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Search

Close

장Ʞ 의식장애

Prolonged Disorders of Consciousness

Daeyoung Kim, MD, PhD

장Ʞ 의식장애

김대영
Received October 3, 2019;       Revised November 6, 2019;       Accepted November 6, 2019;
ABSTRACT
Prolonged disorders of consciousness comprise a spectrum of impaired consciousness where arousal is preserved with impaired awareness, which last more than 4 weeks. Vegetative state is a prototype of the prolonged disorders of consciousness. A patient in the vegetative state has no signs of awareness. The minimally conscious state is characterized by inconsistent but reproducible signs of awareness and is regarded as a transitional state of recovery of consciousness. Differentiating patients in minimally conscious state from those in vegetative state is still challenging. Utilizing standardized neurobehavioral assessment tools could improve diagnostic accuracy. Recent advances in neuroimaging and electrophysiologic tools may aid the diagnosis and prognostication. Treatment for recovery of consciousness is still limited. More research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rolonged disorders of consciousness is needed not only for improved care of patients with prolonged disorders of consciousness but also a greater understanding of human consciousness.
서 론
서 론
의식은 자Ʞ 자신에 대한 귞늬고 자신곌 죌위 환겜곌의 ꎀ계에 대한 읞식의 상태로 정의된닀[1]. 의식은 각성(arousal)곌 읞식(awareness)읎띌는 두 가지 요소륌 가지고 있닀. 각성은 의식의 수쀀(level of consciousness)읎띌고도 하며, 눈을 뜚고 자극을 받아듀음 수 있는 상태륌 읎륞닀. 각성에 ꎀ여하는 죌된 신겜핎부학적 구조는 상향각성계(ascending arousal system)로, 감각 신혞가 뇌간에서부터 시상을 거쳐 대뇌플질을 활성화하는 데 쀑요한 역할을 한닀. 읞식은 의식의 낎용(content of consciousness)읎띌고도 하며, 읞지와 정서적 반응 등 대뇌플질 수쀀에서 읎룚얎지는 몚든 Ʞ능의 쎝합읎띌 할 수 있닀. 정상적읞 의식 상태륌 유지하Ʞ 위핎서는 읎듀 두 가지 요소가 몚두 정상적읎얎알 한닀. 정상읞의 의식 변화는 수멎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읎러한 정상적읞 의식 상태의 변화는 각성곌 읞식의 변화가 ꞎ밀히 연ꎀ되얎 있얎 각성읎 쀄멎 읞식도 쀄얎든닀. 귞러나 병적 상태에서는 읎러한 각성곌 읞식의 분엎읎 흔히 ꎀ찰된닀.
의식의 손상은 닀양한 병적 상태에 의하여 나타날 수 있고 의식 손상의 쀑슝도나 지속시간 또한 닀양하닀. 읎 쀑 심각한 뇌손상윌로 읞하여 혌수(coma) 상태에 빠진 환자듀은 점진적읞 의식 상태의 변화륌 거쳐 완전히 의식을 회복하Ʞ도 하지만 음부는 각성은 회복되나 읞식읎 회복되지 않은 채로 맀우 ꞎ 시간 동안, 때로는 여생 동안 심각한 의식장애 상태륌 유지한닀. 읎러한 장Ʞ 의식장애(prolonged disorders of consciousness)는 환자와 가족 등의 볎혞자 귞늬고 의료 종사자듀에게 복합적읞 얎렀움을 안ꞎ닀. 볞 종섀에서는 장Ʞ 의식장애의 정의와 진닚 및 예후, 치료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닀.
볞 론
볞 론
1. 장Ʞ 의식장애 및 연ꎀ 상태
1. 장Ʞ 의식장애 및 연ꎀ 상태
1972년 Jennett곌 Plum [2]읎 심각한 뇌손상에서 생졎한 환자듀에게서 볎읎는 독특한 의식 상태륌 지속식묌상태(persistent vegetative state)띌 소개하였닀. 읎후 뇌손상에 따륞 의식 읎상에 대한 지식의 발전곌 더불얎 최소의식상태(minimally conscious state, MCS), 최소의식상태에서 벗얎낚(emergence form the MCS)곌 같은 용얎가 소개되었닀[3]. 현재의 분류는 환자에게서 ꎀ찰되는 행동 특성곌 읎러한 특성윌로 추론한 의식수쀀을 바탕윌로 한 것윌로, 병태생늬Ʞ전에 따륞 분류가 아니띌는 닚점읎 있닀[4]. 귞러나 현재 분류에 따륞 용얎듀읎 정의가 명확하며 임상적윌로 또 사회적윌로도 널늬 통용되고 있얎 볞 고찰에서는 읎듀 용얎륌 따륞닀. 장Ʞ의식장애는 뇌손상의 발생 읎후 최소 4죌 읎상 의식장애가 있는 겜우륌 지칭한닀.

1) 혌수(coma)

1) 혌수(coma)

혌수는 각성곌 읞식읎 몚두 소싀된 상태읎닀. 볎통 심각하고 전반적읞 양반구의 손상에 의하여 나타난닀. 임상적윌로 자발적읞 각성읎나 자극에 의한 각성읎 완전히 소싀된 상태읎닀. 뇌파에서는 수멎-각성의 죌Ʞ가 볎읎지 않는닀. 혌수는 음시적읞 상태읎닀. 따띌서 혌수가 장Ʞ 의식장애로서 졎재하는 겜우는 극히 예왞적읎며, 대첎로 2죌 낎에 식묌상태 등 닀륞 상태로 읎행된닀[1].

2) 식묌상태(vegetative state)

2) 식묌상태(vegetative state)

식묌상태는 각성곌 읞식읎 분엎된 상태로, 환자는 눈을 뜚고 있거나 자극에 의하여 눈을 뜚고 뇌파에서는 수멎-각성의 죌Ʞ가 ꎀ찰되지만 자Ʞ 자신 혹은 환겜에 대한 읞식읎 없고 닀륞 사람곌의 상혞작용읎 없닀. 얞얎의 읎핎나 시각, 청각, 쎉각 자극에 대한 의식적지각(conscious perception)읎 없윌며 의믞 있는 표현읎나 자발적읞 혹은 자극에 대한 의도적읞 활동도 없닀. 닀만 하품, 씹Ʞ, ìšžêž°, 웃음, 신음 등곌 같은 형태의 정형적 욎동읎 ꎀ찰될 수 있윌나 읎러한 행동은 전후 사정읎나 죌변 상황곌 묎ꎀ하게 목적성 없읎 나타난닀. 식묌상태에서는 적절한 치료륌 받는닀멎 수년 읎상 생졎할 수 있닀. 식묌상태가 1개월 읎상 지속되는 겜우 지속식묌상태띌는 용얎가 사용되얎 왔닀. 또한, 1995년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AN)는 식묌상태가 비왞읞성 뇌손상 3개월 읎후까지 지속될 때와 왞읞성 뇌손상 1년 읎후까지 지속될 때는 영구적(permanent)읎띌 판당할 수 있닀고 권고하였닀[5]. 귞러나 상당수의 환자에서 의식의 회복읎 읎러한 특정 êž°ê°„ 읎후에도 읎룚얎지Ʞ 때묞에 Aspen Neurobehavioural Conference Workgroup은 지속식묌상태띌는 용얎륌 사용하지 말고 뇌손상의 원읞곌 손상 후 겜곌시간을 표Ʞ하도록 권고하였닀[6]. 같은 맥띜에서 AAN읎 Amerian Congress of Rehabilitation Medicine 및 National Institute on Disability, Independent Living, and Rehabilitation Research와 공동윌로 개정한 2018년 지칚에서는 영구적읎띌는 용얎 대신 만성(chronic)읎띌는 용얎륌 ê·ž 겜곌 Ʞ간곌 핚께 사용하도록 권고(권고수쀀 B)하고 있닀[7]. 식묌상태띌는 명칭곌 ꎀ렚핎서는 “식묌”읎띌는 표현읎 가지는 부정적 느낌을 배제하Ʞ 위하여 2010년 묎반응각성상태(unresponsive wakefulness syndrome)띌는 용얎가 제안되었고, 식묌상태와 동음한 의믞로 사용되고 있닀[8].

3) 최소의식상태(minimal conscious state)

3) 최소의식상태(minimal conscious state)

최소의식상태는 곌거에는 식묌상태와 구분되지 않았윌나 두 가지 상태에서 예후가 유의하게 닀륎닀는 것읎 밝혀지멎서 최소의식상태띌는 용얎가 제안되었닀[3]. 최소의식상태는 볎통 혌수 혹은 식묌상태로부터 의식읎 혞전되얎가는 곌도Ʞ적 상태읎닀. 식묌상태와는 닀륎게 읞식읎 음ꎀ성 없읎(inconsistent) 부분적윌로 볎졎되얎 자신 혹은 환겜에 대한 읞식을 시사하는 행동을 볎읎는 것읎 특징읎닀[3]. 최소의식상태륌 진닚하Ʞ 위핎서는 닀음 쀑 한 가지 읎상의 행동읎 비록 음ꎀ되지 않지만 반사적 행동곌 구분될 만큌 뚜렷한 재현성을 볎읎거나 Ꞟ게 지속되얎알 한닀: (1) 명령 추종(command following), (2) 몞짓 혹은 얞얎륌 통한 Ɥ정/부정의 표현, (3) 읎핎할 수 있는 명료한 ì–žì–Ž 구사(intelligible speech), (4) 왞부 환겜 자극에 의하여 유발되는 의도적읎거나 분별력 있고 비반사적읞(nonreflexive) 행동(예륌 듀얎, 감적정 자극에 적절한 웃음읎나 욞음 반응, 질묞에 직접적 반응윌로 나타나는 발성읎나 몞짓, 분명한 연ꎀ성을 가지고 사묌에 신첎륌 뻗치는 반응, 사묌을 ê·ž 특성에 맞게 만지거나 잡는 반응, 두드러지는 자극에 시알륌 지속적윌로 고정하거나 움직읎는 자극을 따띌볎는 안구 욎동 등).
음ꎀ성 없는 의식의 징후(inconsistent signs of consciousness)가 최소의식상태의 특징읎Ʞ 때묞에 진닚을 위핎서는 시간을 두고 여러 ì°šë¡€ 반복하여 평가하여알 한닀. 닀만 읞식을 시사하는 행동읎 읎핎할 수 있는 말곌 같은 고찚원적 반응을 볎읞닀멎 한, 두 번의 평가로도 읞식읎 볎졎되얎 있음을 알 수 있고 최소의식상태륌 진닚할 수 있닀.
최소의식상태는 ê·ž 정의상 넓은 범위의 의식 상태륌 포핚하Ʞ 때묞에 Bruno 등[9]은 행동 반응의 복잡성에 Ʞ반하여 최소의식상태-플러슀(MCS-plus)와 최소의식상태-마읎너슀(MCS-minus)띌는 하위 범죌륌 제안하였닀. 최소의식상태-플러슀는 명령 추종, 읎핎할 수 있는 말, (사고나 느낌을 전달할 수 없는)비Ʞ능적읞 의사소통 등의 높은 닚계의 행동 반응을 볎읎는 상태읎며 최소의식상태-마읎너슀는 따띌볎Ʞ(visual pursuit), 통슝에 대한 국소화, 감정 자극에 대한 적절한 웃음읎나 욞음 등 낮은 닚계의 행동 반응을 볎읎는 상태읎닀.

4) 최소의식상태로부터 벗얎낚(emergence form the MCS)

4) 최소의식상태로부터 벗얎낚(emergence form the MCS)

최소의식상태의 특징은 음ꎀ성은 없지만 재현성읎 있는 행동 반응읎닀. 최소의식상태의 환자가 읎전곌 달늬 믿을 수 있고 음ꎀ성 있는(reliable and persistent) 반응을 볎읎는 겜우 최소의식상태로부터 벗얎나는 상태띌고 볌 수 있닀. Aspen Neurobehavioural Conference Workgroup은 닀음의 행동 쀑 한 가지 읎상읎 믿을 수 있고 음ꎀ성 있게 볎읎는 겜우 최소의식상태로부터 벗얎낚을 진닚할 것을 제안하였닀[3].
Ʞ능적읞 상혞 의사소통(functional interactive communication): 연속된 두 번의 평가에서 6개의 Ʞ볞적읞 상황 지낚력 질묞에 몚두 정확한 예/아니였 대답을 한닀. 상황 지낚력 질묞의 예는 “당신은 앉아있습니까?”, “낎가 지ꞈ 천장을 가늬킀고 있습니까?” 등읎닀.
두 가지 닀륞 도구의 Ʞ능적읞 사용(functional use of two different objects): 연속된 두 번의 평가에서 최소 두 가지 읎상의 도구륌 음반적윌로 적절하게 사용한닀. 빗을 뚞늬로 가젞가거나 연필을 종읎로 가젞가는 행동을 볎음 때도 읎 Ʞ쀀을 만족할 수 있닀.

5) 감ꞈ슝후군(locked-in syndrome)

5) 감ꞈ슝후군(locked-in syndrome)

감ꞈ슝후군은 의식장애는 아니나 의상장애로 였읞될 수 있닀는 점에서 얞꞉할 필요가 있닀. 감ꞈ슝후군은 각성곌 읞식읎 정상읎나 사지마비와 조음불능(anarthria)읎 있얎 욎동 조절곌 말소늬 능력읎 손상된 상태읎닀[10]. 죌로 배쪜 닀늬뇌(pons) 병변윌로 읞하여 플질척수로(corticospinal pathway)와 플질연수로(corticobulbar pathway)가 손상되얎 나타난닀. 환자는 정상 감각 능력을 볎읎나 안구륌 움직읎는 것 왞에는 욎동반응읎 없얎 식묌상태 등의 의식장애로 였읞될 수 있얎 죌의륌 요한닀.
2. 의식장애의 진닚곌 예후
2. 의식장애의 진닚곌 예후
의식장애의 정확한 진닚은 읎후의 치료 계획 수늜곌 예후 예잡, 볎혞자 상닎곌 교육에 필수적읎닀. 귞러나 진닚의 정확도는 놀랍게도 낮닀. Andrew 등[11]의 1996년 볎고에 따륎멎, 식묌상태륌 죌소로 의뢰된 40명의 환자륌 분석한 결곌 17명에서 눈 죌시나 버튌윌로 의사소통읎 가능하여 43%에서 식묌상태로 였진되었음을 볎였는데, 였진된 환자듀은 대부분 심한 시각장애륌 가지고 있었닀. Schnakers 등[12]의 2009년 연구에서도 읎러한 상황은 크게 변하지 않아, 103명의 환자륌 전향적윌로 추적하며 JFK Coma Recovery Scale-Revised (CRS-R)륌 사용하여 평가하였을 때 임상적윌로 식묌상태가 진닚된 44명의 환자 쀑 18명(41%)읎 식묌상태가 아닌 최소의식상태로 판닚되었닀[12].
장Ʞ 의식장애는 환자의 행동 반응에 Ʞ반하여 진닚한닀. 귞러나 동반된 신겜학적 결손듀읎 정확한 진닚에 혌돈을 음윌킀는 겜우가 흔하고 반복적읞 자섞한 진찰로만 발견할 수 있는 믞섞한 의식의 징후듀을 쉜게 놓치Ʞ도 한닀. 닀양한 신겜계 혌돈 읞자듀을 폭넓게 고렀하고 첎계적윌로 평가하Ʞ 위핎서는 표쀀화신겜행동평가(standardized neurobehavioral assessment) 도구륌 사용하는 것읎 도움읎 된닀[13]. AAN의 2018년 지칚에서도 장Ʞ 의식장애 진닚의 정확도륌 높읎Ʞ 위하여 타당성곌 신뢰성 있는 표쀀화신겜행동평가륌 사용할 것을 권고하였닀(권고수쀀 B) [7]. American Congress of Rehabilitation Medicine은 표쀀화신겜행동평가 도구에 대한 첎계적 고찰을 통하여 CRS-R [14]읎 낎용의 타당성에서 가장 우수한 도구로, ê·ž 왞 Sensory Modality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Technique (SMART) [15], Sensory Stimulation Assessment Measure (SSAM) [16], Western Neuro Sensory Stimulation Protocol (WNSSP) [17], Wessex Head Injury Matrix (WHIM) [18], Disorders of Consciousness Scale [19]을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권고하였닀[20].
CRS-R은 청각, 시각, 욎동, 입욎동/ì–žì–Ž, 의사소통, 각성의 6가지 섞부 척도로 구성되얎 있고 쎝점 범위는 0점에서부터 23점까지읎며 타당화된 한국얎판을 사용할 수 있닀(Table) [14,21,22]. 읎듀 섞부척도는 의식 회복의 믞섞한 징후듀을 확읞할 수 있도록 구성되얎 있윌며, 특히 식묌상태와 최소의식상태륌 감별하는데 유용하닀[13]. 각 항목듀에 대한 구첎적읞 평가 방법읎 제공되고 있고, 특히 반응의 음ꎀ성 혹은 재현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청각 섞부 척도의 명령에 따륞 욎동(movement to command) 항목에서는 Ʞ쀀 ꎀ찰곌 4회의 시도 절찚가 구첎적윌로 제시되얎 있닀(CRS-R 도구륌 사용하Ʞ 전 시행 및 채점 지칚을 섞심히 숙지할 필요가 있닀) [23]. CRS-R을 포핚한 표쀀화신겜행동평가는 죌Ʞ적윌로 시행되얎알 하며, 시행 전 각성을 쎉진하Ʞ 위한 조치륌 췚하고, 평가 쀑에도 각성의 저하가 볎읎멎 읎러한 조치륌 반복하여 췚핎알 한닀[7,23].
뇌 자Ʞ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읎나 전산화닚잵쎬영(computed tomography, CT)곌 같은 구조영상검사는 의식장애의 평가에서 뇌손상의 종류와 위치, 범위륌 확읞하Ʞ 위하여 좋은 도구읎나 혌수나 식묌상태와 최소의식상태 혹은 감ꞈ슝후군을 감별하는 데에는 횚용성읎 맀우 제한적읎닀. 닀만 뇌손상의 범위 혹은 시간에 따륞 병변읎나 위축의 변화 추읎 등읎 예후 예잡에 대한 정볎륌 쀄 수 있닀. 한 연구에 따륎멎 왞상식묌상태 환자 80명을 대상윌로 시행한 MRI에서 뇌량(corpus callosum)읎나 등가쪜 상부 뇌간(dorsolateral upper brainstem), 대뇌부챗삎(corona radiata)에 병변읎 있을 겜우 1년 후 식묌상태로 낚을 확률읎 높았닀[24]. 구조영상 쀑 확산텐서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 DTI)은 묌분자의 확산의 비등방성을 잡정하여 백질 겜로듀의 구조적 옚전핚을 정량적윌로 삎펎볌 수 있는 Ʞ법읎닀. 정량적 백질 겜로 지표듀은 예후 예잡읎나 식묌상태로부터 최소의식상태륌 감별하는데 환자군 닚위에서는 의믞 있는 연ꎀ성을 볎였윌나[25-28], 개개 환자에게 임상적윌로 적용하Ʞ에는 아직 부족하닀.
Ʞ능영상은 뇌의 대사활성읎나 혈류 등 구조영상볎닀 좀 더 도움읎 되는 정볎륌 제공한닀. 양성자방출닚잵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연구에 따륎멎 장Ʞ 의식장애 환자에서 뚜렷한 대사저하륌 볎읎며, 특히 ì–‘ìž¡ 전두두정플질(frontoparietal cortex)에서 대사저하가 두드러지고, 읎 영역의 대사 회복읎 의식 회복곌의 연ꎀ성을 볎였닀[29-31]. 휎지Ʞ(resting-state)의 Ʞ능자Ʞ공명영상(functional MRI, fMRI) 분알에서는 Ʞ볞상태신겜망(default mode network)을 읎용한 연구가 비교적 많읎 읎룚얎졌닀. Ʞ볞상태신겜망의 활성읎 의식의 정도와 연ꎀ성을 가젞 환자군 닚위에서 식묌상태와 최소의식상태 간의 찚읎륌 볎읞닀[32-34]. fMRI는 여러 자극에 대한 반응 평가가 용읎하닀는 장점읎 있닀. 의식장애 환자에게 얎떠한 지시륌 하고, 읎륌 환자가 수행하는 상상을 핚에 따띌 특정 심상(mental imagery)곌 연ꎀ된 뇌부위에서 활성읎 슝가한닀멎 환자가 지시륌 수행하고 있음을 확읞할 수 있닀[35-40]. 읎러한 활성 팚러닀임(active paradigm) fMRI Ʞ법읎 Ʞ졎의 신겜행동평가륌 통하여 확읞되지 않던 의식적읞식(conscious awareness)의 징후륌 찟아낎는 두드러지는 성곌륌 볎읎Ʞ는 하였윌나 연구 대상자가 지시 수행 행동을 볎였윌나 fMRI에서 반응읎 나타나지 않는 등의 불완전성윌로 읞하여 현재로서는 통상적읞 검사로 사용되Ʞ 곀란하닀[41].
뇌파(electroencephalography, EEG)는 의식장애의 ꞉성Ʞ에 뇌전슝 활동(epileptic activity)을 확읞하고 예후륌 확읞하는데 도움을 죌지만 장Ʞ 의식장애에서는 비특읎적읞 전반적 서파가 죌륌 읎룚얎 통상적윌로 닚시간 Ʞ록된 뇌파의 시각적 분석은 식묌상태와 최소의식상태륌 감별하거나 예후륌 판닚하Ʞ에 비교적 유용성읎 낮닀. 귞러나 눈 감고 뜚Ʞ와 소늬 자극, ꎑ 자극 몚두에서 뇌파 반응성을 볎읎는 겜우에는 최소의식상태 진닚에 높은 특읎도와 낮은 믌감도륌 볎읎며, 섞 가지 쀑 한 가지에서만 반응성을 볎읎는 겜우는 높은 믌감도륌 볎읎지만 특읎도가 낮닀[42]. 장Ʞ 뇌파(long-term EEG)륌 읎용한 연구에 따륎멎 식묌상태에서는 수멎곌 각성의 행동 양상읎 볎읞닀 하더띌도 뇌파에서는 수멎-각성 팚턎읎 ꎀ찰되지 않는 반멎 최소의식상태 환자에서는 행동상의 수멎-각성 팚턎에 따띌 얎느 정도의 뇌파 변화가 동반되며, 특히 행동상의 수멎시에 랚(rapid eye movement, REM) 수멎곌 비랚수멎 간의 전환 죌Ʞ가 ꎀ찰된닀[43,44].
뇌파륌 활용한 닀륞 전Ʞ생늬학적 Ʞ법윌로 유발전위(evoked potential, EP)가 있닀. 유발전위는 왞읞성(exogenous)곌 낎읞성(endogenous)윌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감각읎나 욎동 자극에 대한 신겜계의 ì „êž° 반응윌로 통상 유발전위띌 부륎며, 후자는 자극 읎후나 욎동 읎전에 읎룚얎지는 읞지 곌정에 의하여 나타나는 ì „êž° 활동윌로 통상 사걎ꎀ렚전위(event-related potential, ERP)띌 한닀. 심폐소생 읎후 혌수 환자에서 정쀑신겜(median nerve)을 자극할 때 두정부에서 Ʞ록되는 전위 변화읞 첎성감각유발전위(somatosensory EP)의 소싀은 불량한 예후(사망, 장Ʞ 의식장애 혹은 지속적읞 간혞륌 요하는 심각한 장애)륌 시사하는 소견읎닀. 저산소성 식묌상태 환자 43명을 대상윌로 한 연구에 따륎멎 첎성감각유발전위의 볎졎읎 의식 회복의 유의한 예잡읞자읎닀(odd ratio [OR] 17.9, 95% confidence interval [CI] 1.4-6,511.4) [45]. 사걎ꎀ렚전위 쀑 P300은 죌로 였드볌 팚러닀임(oddball paradigm)에 의하여 유발되는데, 였드볌 팚러닀임읎란 반복되는 흔한 자극 사읎에 불규칙하게 흔치 않은 자극을 제시하는 것윌로, P300은 의사결정 곌정곌 연ꎀ된 전위띌 알렀젞 있닀. 왞상식묌상태 환자륌 대상윌로 한 연구에 따륎멎 P300의 형성은 의식 회복을 예잡한닀(OR 34.3, 95% CI 2.6-5.7) [46]. 특히 읎 연구에서의 였드볌 팚러닀임은 흔한 자극윌로 ‘삐’ 소늬륌 제시하고, 흔치 않은 자극윌로 환자의 읎늄을 부륎는 음성을 제시하였는데, 읎와 같은 자연슀럜고 친밀한 자극읎 P300 신혞륌 슝강시킀고 좀 더 높은 예잡력을 볎읞닀[47,48]. 왞상성곌 비왞상성읎 혌합된 장Ʞ 의식장애 환자듀을 대상윌로 한 연구에 따륎멎 였드볌 팚러닀임에 의하여 유발된 부정합 음성도(mismatch negativity, P300볎닀 좀 더 빠륞 자극 후 150-250 ms 사읎에 나타나는 전위)의 졎재가 의식상태의 혞전을 예잡하였닀[49].
새로욎 구조영상 Ʞ법읎나 Ʞ능영상, 전Ʞ생늬검사듀을 읎용한 최소의식상태와 식묌상태의 감별 귞늬고 장Ʞ 의식장애 환자의 예후 예잡에 대한 연구듀읎 닀양하게 읎룚얎지고 있Ʞ는 하나 읎 Ʞ법듀 대부분읎 임상 현장에서 음상적윌로 사용하Ʞ에는 아직 한계가 있닀. AAN는 2018년 지칚에서 반복적읞 신겜행동평가에도 불구하고 의식적읞식의 귌거에 대한 몚혞핚읎 지속될 겜우 Ʞ능영상읎나 전Ʞ생늬검사륌 활용한 평가륌 사용핎볌 수 있닀고 권고하고 있윌나 권고수쀀은 C로 낮닀(권고수쀀 C는 도움읎 될 수도, 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의믞한닀) [7,50]. 읎러한 환자에서 만앜 Ʞ능영상읎나 전Ʞ생늬검사가 의식적읞식의 볎졎을 시사할 겜우에는 좀 더 자죌 신겜행동평가륌 시행하여 읞식의 회복의 징후륌 찟윌멎서 재활 치료의 강도륌 낮추는 결정을 뒀로 믞룰 것을 권고하였닀(권고수쀀 C) [7].
전술한 바와 같읎 최소의식상태는 의식읎 회복되얎 가는 곌도Ʞ적 닚계읎며 식묌상태볎닀 예후가 양혞하여 좀 더 적극적읞 재활치료륌 요한닀. AAN의 2018년 첎계적 묞헌고찰에서도 읎 점읎 확읞되는데, 읎에 따륎멎 왞상성곌 혌합성 병읞의 장Ʞ 의식장애에서 식묌상태 대비 최소의식상태가 심각한 장애볎닀 나은 임상 결곌와 회복곌 연ꎀ된닀[51]. 또한 왞상성 병읞읎 비왞상성 병읞에 비하여 좋은 예후륌 볎여, 왞상식묌상태 환자에서 발병 6개월 시점에서 의식 회복의 누적 비윚은 67% (58-76%)읞 반멎 비왞상식묌상태 환자에서는 17% (5-30%)로 볎고되었닀. 예후 예잡읞자륌 고렀핚에 있얎서도 왞상성곌 비왞상성을 구분하는 것읎 바람직하닀. 왞상성 장Ʞ 의식장애에서 나은 예후와 연ꎀ되는 읞자듀 쀑 쀑등도 읎상의 신뢰도륌 볎읎는 것윌로는 fMRI에서 익숙한 목소늬가 환자의 읎늄을 부륌 때 유발되는 연합청각플질의 활성화, 사걎ꎀ렚전위에서 P300, 뇌파의 반응성읎닀. 비왞상 장Ʞ 의식장애에서는 첎성감각유발전위의 형성읎 나은 예후와 연ꎀ된 예잡읞자로서 쀑등도 읎상의 신뢰도륌 볎였닀. 왞상성곌 비왞상성 환자듀읎 혌합된 연구듀에서는 뇌파의 비선형 분석윌로 도출한 approximate entropy value가 0.8 읎상읞 겜우와 사걎ꎀ렚전위에서 부정합 음성도의 졎재가 나은 예후와 연ꎀ된 예잡읞자읎닀[51].
3. 의식장애의 치료
3. 의식장애의 치료
의식장애 환자의 치료의 죌된 목표는 의식 회복을 쎉진하는 것곌 합병슝을 예방하는 것읎닀. 의식 회복의 쎉진을 위하여 닀양한 앜묌, 신겜 조절, 재활 치료 등읎 시도되고 있윌나 아직 유용성에 대한 귌거는 불충분하닀. 앜묌 치료로는 아만타딘(amantadine), 람로몚크늜틎(bromocriptine), 레볎도파(levodopa), 메틞페니데읎튞(methylphenidate), 몚닀플닐(modafinil), 졞플뎀(zolpidem) 등읎 시도되고 있는데 읎 쀑 비교적 충분한 환자듀을 대상윌로 한 전향적 임상시험읎 읎룚얎진 앜묌은 아만타딘곌 졞플뎀 두 가지읎닀.
아만타딘은 도파믌 횚현제읎자 N-메틞-D-아슀파륎테읎튞(Nmethyl-D-aspartate, NMDA) Ꞟ항제읎닀. Giacino 등[52]은 184명의 왞상식묌상태와 왞상최소의식상태 환자듀을 대상윌로 시행한 위앜 대조군 연구에서 왞상 후 4-16죌의 환자에게 하룚 200-400 mg의 아만타딘 혹은 위앜을 4죌간 투여하였는데, 아만타딘을 투여받은 군에서 유의하게 빠륞 회복을 볎였고, 4죌 간의 연구앜 투여 읎후 2죌간 앜횚 섞척 êž°ê°„ 동안 아만타딘 투여군에서 뚜렷한 회복 속도의 감소륌 볎였닀. 읎러한 결곌륌 바탕윌로 AAN의 2018년 지칚에서는 왞상 후 4-16죌 사읎의 왞상식묌상태나 최소의식상태 환자에게 의학적 ꞈꞰ나 위험성읎 없닀멎 아만타딘 100-200 mg을 하룚 2회 투여할 것을 권고하고 있닀(권고수쀀 B) [7].
졞플뎀은 GABAA 수용첎와의 복합적 상혞작용을 통하여 진정 수멎 작용을 하는 쀑추신겜계 억제제읎닀. 귞러나 졞플뎀읎 역섀적윌로 장Ʞ 의식장애 환자에게 음시적읞 각성을 유발한 슝례듀읎 볎고되얎 화제가 되었닀[53]. 귞러나 비교적 큰 규몚의 읎쀑맹검 위앜 대조 연구에 따륎멎 84명의 대상자 쀑 였직 4명(4.8%)만읎 치료에 분명한 반응을 볎였닀[54]. 여Ʞ서 분명한 반응읎란 전형적윌로 1-2시간 동안 움직임읎나 사회적 상혞작용, 지시 수행, 의사소통의 시도, Ʞ능적 사묌 사용읎 슝가하는 것읎었닀. 현재까지의 연구듀에 따륎멎 졞플뎀에 의한 의식 회복은 수시간 읎낎로 음시적읎고 죌로 손상 수개월읎 지난 만성Ʞ에서 횚곌가 ꎀ찰되며, 읎러한 횚곌가 나타나는 환자는 소수읎며 읎륌 예잡할 만한 읞자는 불분명하닀[53].
장Ʞ 의식장애 환자의 의식 회복을 위한 신겜조절요법윌로는 뇌심부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 DBS), 척수자극술(spinal cord stimulation)곌 같은 칚습적 방법곌 반복겜두개자Ʞ자극(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겜두개직류자극술(transcranial direct-current stimulation)곌 같은 비칚습적 방법듀읎 시도되고 있닀. 귞러나 신겜조절요법의 횚곌는 아직 불충분하고 뚜렷한 행동적 혞전은 드묌며, 대부분의 연구듀읎 적은 대상자 수나 연구 섀계상의 묞제륌 안고 있얎 현재로서는 좀 더 닀양한 시도와 충분한 검슝읎 필요하닀[55].
ê²° ë¡ 
ê²° ë¡ 
영구적식묌상태띌는 용얎륌 배척하는 2018년 AAN의 지칚읎 시사하듯 곌거 생각하였던 것볎닀 더 많은 환자듀읎 장Ʞ 의식장애에서의 회복을 볎읎고 있닀. 귞러나 아직 의식의 회복을 쎉진할 수 있는 치료법은 제한적읎며, 특히 비왞상 장Ʞ 의식장애에서는 더욱 귞러하닀. 더불얎 잘못된 장Ʞ 의식장애의 진닚윌로 읞하여 적절한 치료의 Ʞ회륌 잃을 위험도 졎재한닀. 따띌서 뇌손상을 닀룚는 임상의듀은 장Ʞ 의식장애의 첎계적 진닚법에 익숙하여알 하며, 장Ʞ 의식장애 환자에게 시도핎볌 수 있는 검사나 치료 Ʞ법의 횚용성곌 한계륌 읎핎하여알 한닀. 장Ʞ 의식장애의 진닚곌 예후 예잡 및 치료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륌 통하여 장Ʞ 의식장애 환자의 진료뿐 아니띌 읞간의 의식에 대한 읎핎륌 높음 수 있을 것읎닀.

Table 1.
Korean version of JFK Coma Recovery Scale-Revised (CRS-R)
청각Ʞ능척도
 4 — 명령에 대한 음ꎀ된 욎동반응a
 3 — 명령에 대한 재현성 있는 욎동반응a
 2 — 소늬의 위치 추적
 1 — 청각적 놀람 반응
 0 — 반응 없음
시각Ʞ능척도
 5 — 묌첎 읞지a
 4 — 묌첎 위치 파악-묌첎 방향윌로 손을 ë»—êž°a
 3 — 시선 추적a
 2 — 시선 고정a
 1 — 시각적 놀람 반응
 0 — 반응 없음
욎동Ʞ능척도
 6 — 묌첎륌 Ʞ능적윌로 사용핚b
 5 — 자동적 욎동반응a
 4 — 손윌로 묌첎 닀룚Ʞa
 3 — 통슝 자극의 위치 추적a
 2 — 굎곡 회플 반응
 1 — 비정상 자섞 췚하Ʞ
 0 — 반응 없음/읎완 상태
구강욎동/얞얎Ʞ능척도
 3 — 명료한 얞얎구사a
 2 — 발성/구강 욎동
 1 — 구강의 반사적 욎동
 0 — 반응 없음
의사소통척도
 2 — Ʞ능적(정확핚)b
 1 — 비Ʞ능적(의도적임)a
 0 — 반응 없음
각성척도
 3 — 집쀑핚
 2 — 자극 없읎 눈 뜚Ʞ
 1 — 자극 시 눈 뜚Ʞ
 0 — 각성시킬 수 없음

Adapted from reference [22].

a 최소의식상태에 핎당핚;

b 최소의식상태에서 벗얎낚을 의믞핚.

REFERENCES
REFERENCES

1. Posner JB, Plum F. Plum and Posner's diagnosis of stupor and coma. 4th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5-6.

2. Jennett B, Plum F. Persistent vegetative state after brain damage. A syndrome in search of a name. Lancet 1972;299:734-737.
[Article]
3. Giacino JT, Ashwal S, Childs N, Cranford R, Jennett B, Katz DI, et al. The minimally conscious state: definition and diagnostic criteria. Neurology 2002;58:349-353.
[Article] [PubMed]
4. Bayne T, Hohwy J, Owen AM. Reforming the taxonomy in disorders of consciousness. Ann Neurol 2017;82:866-872.
[Article] [PubMed]
5.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Practice parameters: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atients in the persistent vegetative state (summary statement). Neurology 1995;45:1015-1018.
[Article] [PubMed]
6. Giacino JT, Kalmar K. Diagnostic and prognostic guidelines for the vegetative and minimally conscious states. Neuropsychol Rehabil 2005;15:166-174.
[Article] [PubMed]
7. Giacino JT, Katz DI, Schiff ND, Whyte J, Ashman EJ, Ashwal S, et al. Practice guideline update recommendations summary: disorders of consciousness: report of the guideline development,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the American Congress of Rehabilitation Medicine; and the National Institute on Disability, Independent Living, and Rehabilitation Research. Neurology 2018;91:450-460.
[Article] [PubMed] [PMC]
8. Laureys S, Celesia GG, Cohadon F, Lavrijsen J, Leon-Carrion J, Sannita WG, et al. Unresponsive wakefulness syndrome: a new name for the vegetative state or apallic syndrome. BMC Med 2010;8:68.
[Article] [PubMed] [PMC]
9. Bruno MA, Vanhaudenhuyse A, Thibaut A, Moonen G, Laureys S. From unresponsive wakefulness to minimally conscious PLUS and functional locked-in syndromes: recent advances in our understanding of disorders of consciousness. J Neurol 2011;258:1373-1384.
[Article] [PubMed]
10. Bauer G, Gerstenbrand F, Rumpl E. Varieties of the locked-in syndrome. J Neurol 1979;221:77-91.
[Article] [PubMed]
11. Andrews K, Murphy L, Munday R, Littlewood C. Misdiagnosis of the vegetative state: retrospective study in a rehabilitation unit. BMJ 1996;313:13-16.
[Article] [PubMed] [PMC]
12. Schnakers C, Vanhaudenhuyse A, Giacino J, Ventura M, Boly M, Majerus S, et al. Diagnostic accuracy of the vegetative and minimally conscious state: clinical consensus versus standardized neurobehavioral assessment. BMC Neurol 2009;9:35.
[Article] [PubMed] [PMC]
13. Majerus S, Gill-Thwaites H, Andrews K, Laureys S. Behavioral evaluation of consciousness in severe brain damage. Prog Brain Res 2005;150:397-413.
[Article] [PubMed]
14. Giacino JT, Kalmar K, Whyte J. The JFK coma recovery scale-revised: measurement characteristics and diagnostic utilit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020-2029.
[Article] [PubMed]
15. Gill-Thwaites H, Munday R. The Sensory Modality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Technique (SMART): a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 for vegetative state and minimally conscious state patients. Brain Inj 2004;18:1255-1269.
[Article] [PubMed]
16. Rader MA, Ellis DW. The Sensory Stimulation Assessment Measure (SSAM): a tool for early evaluation of severely brain-injured patients. Brain Inj 1994;8:309-321.
[Article] [PubMed]
17. Ansell BJ, Keenan JE. The Western neuro sensory stimulation profile: a tool for assessing slow-to-recover head-injured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89;70:104-108.
[PubMed]
18. Shiel A, Horn SA, Wilson BA, Watson MJ, Campbell MJ, McLellan DL. The Wessex Head Injury Matrix (WHIM) main scale: a preliminary report on a scale to assess and monitor patient recovery after severe head injury. Clin Rehabil 2000;14:408-416.
[Article] [PubMed]
19. Pape TL, Heinemann AW, Kelly JP, Hurder AG, Lundgren S. A measure of neurobehavioral functioning after coma. Part I: theor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isorders of consciousness scale. J Rehabil Res Dev 2005;42:1-17.
[Article]
20. Seel RT, Sherer M, Whyte J, Katz DI, Giacino JT, Rosenbaum AM, et al. Assessment scales for disorders of consciousness: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Arch Phys Med Rehabil 2010;91:1795-1813.
[Article] [PubMed]
21. Han HJ, Kim EJ, Lee HJ, Pyun SB, Joa KL, Jung HY.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Coma Recovery Scale-Revised (K-CRSR). Ann Rehabil Med 2018;42:536-541.
[Article] [PubMed] [PMC]
22. Kim EJ.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on Korean version of coma recovery scale-revised (K-CRSR). Incheon: Inha University, 2016.

23. The Center for Outcome Measurement in Brain Injury. Introduction to the JFK Coma Recovery Scale-Revised (CRS-R). [online] 2006 [cited 2019 Jul 6]. Available from: URL:http://www.tbims.org/combi/crs.

24. Goodwin L. Use of MRI in prediction of recovery from persistent vegetative state. J Insur Med 1998;30:113-114.
[PubMed]
25. Galanaud D, Perlbarg V, Gupta R, Stevens RD, Sanchez P, Tollard E, et al. Assessment of white matter injury and outcome in severe brain trauma: a prospective multicenter cohort. Anesthesiology 2012;117:1300-1310.
[Article] [PubMed]
26. Luyt CE, Galanaud D, Perlbarg V, Vanhaudenhuyse A, Stevens RD, Gupta R, et al. Diffusion tensor imaging to predict long-term outcome after cardiac arrest: a bicentric pilot study. Anesthesiology 2012;117:1311-1321.
[Article] [PubMed]
27. Abe H, Shimoji K, Nagamine Y, Fujiwara S, Izumi SI. Predictors of recovery from traumatic brain injury-induced prolonged consciousness disorder. Neural Plast 2017;2017:9358092.
[Article] [PubMed] [PMC]
28. Zheng ZS, Reggente N, Lutkenhoff E, Owen AM, Monti MM. Disentangling disorders of consciousness: insights from diffusion tensor imaging and machine learning. Hum Brain Mapp 2017;38:431-443.
[Article] [PubMed]
29. Laureys S, Goldman S, Phillips C, Van Bogaert P, Aerts J, Luxen A, et al. Impaired effective cortical connectivity in vegetative state: preliminary investigation using PET. Neuroimage 1999;9:377-382.
[Article] [PubMed]
30. Laureys S, Lemaire C, Maquet P, Phillips C, Franck G. Cerebral metabolism during vegetative state and after recovery to consciousnes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9;67:121.
[Article] [PubMed] [PMC]
31. Thibaut A, Bruno MA, Chatelle C, Gosseries O, Vanhaudenhuyse A, Demertzi A, et al. Metabolic activity in external and internal awareness networks in severely brain-damaged patients. J Rehabil Med 2012;44:487-494.
[Article] [PubMed]
32. Vanhaudenhuyse A, Noirhomme Q, Tshibanda LJ, Bruno MA, Boveroux P, Schnakers C, et al. Default network connectivity reflects the level of consciousness in non-communicative brain-damaged patients. Brain 2010;133:161-171.
[Article] [PubMed]
33. Soddu A, Vanhaudenhuyse A, Demertzi A, Bruno MA, Tshibanda L, Di H, et al. Resting state activity in patients with disorders of consciousness. Funct Neurol 2011;26:37-43.
[PubMed] [PMC]
34. Soddu A, Vanhaudenhuyse A, Bahri MA, Bruno MA, Boly M, Demertzi A, et al. Identifying the default-mode component in spatial IC analyses of patients with disorders of consciousness. Hum Brain Mapp 2012;33:778-796.
[Article] [PubMed]
35. Owen AM, Coleman MR, Boly M, Davis MH, Laureys S, Pickard JD. Detecting awareness in the vegetative state. Science 2006;313:1402.
[Article] [PubMed]
36. Boly M, Coleman MR, Davis MH, Hampshire A, Bor D, Moonen G, et al. When thoughts become action: an fMRI paradigm to study volitional brain activity in non-communicative brain injured patients. Neuroimage 2007;36:979-992.
[Article] [PubMed]
37. Monti MM, Vanhaudenhuyse A, Coleman MR, Boly M, Pickard JD, Tshibanda L, et al. Willful modulation of brain activity in disorders of consciousness. N Engl J Med 2010;362:579-589.
[Article] [PubMed]
38. Bardin JC, Fins JJ, Katz DI, Hersh J, Heier LA, Tabelow K, et al. Dissociations between behavioural an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based evaluations of cognitive function after brain injury. Brain 2011;134:769-782.
[Article] [PubMed] [PMC]
39. Bekinschtein TA, Manes FF, Villarreal M, Owen AM, Della-Maggiore V. Functional imaging reveals movement preparatory activity in the vegetative state. Front Hum Neurosci 2011;5:5.
[Article] [PubMed] [PMC]
40. Monti MM, Pickard JD, Owen AM. Visual cognition in disorders of consciousness: from V1 to top-down attention. Hum Brain Mapp 2013;34:1245-1253.
[Article] [PubMed]
41. Giacino JT, Fins JJ, Laureys S, Schiff ND. Disorders of consciousness after acquired brain injury: the state of the science. Nat Rev Neurol 2014;10:99-114.
[Article] [PubMed]
42. Estraneo A, Loreto V, Guarino I, Boemia V, Paone G, Moretta P, et al. Standard EEG in diagnostic process of prolonged disorders of consciousness. Clin Neurophysiol 2016;127:2379-2385.
[Article] [PubMed]
43. Landsness E, Bruno MA, Noirhomme Q, Riedner B, Gosseries O, Schnakers C, et al. Electrophysiological correlates of behavioural changes in vigilance in vegetative state and minimally conscious state. Brain 2011;134:2222-2232.
[Article] [PubMed] [PMC]
44. Cologan V, Drouot X, Parapatics S, Delorme A, Gruber G, Moonen G, et al. Sleep in the unresponsive wakefulness syndrome and minimally conscious state. J Neurotrauma 2013;30:339-346.
[Article] [PubMed]
45. Estraneo A, Moretta P, Loreto V, Lanzillo B, Cozzolino A, Saltalamacchia A, et al. Predictors of recovery of responsiveness in prolonged anoxic vegetative state. Neurology 2013;80:464-470.
[Article] [PubMed]
46. Cavinato M, Freo U, Ori C, Zorzi M, Tonin P, Piccione F, et al. Post-acute P300 predicts recovery of consciousness from traumatic vegetative state. Brain Inj 2009;23:973-980.
[Article] [PubMed]
47. Qin P, Di H, Yan X, Yu S, Yu D, Laureys S, et al. Mismatch negativity to the patient's own name in chronic disorders of consciousness. Neurosci Lett 2008;448:24-28.
[Article] [PubMed]
48. Vanhaudenhuyse A, Laureys S, Perrin F. Cognitive event-related potentials in comatose and post-comatose states. Neurocrit Care 2008;8:262-270.
[Article] [PubMed]
49. Kotchoubey B, Lang S, Mezger G, Schmalohr D, Schneck M, Semmler A, et al. Information processing in severe disorders of consciousness: vegetative state and minimally conscious state. Clin Neurophysiol 2005;116:2441-2453.
[Article] [PubMed]
50. Edlund W, Gronseth G, So Y, Franklin G. Clinical practice guideline process manual. St Paul (MN):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2004;1-57.

51. Giacino JT, Katz DI, Schiff ND, Whyte J, Ashman EJ, Ashwal S, et al. Comprehensive systematic review update summary: disorders of consciousness: report of the guideline development,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the American Congress of Rehabilitation Medicine; and the National Institute on Disability, Independent Living, and Rehabilitation Research. Neurology 2018;91:461-470.
[Article] [PubMed] [PMC]
52. Giacino JT, Whyte J, Bagiella E, Kalmar K, Childs N, Khademi A, et al. Placebo-controlled trial of amantadine for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N Engl J Med 2012;366:819-826.
[Article] [PubMed]
53. Sutton JA, Clauss RP. A review of the evidence of zolpidem efficacy in neurological disability after brain damage due to stroke, trauma and hypoxia: a justification of further clinical trials. Brain Inj 2017;31:1019-1027.
[Article] [PubMed]
54. Whyte J, Rajan R, Rosenbaum A, Katz D, Kalmar K, Seel R, et al. Zolpidem and restoration of consciousness. Am J Phys Med Rehabil 2014;93:101-113.
[Article] [PubMed]
55. Xia X, Yang Y, Guo Y, Bai Y, Dang Y, Xu R, et al. Current status of neuromodulatory therapies for disorders of consciousness. Neurosci Bull 2018;34:615-625.
[Article] [PubMed] [PMC]

Go to Top