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J Korean Neurol Assoc. 1985;3(1):49-62.
- A Clinical Study on Wernicke Disease
-
Jong Sung Kim, M.D., Jae Kyu Rho, M.D., Sang Bok Lee, M.D., Ho Jin Myung, M.D.
-
Department of Neu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베르니케뇌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김종성, 노재규, 이상복, 명호진
-
서울대학교 신경과.
- Abstract
- 저자들은 1979년 1월부터 1985년 4월까지 서울대학병원에 입원하였던 11명의 베르니케뇌증 환자들의 임상적 소견을 고찰하였다. 이들은 같은 기간동안 알코올과 관련된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 163명의 6.75%에 해당된다.
환자들은 전부 남자였으며 평균연령은 51.6세 (34세에서 75세)였다. 전례에서 오랜 기간동안
(평균 24.5년) 음주한 경력이 있으며 대부분 (91%)에서 안구운동장애가 나타나기 수 주 내지 수
개월 전에 정신증상, 보행실조 또는 말초신경염증상이 선행하였다. 안구운동장애로서 공역주시의
장애(30%), 안구진당(30%), 완전안근마비 (20%), 외전안근마비 (10%)등의 순이었으며 안검하수는
1례에서만 관찰되었고 대광반사는 전례에서 유지되었다. 대부분 (73%)에서 입원당시 혼란
(confused)상태로 있다가 지남력을 회복하면서 건망증, 작화증등의 소견을 보였다. 근전도를 시행
한 4례 모두 말초신경염의 소견을 나타내었으나 임상적으로는 나머지 례들도 전부 말초신경염의
증상이 있었으며 운동실조 (91%), 구음장애(55%), 진전(36%) 등의 신경학적 이상소견 이외에 간
기능검사이상(36%), 심전도이상(64%) 등의 내과적 문제들이 있었다.
타아민(thiamine)에 대한 효과는 안구운동장애, 운동실조에 비해 정신증상, 말초신경증상등이
늦게 회복되었으며 입원도중 이 질환으로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Keywords :
- 초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