʞ술하였닀[36]. 하지만, 2010년에 발표된 국낎 임상진료지칚에서는 묎슝상 고위험군의 심장CT검사륌 귌거수쀀은 낮지만(귌거수쀀, C) 적절한 것윌로(권고등꞉, A) 권고하고 있닀[39]. 읎듀 두 임상진료지칚은 뇌겜색을 겜험한 적읎 없는 음반 환자듀을 대상윌로 유용성을 판당한 것읎닀. 뇌겜색 환자에서는 심장CT검사륌 통핎 ꎀ상동맥의 협착병변 유묎뿐 아니띌 난원공개슝, 좌심방혈전곌 같은 심장색전슝의 원읞을 확읞할 수 있는 점을 고렀하멎[40,41], 뇌겜색 환자에서 심장CT검사는 유용성읎 더 높을 가능성읎 있닀. ACCF Appropriate Use Criteria Task Force에서 발행한 2008년 부하심쎈음파검사에 ꎀ한 임상진료지칚에서는 묎슝상 고위험군(FRS ≥ 20%)에서 부하심쎈음파검사의 유용성은 아직 명확하지 않은 것윌로 Ʞ술하였고[37], 2009년 심귌ꎀ류영상에 ꎀ한 임상진료지칚에서는 묎슝상 고위험군에서 심귌ꎀ류영상륌 시행하는 것은 유용하닀고 Ʞ술하고 있닀[38].
읎상의 임상진료지칚듀을 정늬핎볎멎 뇌겜색곌 같은 ꎀ상동맥질환 고위험군에서 시행할 수 있는 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로 심장 CT, 부하심쎈음파와 심귌ꎀ류영상륌 생각할 수 있닀. 귞러나 음반 고위험군에 비핎 뇌겜색 환자의 겜우, 심장CT검사는 뇌졞쀑 발생 Ʞ전에 대한 추가적읞 정볎륌 제공핎 쀄 수 있는 데 반핮, 부하심쎈음파와 심귌ꎀ류영상에서 사용하는 앜묌읎 뇌겜색, 특히 ꞉성뇌겜색 환자에서 안전성에 대핮 충분한 자료가 부족한 것을 생각핎볎멎, 뇌겜색 환자의 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로는 심장CT검사가 가장 적절한 것윌로 판닚된닀.
ê²° ë¡ 
ê²° ë¡ 
뇌겜색 환자에서 묎슝상ꎀ상동맥질환의 유병률은 20-30% 정도로 높윌며, 장Ʞ간 추적시 ꎀ상동맥사걎곌 치명적 심장사걎의 위험읎 높닀. 또한, 뇌겜색 환자에게 발견한 묎슝상ꎀ상동맥질환은 환자의 예후륌 예잡하는데 도움읎 된닀. 닀만, 묎슝상ꎀ상동맥질환읎 발견되더띌도 뇌겜색 재발 방지륌 위한 치료 읎왞에 추가적읞 베타찚닚제 치료 횚곌가 명확하지 않고, ꎀ상동맥재ꎀ류술의 적응슝도 곌거에 비핎 쀄얎듀었닀. 귞러나 여전히 음부 환자의 겜우 최선의 앜묌치료 읎왞에 추가적읞 ꎀ상동맥재ꎀ류술읎 예후 향상에 도움읎 될 가능성읎 있고, 질병에 대한 정확한 정볎륌 환자에게 제공핚윌로썚 얻게 되는 생활습ꎀ 개선 및 앜묌순응도 슝가 등의 추가적읞 읎득읎 있을 수 있윌므로, 음부 고위험군에 대핎서 선별검사륌 시행하는 것읎 적절한 것윌로 판닚된닀. 많은 연구에서 고전적읞 심혈ꎀ질환 위험읞자와 뇌혈ꎀ협착읎 ꎀ상동맥질환의 연ꎀ성을 제시하고 있얎, 고위험군의 선별에 읎륌 고렀할 수 있지만, 향후 잘 계획된 대규몚 연구륌 통핎 구첎적읞 Ʞ쀀을 제시하는 것읎 필요하닀. ꎀ상동맥에 대한 검사가 필요한 겜우 선별검사로는 ꎀ상동맥질환의 유묎뿐 아니띌 뇌겜색 발생Ʞ전에 대한 추가적읞 정볎륌 쀄 수 있는 심장CT검사가 가장 적절한 것윌로 판닚된닀.
하지만 읎상의 귌거듀읎 아직 진료지칚윌로 뇌겜색 환자에서 ꎀ상동맥질환 선별검사 시행을 권고할 수쀀은 아니띌고 판닚되얎, 볞 곌학적 진술 집필위원회는 닀음곌 같은 의견안을 제시한닀.
1. 닀음곌 같은 조걎 쀑 하나 읎상을 만족하는 뇌겜색 혹은 음곌성 허혈발작 환자에서 ꎀ상동맥질환에 대한 선별검사륌 고렀할 수 있닀.
  • 1) FRS [10,11]로 계산한 10년 심혈ꎀ사고발생 위험도가 20% 읎상읞 환자

  • 2) 낚성45섞, 여성55섞에서 고전적읞 심혈ꎀ질환 위험읞자*듀을 2개 읎상 가지고 있윌며 겜동맥곌 척추Ʞ저동맥 쀑 적얎도 하나에 50% 읎상의 유의믞한 협착읎 있는 환자

  • 3) 낚성45섞, 여성55섞에서 겜동맥곌 척추Ʞ저동맥 몚두에 50% 읎상의 유의믞한 협착읎 있는 환자

2. 뇌겜색 혹은 음곌성허혈발작 환자의 ꎀ상동맥질환에 대한 선별 검사로 심장CT, 심귌ꎀ류영상, 부하심쎈음파륌 고렀할 수 있윌며, 선별검사 쀑에서는 조영제에 대한 부작용읎나 신부전읎 없는 겜우 심장 CT가 권장된닀.

고전적읞 심혈ꎀ질환 위험읞자: 고혈압, 당뇚병, 고지혈슝, 흡연력, 복부비만

REFERENCES
REFERENCES

1. Adams RJ, Chimowitz MI, Alpert JS, Awad IA, Cerqueria MD, Fayad P, et al. Coronary risk evaluation in patients with transient ischemic attack and ischemic stroke: a scientific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Stroke Council and the Council on Clinical Cardiology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2003;34:2310-2322.
[Article] [PubMed]
2. Touze E, Varenne O, Chatellier G, Peyrard S, Rothwell PM, Mas JL.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vascular death after transient ischemic attack and ischemic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troke 2005;36:2748-2755.
[Article] [PubMed]
3. Dhamoon MS, Sciacca RR, Rundek T, Sacco RL, Elkind MS. Recurrent stroke and cardiac risks after first ischemic stroke: the Northern Manhattan Study. Neurology 2006;66:641-646.
[Article] [PubMed]
4. Gongora-Rivera F, Labreuche J, Jaramillo A, Steg PG, Hauw JJ, Amarenco P. Autopsy prevalence of coronary atherosclerosis in patients with fatal stroke. Stroke 2007;38:1203-1210.
[Article] [PubMed]
5. Seo WK, Yong HS, Koh SB, Suh SI, Kim JH, Yu SW, et al. Correlation of coronary artery atherosclerosis with atherosclerosis of the intracranial cerebral artery and the extracranial carotid artery. Eur Neurol 2008;59:292-298.
[Article] [PubMed]
6. Amarenco P, Goldstein LB, Sillesen H, Benavente O, Zweifler RM, Callahan A 3rd, et al. Coronary heart disease risk in patients with stroke or transient ischemic attack and no known coronary heart disease: findings from the Stroke Prevention by Aggressive Reduction in Cholesterol Levels (SPARCL) trial. Stroke 2010;41:426-430.
[Article] [PubMed]
7. Calvet D, Touze E, Varenne O, Sablayrolles JL, Weber S, Mas JL. Prevalence of asymptomatic coronary artery disease in ischemic stroke patients: the PRECORIS study. Circulation 2010;121:1623-1629.
[Article] [PubMed]
8. Amarenco P, Lavallee PC, Labreuche J, Ducrocq G, Juliard JM, Feldman L, et al. Prevalence of coronary atherosclerosis in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Stroke 2011;42:22-29.
[Article] [PubMed]
9. Yoo J, Yang JH, Choi BW, Kim YD, Nam HS, Choi HY, et al. The frequency and risk of preclinical coronary artery disease detected using multichannel cardiac computed tomography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Cerebrovasc Dis 2012;33:286-294.
[Article] [PubMed]
10. Wilson PW, D'Agostino RB, Levy D, Belanger AM, Silbershatz H, Kannel WB. Predic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using risk factor categories. Circulation 1998;97:1837-1847.
[Article] [PubMed]
11. Grundy SM, Pasternak R, Greenland P, Smith S Jr, Fuster V. Assessment of cardiovascular risk by use of multiple-risk-factor assessment equations: a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and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Circulation 1999;100:1481-1492.
[Article] [PubMed]
12. Di Pasquale G, Andreoli A, Pinelli G, Grazi P, Manini G, Tognetti F, et al. Cerebral ischemia and asymptomatic coronary artery disease: a prospective study of 83 patients. Stroke 1986;17:1098-1101.
[Article] [PubMed]
13. Rokey R, Rolak LA, Harati Y, Kutka N, Verani MS. Coronary artery disease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a prospective study. Ann Neurol 1984;16:50-53.
[Article] [PubMed]
14. Di Pasquale G, Pinelli G, Grazi P, Andreoli A, Corbelli C, Manini GL, et al. Incidence of silent myocardial ischaemia in patients with cerebral ischaemia. Eur Heart J 1988;9 Suppl N:104-107.
[Article] [PubMed]
15. Chimowitz MI, Poole RM, Starling MR, Schwaiger M, Gross MD. Frequency and severity of asymptomatic coronary disease in patients with different causes of stroke. Stroke 1997;28:941-945.
[Article] [PubMed]
16. Longstreth WT Jr, Bernick C, Fitzpatrick A, Cushman M, Knepper L, Lima J, et al. Frequency and predictors of stroke death in 5,888 participants in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Neurology 2001;56:368-375.
[Article] [PubMed]
17. Petty GW, Brown RD Jr, Whisnant JP, Sicks JD, O'Fallon WM, Wiebers DO. Ischemic stroke subtypes : a population-based study of functional outcome, survival, and recurrence. Stroke 2000;31:1062-1068.
[Article] [PubMed]
18. Hartmann A, Rundek T, Mast H, Paik MC, Boden-Albala B, Mohr JP, et al.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after first ischemic stroke: the Northern Manhattan Stroke Study. Neurology 2001;57:2000-2005.
[Article] [PubMed]
19. Bamford J, Sandercock P, Jones L, Warlow C. The natural history of lacunar infarction: the Oxfordshire Community Stroke Project. Stroke 1987;18:545-551.
[Article] [PubMed]
20. Pepine CJ, Cohn PF, Deedwania PC, Gibson RS, Handberg E, Hill JA, et al. Effects of treatment on outcome in mildly symptomatic patients with ischemia during daily life. The Atenolol Silent Ischemia Study (ASIST). Circulation 1994;90:762-768.
[Article] [PubMed]
21. Davies RF, Goldberg AD, Forman S, Pepine CJ, Knatterud GL, Geller N, et al. Asymptomatic Cardiac Ischemia Pilot (ACIP) study two-year follow-up: outcomes of patients randomized to initial strategies of medical therapy versus revascularization. Circulation 1997;95:2037-2043.
[Article] [PubMed]
22. Bourassa MG, Pepine CJ, Forman SA, Rogers WJ, Dyrda I, Stone PH, et al. Asymptomatic Cardiac Ischemia Pilot (ACIP) study: effects of coronary angioplasty and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on recurrent angina and ischemia. The ACIP investigators. J Am Coll Cardiol 1995;26:606-614.
[Article] [PubMed]
23. Rogers WJ, Bourassa MG, Andrews TC, Bertolet BD, Blumenthal RS, Chaitman BR, et al. Asymptomatic Cardiac Ischemia Pilot (ACIP) study: outcome at 1 year for patients with asymptomatic cardiac ischemia randomized to medical therapy or revascularization. The ACIP Investigators. J Am Coll Cardiol 1995;26:594-605.
[Article] [PubMed]
24. Eagle KA, Guyton RA, Davidoff R, Ewy GA, Fonger J, Gardner TJ, et al. ACC/AHA guidelines fo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executive summary and recommendations :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Committee to revise the 1991 guidelines fo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Circulation 1999;100:1464-1480.
[Article] [PubMed]
25. Calvet D, Song D, Yoo J, Turc G, Sablayrolles JL, Choi BW, et al. Predicting asymptomatic coronary artery disease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and transient ischemic attack: the PRECORIS score. Stroke 2014;45:82-86.
[Article] [PubMed]
26. Dhamoon MS, Tai W, Boden-Albala B, Rundek T, Paik MC, Sacco RL, et al.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or vascular death after first ischemic stroke: the Northern Manhattan Study. Stroke 2007;38:1752-1758.
[Article] [PubMed]
27. Amarenco P, Lavallee PC, Labreuche J, Ducrocq G, Juliard JM, Feldman L, et al. Coronary artery disease and risk of major vascular events after cerebral infarction. Stroke 2013;44:1505-1511.
[Article] [PubMed]
28. Maddox TM, Stanislawski MA, Grunwald GK, Bradley SM, Ho PM, Tsai TT, et al. Non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an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JAMA 2014;312:1754-1763.
[Article] [PubMed] [PMC]
29. Bangalore S, Steg G, Deedwania P, Crowley K, Eagle KA, Goto S, et al. ß-Blocker use and clinical outcomes in stable outpatients with and without coronary artery disease. JAMA 2012;308:1340-1349.
[Article] [PubMed]
30. Andersson C, Shilane D, Go AS, Chang TI, Kazi D, Solomon MD, et al. ß-blocker therapy and cardiac events among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coronary heart disease. J Am Coll Cardiol 2014;64:247-252.
[Article] [PubMed]
31. Boden WE, O'Rourke RA, Teo KK, Hartigan PM, Maron DJ, Kostuk WJ, et al. Optimal medical therapy with or without PCI for stable coronary disease. N Engl J Med 2007;356:1503-1516.
[Article] [PubMed]
32. Task Force on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and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Cardio- Thoracic Surgery (EACTS)1; European Association for Percutaneous Cardiovascular Interventions (EAPCI), Wijns W, Kolh P, Danchin N, et al. Guidelines on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Eur Heart J 2010;31:2501-2555.
[Article] [PubMed]
33. Patel MR, Dehmer GJ, Hirshfeld JW, Smith PK, Spertus JA. ACCF/SCAI/STS/AATS/AHA/ASNC/HFSA/SCCT 2012 Appropriate use criteria for coronary revascularization focused update: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 Appropriate Use Criteria Task Force, Society for Cardiovascular Angiography and Interventions, Society of Thoracic Surgeons, American Association for Thoracic Surgery, American Heart Association, American Society of Nuclear Cardiology, and the Society of Cardiovascular Computed Tomography. J Am Coll Cardiol 2012;59:857-881.
[Article] [PubMed]
34. Miller JM, Rochitte CE, Dewey M, Arbab-Zadeh A, Niinuma H, Gottlieb I, et al. Diagnostic performance of coronary angiography by 64-row CT. N Engl J Med 2008;359:2324-2336.
[Article] [PubMed]
35. Cademartiri F, Maffei E, Palumbo A, Seitun S, Martini C, Tedeschi C, et al. Coronary calcium score and computed tomography coronary angiography in high-risk asymptomatic subjects: assessment of diagnostic accuracy and prevalence of non-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Eur Radiol 2010;20:846-854.
[Article] [PubMed]
36. Hendel RC, Patel MR, Kramer CM, Poon M, Hendel RC, Carr JC, et al. ACCF/ACR/SCCT/SCMR/ASNC/NASCI/SCAI/SIR 2006 appropriateness criteria for cardiac computed tomography and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ing: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 Quality Strategic Directions Committee Appropriateness Criteria Working Group,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Society of Cardiovascular Computed Tomography, Society for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American Society of Nuclear Cardiology, North American Society for Cardiac Imaging, Society for Cardiovascular Angiography and Interventions, and Society of Interventional Radiology. J Am Coll Cardiol 2006;48:1475-1497.
[Article] [PubMed]
37. Douglas PS, Khandheria B, Stainback RF, Weissman NJ, Peterson ED, Hendel RC, et al. ACCF/ASE/ACEP/AHA/ASNC/SCAI/SCCT/SCMR 2008 appropriateness criteria for stress echocardiography: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 Appropriateness Criteria Task Force, Americ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American Heart Association, American Society of Nuclear Cardiology, Society for Cardiovascular Angiography and Interventions, Society of Cardiovascular Computed Tomography, and Society for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endorsed by the Heart Rhythm Society and the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J Am Coll Cardiol 2008;51:1127-1147.
[Article] [PubMed]
38. Hendel RC, Berman DS, Di Carli MF, Heidenreich PA, Henkin RE, Pellikka PA, et al. ACCF/ASNC/ACR/AHA/ASE/SCCT/SCMR/SNM 2009 Appropriate Use Criteria for Cardiac Radionuclide Imaging: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 Appropriate Use Criteria Task Force, the American Society of Nuclear Cardiology, the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the Americ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 the Society of Cardiovascular Computed Tomography, the Society for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and the Society of Nuclear Medicine. J Am Coll Cardiol 2009;53:2201-2229.
[Article] [PubMed]
39. Kim YJ, Yong HS, Kim SM, Kim JA, Yang DH, Hong YJ. Guideline for Appropriate Use of Cardiac CT in Heart Disease. J Korean Soc Radiol 2014;70:93-109.
[Article]
40. Hur J, Kim YJ, Lee HJ, Ha JW, Heo JH, Choi EY, et al. Left atrial appendage thrombi in stroke patients: detection with two-phase cardiac CT angiography versus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Radiology 2009;251:683-690.
[Article] [PubMed]
41. Kim YJ, Hur J, Shim CY, Lee HJ, Ha JW, Choe KO, et al. Patent foramen ovale: diagnosis with multidetector CT--comparison with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Radiology 2009;250:61-67.
[Article] [PubMed]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